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구성요소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Theoretical Components of Community Music Therapy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4 no.2, 2017년, pp.91 - 105  

강현정 (제주 뮤직이너피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커뮤니티 음악치료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음악치료의 대상과 영역을 커뮤니티로 확장한 음악치료의 최신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 CoMT의 구성개념을 커뮤니티, 음악, 건강으로 구분하고, 실행커뮤니티 이론을 토대로 커뮤니티(사람들의 집합체, 상호작용 행위의 장), 음악(행위의 실체이자 대상, 협업적 음악만들기), 건강(행위의 동기이자 목적, 관계 및 사회적 웰빙)의 각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위의 세 요소 간의 연결성을 바탕으로 CoMT의 구성요소를 도식으로 제시하고, 커뮤힐 도식이라 명명하였다. 커뮤힐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nsdell과 Stige가 커뮤니티 음악치료 논문에서 제시한 두 사례에 해당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oMT는 타 학문 및 실행 분야와 협업을 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응적이고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발달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연구 및 실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MT의 핵심개념을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서 구성요소와 개념 이해를 명료화할 수 있었고, CoMT 관련 후속 연구 및 실행의 기틀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unity music therapy (CoMT)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nd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music therapy. The concept of CoMT is introduced in this article, and its three attributes of community, music, and health are reviewed. This study specified each attribute of CoMT: a community (a group of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CoMT에서의 커뮤니티, 음악, 건강의 개념을 고찰하여 도식화하여 제시함으로써 CoMT를 이해하고자 한다.
  • CoMT의 개념적 구성요소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성요소가 모두, 혹은 부분적으로 갖추어졌을 때에 상응하는 개념을 [Table 1]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고찰을 통해 개념화한 CoMuHeal이 CoMT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CoMT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음악, 건강을 중심으로 CoMT를 규명하고 관련된 개념과 핵심어구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MT란 무엇인가? CoMT는 커뮤니티음악 활동과 음악공동체 참여를 통해 건강증진과 웰빙을 추구하는 사회 음악적 운동이자 패러다임이다(Ansdell & Stige, 2016). 이는 임상현장에서 발생한 개념이기보다는 시대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필요를 기반으로 발생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음악치료 기법이나 영역의 발생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CoMT가 기존의 음악치료와 다른점은 무엇인가?  이는 임상현장에서 발생한 개념이기보다는 시대의 변화와 지역사회의 필요를 기반으로 발생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음악치료 기법이나 영역의 발생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기존의 음악치료에서는 개인이나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달리 CoMT에서는 사회구성원인 개인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환경인 커뮤니티 자체를 음악치료의 대상으로 간주한다(Stige, 2015). 특히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삶의 질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삶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음악치료에서도 사회적 맥락과 상황에 적합한 실행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CoMT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음악치료와 CoMT의 구성요소는 각각 무엇인가? CoMT가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라고 가정한다면, 음악치료의 핵심요소를 통해 CoMT를 살펴보는 것은 CoMT의 구성요소를 규명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음악치료 실행은 내담자, 음악, 치료사, 중재의 네 요소로 구성되며(Chong, 2015), 이에 대응하는 CoMT에서의 요소는 커뮤니티 및 커뮤니티구성원, 커뮤니티음악, 퍼실리테이터(failitator)/동기부여자(motivator)/건강음악가(health musician) 등이다. 중재에 해당하는 CoMT의 요소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는데, CoMT의 목표가 건강과 웰빙 등의 건강관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면 이를 중심으로 CoMT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살펴보는 것은 CoMT 실행의 구성요소를 연구하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sdell, G. (2002). Community music therapy and the winds of change - a discussion paper. In C. Kenny & B. Stige (Eds.), Contemporary voices in music therapy: Communication, culture and community (pp. 109-143). Oslo, Norway: Unipub Forlag. 

  2. Ansdell, G. (2010). Can everything become music? Scrap metal in southern England. In B. Stige, G. Ansdell, C. Elefant, & M. Pavlicevic (Eds.), Where music helps: Community music therapy in action and reflection (pp. 151-160). Surrey, UK: Ashgate. 

  3. Ansdell, G. (2015). How music helps in music therapy and everyday life. Aldershot, UK: Ashgate. 

  4. Ansdell, G., & DeNora, T. (2016). Musical pathways in recovery: Community music therapy and mental wellbeing. London: Routledge. 

  5. Ansdell, G., & Stige, B. (2016). Community music therapy. In J. Edwards (Ed.),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therapy (pp. 595-621).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6.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 Bruscia, K. (1998). Defining music therapy (2nd ed.).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8.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9. Chong, H. J., Kim, J., & Kim, S. J. (2014). The concept of arts-character education in arts education(예술교육에서 예술인성교육의 개념).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5(1), 53-72. 

  10. Edwards, J. (Ed.) (2016).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therap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1. Giddens, A., & Sutton, P. W. (2013). Sociology (7th ed.). Cambridge, UK: Polity Press. 

  12. Gutkin, T. B. (2012). Ecological psychology: Replacing the medical model paradigm for school-Based psychological and psychoeducational services.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22(1-2), 1-20. 

  13. Henderson, D. X., DeCuir-Gunby, J., & Gill, V. (2016). 'It really takes a village': A socioecological model of resilience for prevention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ethnic minority youth.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37(5), 469-485. 

  14. Higgins, L. (2012). Community music: In theory and in practic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5. Kee, Y. W., Kim, Y., & Nam, C. (2015). Comparisons of perceptions about community well-being across six municipalities in Seoul(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비교: 서울시 6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7(1), 33-62. 

  16. Kee, Y. W., Seo, I. S., & Nam, C. B. (2014). Two faceted perceptions of community wellbeing in juxtaposition with objective conditions(커뮤니티 웰빙의 다면적 주관적 인식 및 객관 적 조건과 비교).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8(4), 39-71. 

  17. Kim, H., & Ohtake, F. (2014). Status race and happiness: What experimental surveys tell us. Sejo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8. Lim, S. J. J., & Hoot, J. L. (2015). Bullying in an increasingly diverse school population: A socio-ecological model analysi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6(3), 268-282. 

  19. Magee, L., Scerri, A., & James, P. (2012). Measuring social sustainability: A communitycentered approach.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7(3), 239-261. 

  20. McKenzie, J. F., & Pinger, R. R. (2015). An introduction to community & public health (8th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1.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6). The Korean standard dictionary(표준국어대사전): 동호회. Retrieved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22. Pavlicevic, M., & Ansdell, G. (2009). Between communicative musicality and collaborative musicing: A perspective from community music therapy. In S. Malloch & C. Trevarthen (Eds.), Communicative musicality: Exploring the basis of human companionship (pp. 357-376).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3. Pellow, D. N., & Brehm, H. N. (2015). From the new ecological paradigm to total liberation: The emergence of a social movement frame. The Sociological Quarterly, 56(1), 185-212. 

  24. Phillips, R., & Pittman, R. (2014). An introduc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2nd ed.). London: Routledge. 

  25. Purgato, M., Tol, W. A., & Bass, J. K. (2017). An ecological model for refugee mental health: Implications for research.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26(2), 139-141. 

  26. Rolvsjord, R. (2007). Blackbird singing: Explorations of resource-oriented music therapy in mental health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alborg University, Denmark. 

  27. Rolvsjord, R. (2010). Resource-oriented music therapy in mental health care.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28. Ruud, E. (2010). Music therapy: A perspective from the humanities.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29. Ruud, E. (2012). The new health musicians. In R. MacDonald, G. Kreutz, & L. Mitchell (Eds). Music, health, and wellbeing (pp. 87-96).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0. Seligman, M. E. (2008). Positive health.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7, 3-18. 

  31. Seo, I. S. (2017).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ty well-being index grafted onto intersubjective well-being(간주관적 웰빙 개념을 접목한 지역 커뮤니티웰빙 지표의 중요도 분석). Korean Local Administration Review, 14(1), 25-45. 

  32. Seo, I. S., Lee, S. J., & Kee, Y. H. (2014). Analysis on conceptions and indicators of community wellbeing via panel date of Seoul city(서울시 패널자료를 활용한 커뮤니티웰빙 개념구조와 측정지표의 적합성 분석).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5(2), 101-130. 

  33. Slocum, L. A., Esbensen, F. A., & Taylor, T. J. (2017). The code of silence in schools: An assessment of a socio-ecological model of youth's willingness to report school misbehavior. Youth & Society, 49(2), 123-149. 

  34. Stige, B. (2010). Caring for music: The senior choir in Sandane, Norway. In B. Stige, G. Ansdell, C. Elefant, & M. Pavlicevic (Eds.), Where music helps: Community music therapy in action and reflection (pp. 245-251). Surrey, UK: Ashgate. 

  35. Stige, B. (2012). Health musicking: A perspective on music and health as action and performance. In R. MacDonald, G. Kreutz, & L. Mitchell (Eds). Music, health, and wellbeing (pp. 183-19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6. Stige, B. (2015). Community music therapy. In B. L. Wheeler (Ed.), Music therapy handbook (pp. 233-245). New York: Guilford Press. 

  37. Stige, B., & Aaro, L. E. (2012). Invitation to community music therapy. New York: Routledge. 

  38. Wenger-Trayner, E., & Wenger-Trayner, B. (2015) Introduction to communities of practice: A brief overview of the concept and its uses. Retrieved from http://wenger-trayner.com/intro-duction-to-communities-of-practice 

  39. Wheeler, B. (Ed.) (2015). Music therapy handbook. New York: Guilford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