$\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행동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를 중심으로
An Effect of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Safety Behaviors of Construction Workers: Based on Behavior Based Safet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3 no.6, 2018년, pp.115 - 122  

이지동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managers' safety management and workers' safety behaviors in construction site. Three or four managers and about one hundred workers at each sit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consisted of safety...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 기반 안전 관리에 근거한 안전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관리자의 안전관리 행동과 근로자의 안전행동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이 적용된 2곳의 현장에서 모두 관리자의 안전관리 행동(관찰, 긍정적, 교정적 피드백)이 기저선에 비해 증가하였고, 근로자들의 안전행동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전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 리더십을 증진하는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행동 기반 안전 관리(Behavior-Based Safety)에 근거한 안전 리더십 증진 코칭 프로그램이 관리자의 안전관리 행동과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재해에서 건설업 근로자의 비중은? 안전보건공단 통계 조사에 따르면, 2017년도 산업재해를 당한 근로자 수는 89,848명이었으며 이 중 1,956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 근로자의 재해자 수는 25,649명, 사망자 수는 579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중 각각 약 29%, 3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1). 이는 다른 업종과 비교했을 때 건설업에서 산업재해가 더 많이 발생하며 위험도가 더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산업 재해의 대표적인 원인은? 이러한 산업 재해의 원인이 대부분 근로자들의 불안전 행동인 것으로 밝혀져 왔다2,3). 따라서 산업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근로자들의 불안전 행동을 안전행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안전 관리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이 강조되는 이유는? 관리자들은 근로자들과 가까운 곳에서 함께 작업을 하거나 작업을 지시, 감독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안전 관리 행동 및 안전 의식이 작업장의 안전 수준 및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리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자들의 관심이나 동기가 부족하게 되면 프로그램이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다8,9). 따라서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이나 안전 프로그램 활성화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7", pp. 1-4, 2017. 

  2. H. W. Heinrich, D. Peterson and N. Roos,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McGraw-Hill, 1980. 

  3. T. E. McSween, "The Values-based Safety Process: Improving Your Safety Culture with Behavior-based Safety (2nd)",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003. 

  4. D. Zohar, "A Group-level Model of Safety Climate: Testing the Effects of Group Climate on Micro Accidents in Manufacturing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5, No. 4, pp. 587-596, 2000. 

  5. J. Eid, K. Mearns, G. Larsson, J. C. Laberg, and B. H. Johnsen,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and Safety Research: Conceptual Issue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Safety Science, Vol. 50, No. 1, pp. 55-61, 2012. 

  6. T. C. Wu,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Leadership Scale in Universities of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ion, Vol. 2, No. 1, pp. 27-42, 2005. 

  7. D. Petersen, "Leadership & Safety Excellence: A Positive Culture Drives Performance", Professional Safety, Vol. 49, No. 10, pp. 728-732, 2004. 

  8. B. Sulzer-Azaroff, C. Fox, S. M. Moss and J. M. Davis, "Feedback and Safety: Involving Work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1987. 

  9. B. Sulzer-Azaroff and D. Fellner, "Searching for Performance Targets in the Behavioral Analysi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n Assessment Strateg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6, No. 2, pp. 53-65, 1984. 

  10. D. Hardison, M. Behm, M. R. Hallowell and H. Fonooni, "Identifying Construction Supervisor Competencies for Effective Site Safety", Safety Science, Vol. 65, pp. 45-53, 2014. 

  11. P. Swuste, A. Frigiters and F. Guldenmund, "Is it Possible to Influence Safety in the Building Sector?: A Literature Review Extending from 1980 until the Present", Safety Science, Vol. 50, No. 5, pp. 1333-1343, 2012. 

  12. R. A. Haslam, S. A. Hide, A. G. Gibb, D. E Gyi, T. Pavitt, S. Atkinson and A. R. Duff, "Contributing Factors in Construction Accidents", Applied Ergonomics, Vol. 36, No. 4, pp. 401-415, 2005. 

  13. S. Mohamed,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8, No. 5, pp. 375-384, 2002. 

  14. Construction Safety Association of Ontario, "The Effect of Supervisory Training on Lost-time Injury Rates in Construction", pp. 1-2, 2009. 

  15. E. S. Geller, "The Psychology of Safety Handbook", FL: CRC press, 2016. 

  16. H. O. Jeong,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Types in Construction Sites and Industrial Disasters", Master's Thesis, Kyeong-Hee University, 2001. 

  17. S. H. Hong and S. H. Lee, "Strategies to Promote Supervisor's Leadership for Preventing Accid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J. Korean Soc. Saf., Vol. 21, No. 2, pp. 63-69, 2006. 

  18. S. Clarke, "Safety Leadership: A Meta-analytic Review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as Antecedents of Safety Behaviou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86, No. 1, pp. 22-49, 2013. 

  19. T. Cerni, G. J. Curtis and S. H. Colmar, "Executive Coaching Can Enh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 5, No. 1, pp. 81-85, 2010. 

  20. A. M. Grant, "The Impact of Life Coaching on Goal Attainment, Meta Cognition and Mental Health",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31, No. 3, pp. 253-264, 2003. 

  21. A. M. Grant, J. Passmore, M. J. Cavanagh and H. M. Parker, "The State of Play in Coaching Today: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Field",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No. 1, pp. 125-167, 2010. 

  22. T. Theeboom, B. Beersma and A. E. Van Vianen, "Does Coaching Work?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Coaching on Individual Level Outcomes in an Organizational Context",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 9, No. 1, pp. 1-18, 2014. 

  23. E. S. Geller, S. Perdue and A. French, "Behavior-based Safety Coaching 10 Guidelines for Successful Application", Professional Safety, Vol. 49, No. 7, pp. 42-49, 2004. 

  24. P. Kines, L. P. Andersen, S. Spangenberg, K. L. Mikkelsen, J. Dyreborg and D. Zohar, "Improving Construction Site Safety through Leader-based Verbal Safety Communication",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41, No. 5, pp. 399-406, 2010. 

  25. E. Blair, "Culture & Leadership: Seven Key Points for Improved Safety Performance", Professional Safety, Vol. 48, No. 6, pp. 18-22, 2003. 

  26. R. A. Carrillo, "Safety Leadership Formula: Trust Credibility Competence Results", Professional Safety, Vol. 47, No. 3, pp. 741-747, 2002. 

  27. M. D. Cooper, "Improving Safety Culture: A Practical Guide", England: John Wiley & Sons, 1998. 

  28. D. Zohar, "Modifying Supervisory Practices to Improve Subunit Safety: A Leadership-based Intervention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1, pp. 156-163, 2002. 

  29. J. Dickerson, B. Koch, J. Adams, M. Goodfriend and L. Donnelly, "Safety Coaches in Radiology: Decreasing Human Error and Minimizing Patient Harm", Pediatric Radiology, Vol. 40, No. 9, pp. 1545-1551, 2010. 

  30. R. Tilka and D. A Johnson, "Coaching as a Packaged Intervention for Telemarketing Personn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Vol. 38, No. 1, pp. 49-72, 2018. 

  31. A. E. Kazdin, "Single-case Research Designs: Methods for Clinical and Applied Settings",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32. K. Lee, J. Lee, K. Moon and S. Oah,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Supervisory Behaviors at a Construction Site", J. Korean Soc. Saf., Vol. 27, No. 6, pp. 151-159, 2012. 

  33. K. Moon, K. Lee, J. Lee and S. Oah, "The Effect of Behavior Based Safety(BBS) Program o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 Field Stud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25, No. 2, pp. 349-37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