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of Youth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 the Small Busines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2, 2017년, pp.131 - 136  

김산용 (총신대학교 산업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6개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신된 1128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집방법에서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직업훈련 만족도가 진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적응의 주도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적응의 목표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예비직업인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 직업체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of youth on their career adaptability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nswered by 1128 students enrolled in six vocational schools located in Seoul. Conv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 적응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중소기업 진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런 연구를 통해서 청소년의 중소기업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진로적응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무엇인가? 직업훈련은 지식 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근로자의 생애에 걸친 체계적인 능력이 요구가 있어 2004년에 직업훈련법에 관련된 명칭을「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직업훈련의 명칭 또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어 사용하고 있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 함은 근로자에게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9].
직업훈련의 명칭이 직업능력개발훈련으로 변경된 이유는 무엇인가? 직업훈련은 지식 경제와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근로자의 생애에 걸친 체계적인 능력이 요구가 있어 2004년에 직업훈련법에 관련된 명칭을「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직업훈련의 명칭 또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는 용어로 변경되어 사용하고 있다. “직업능력개발훈련이라 함은 근로자에게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9].
청소년에게 만족할 만한 진로상담․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의 직업훈련은 중소기업과 학교와 연계하여 학교 내ㆍ외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는 청소년에게 진로상담ㆍ교육, 그리고 중소기업과 연계하여 직무수행능력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 내가 어떤 직업을 갖고 살 것인지에 대하여 고민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진로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 또는 직접적인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진로를 발견 또는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만족감을 얻은 청소년들은 중소기업에 취업해서 직무를 감당할 때도 직무만족감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내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려는 청소년에게 만족할 만한 진로상담․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이 중소기업 활성화를 향한 진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 I. Kim, "A Model of the influence of IMS oper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6, No. 1, pp. 1-5, Mar. 2016. DOI: 10.22156/CS4SMB.2016.6.1.001 

  2. S. C. Choi, J. S. Lee, S. Y. Sim, J. H. Lee and J. H. Park,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No. 1, pp. 1-9, Feb. 2017. DOI: 10.22156/cs4smb.2016.6.1.001 

  3. S. C. Han and Y. H. Kim, "The Survey of Adolescent's Valuability: a Life View, a Family View, a Education View and a Vocation View,"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 24, No. 1, pp. 55-79, 2003. 

  4. T. H. Kim, Study on Ineffectual Element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Youth at Vocational School, Graduate School of Hoseo University, 2004. 01. 

  5. S. J. Nam, “A Study on Evaluation of Career Education and Relations betwee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mpetenc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11, pp. 283-304, Nov. 2011. 

  6. K. J. Nam, “Development and Validity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Vol. 17, No. 2, pp. 73-91, 2004. 

  7. A. Hirschi,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4, No. 2, pp. 145-155, Apr. 2009. DOI: 10.1016/j.jvb.2009.01.002 

  8. E. I. Jeong, "Mediation of College Students' Commitment to Career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College Adapt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7, No. 2, pp. 1-21, 2014, 

  9.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0250&pageFlag, 2017. 03. 

  10. D. E. Super and E. G. Knasel,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Some theoretical problem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Vol. 9, pp. 194-201, 1981. 

  11. Z. Yousefi, M.. Abedi, I. Baghban, O. Eatemadi and A. Abedi, "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predicting career adaptability in young adults," The Spanish Journal of Psychology, Vol. 14, No. 1, pp. 263-271. 2011. 

  12. P. J. Rottinghaus, S. X., Day and F. H. Borgen,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13, No. 1, pp. 3-24, 2005. DOI: 10.1177/1069072704270271 

  13. A. Hirschi,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4, No. 2, pp. 145-155, 2009. DOI: 10.1016/j.jvb.2009.01.002 

  14. Y. S. Baek and H. J. Lee, "The School Maladjustment Being Calibrated to Maturity in Youth Job Training and Career Research," Correction Welfare Research, Vol. 38, pp. 59-89. 2011. 

  15. S. M. Cha, Differences in basic occupation abilities and career search abilitie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work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2005. 

  16. K. Y. Jang,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