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질환과 구강건강 상관성 인식에 관한 융합적 조사
A Fusion Survey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5, 2017년, pp.67 - 73  

김서연 (송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일신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상관성에 대해 대학생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지역 3개 대학교 약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4학년에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여부, 흡연경험 및 운동여부는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3.18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내용에 대한 실천을 하는 그룹에서 3.21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두 군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공계열 요인과 학년 요인이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 인식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구강 정기검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질병의 발생은 한 가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교육을 강화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among some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485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in Gwangju.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emale was higher than the male and was the highest in the four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 간의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상관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교 약 485명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4학년에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 대학생 간의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상관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교 약 485명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상관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근래 보고된 연구에서는 구강병이 전신질환과 공통된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20]. 본 연구는 구강건강과 전신질환의 연관성에 대해 일반인 특히, 건강을 많이 생각하지 않는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전공 교과목을 이수하는 대학생들에게 조사한 것으로서 이수 계열의 특성이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p<0.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인 주요 사망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세계적인 주요 사망원인에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폐렴,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등이 있으며[1], 우리나라의 경우 10명 중 3명이 고혈압 환자이고, 30세 이상 성인의 1/3이 당뇨 전 단계 또는 당뇨를 가지고 있다[2].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공계열 요인과 학년 요인이 전신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 인식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구강 정기검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질병의 발생은 한 가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질병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교육을 강화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치주질환의 특징은 ? 치주질환은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환되는 만성질환 가운데 하나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을 연결시켜 확인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심혈관계 질환,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등 전신질환과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3]. 특히 당뇨는 치주질환을 증가시키고 치주질환은 혈당조절을 어렵게 하는 등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잘 관리되지 않는 당뇨병은 골소실의 위험을 증가시켰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Fact Sheets. Noncommunicable diseases.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55/en/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Reference librar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4.do 

  3.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 K. Yamazaki. (2007).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s and systemic disease.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13(s4), 3-10. DOI : 10.1111/j.1469-0691.2007.01798 

  4. G. W. Taylor. (2001).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 6(1), 99-112. DOI : 10.1902/annals.2001.6.1.99 

  5. Y. S. Khader, A. S. Dauod, S. S. El-Qaderi, A. Alkafajei & W. Q. Batayha. (2006). Periodontal status of diabetics compared with nondiabetics: a meta-analysis. Journal of Diabetes Complications, 20(1), 59-68. DOI : 10.1016/j.jdiacomp.2005.05.006 

  6. G. W. Taylor & W. S. Borgnakke. (2008). Periodontal disease: associations with diabetes,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Oral Dis, 14(3), 191-203. DOI : 10.1111/j.1601-0825.2008.01442 

  7. P. B. Lockhart et al. (2012). Periodontal disease and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does the evidence support an independent associa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5(20), 2520-2544. DOI : 10.1161/CIR.0b013e31825719f3 

  8. Y. W. Chen et al. (2008). Periodontitis may increase the risk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Eur Journal of Vasc Endovasc Surg, 35(2), 153-158. DOI : 10.1016/j.ejvs.2007.08.016 

  9. M. Desvarieux et al. (2010). Periodontal bacteria and hypertension: the oral infections and vascular disease epidemiology study (INVEST). Journal of hypertension, 28, 1413-1421. DOI : 10.1097/HJH.0b013e328338cd36 

  10. J. B. Kim. (2005).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Seoul : Komoonsa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III Summary Report.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475 

  12. World Dental Federation. (2012). Oral health and the UN political declaration on NCDs. World Dental Federation. http://www.fdiworlddental.org/sites/ default/files/ media/images/Non-communicable%20diseases-2012.pdf 

  13. M. A. Jeong & J. H. Kim. (2011).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2(4), 47-52. 

  14. S. M. Lee, J. E. Ha & M. J. Kim. (2016).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School.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2), 696-702. DOI : 10.5392/JKCA.2016.16.02.696 

  15. H. K. Kim. (2006).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2), 132-141. 

  16. C. S. Park, K. H. Lee, O. J. Ju, J. Y. Lee & S. J. Kim. (2004). A study on level of dental hygiene recognition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0(2), 71-82. 

  17. M. R. Lee. (1997).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7(1), 156-168. 

  18. C. S. Kim & Y. K. Choi. (2017). Survey of Adults' Percep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1), 12-19. DOI : 10.17135/jdhs.2017.17.1.12 

  19. K. H. Lee & S. K. Kim. (2013). A study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ealth perception and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5), 845-853. DOI : 10.13065/jksdh.2013.13.05.845 

  20. H. S. Shin, Y. S. Ahn & D. S. Lim. (2016).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6(3), 217-224. DOI : 10.17135/jdhs.2016.16.3.217 

  21. B. M. Shin, S. M. Bae, S. H. Yoo & S. J. Shin. (2016). Oral health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6(3), 225-234. DOI : 10.17135/jdhs.2016.16.3.225 

  22. S. U. Yoon & S. J. Jang. (2016).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al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tea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97-104. DOI : 10.15207/JKCS.2016.7.1.097 

  23. I. Y. Ku, W. S. Mun, J. H. Kang & H. G. Ryu. (2013).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morphology of workers and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1(2), 11-20. 

  24. J. H. Jang, S. H. Jang, M. J. Kim, J. Y. Lee & Y. J. Jang. (2001). The impact of the oral-health education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attitu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 227-242 

  25. M. J. Lee & H. K. Kang. (2017). Effects of Mobile based-Healthcare Service using Human Coaching to the Self-care of Diabet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83-89. DOI : 10.22156/CS4SMB.20 17.7.4.083 

  26. E. J. Jung, J. C. Kim, H. I. Jung, H. Yoo & K. Y. Chung. (2017). Mining based Mental Health and Blood Pressure Management Service for Smart Healt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13-18. DOI : 10.15207/JKCS.2017.8.1.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