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복합시대 산업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Subjective Happiness in convergence er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185 - 194  

지민경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근로자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는 2016년 8월 8일부터 9월 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t-test와 one way ANOVA, Scheffe'사후 검정 분석,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영향지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주관적 행복감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은 성별, 주관적 경제 수준, 주관적 전신건강, 정기적 치과 검진, 직무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산업 구강 중재 프로그램의 시행과 함께 긍정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dustrial workers' job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workers, from August 8 to September 2, 2016, research tool was the structured, anonymous, self-adm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현재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일부 연구가 보고된 바 있지만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연계하여 주관적 행복감과의 영향요인을 연구한 논문은 미비한 실정이다[13-16]. 이에 본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에게 보다 적합하고 효과적인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부 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및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의 건강이 산업체에 왜 중요한가 건강은 상병에 이환되어 있지 않고 허약하지 않으며 사회생활에 장애가 되지 않는 심신의 상태로, 근로자는 경제발전의 필수 원천이며 근로자의 건강은 산업체의 생산성에 있어 중요 요소이다. 구강건강은 전체건강의 일부로써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치아 수명을 연장시키고, 산업 자체의 발전에도 기여함으로 근로자 구강보건을 산업구강보건이라고도 한다[3].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목적은?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하며, 모든 국가 및 사회는 구성원의 삶의 질 또는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고 있다[1]. 사회경제의 발전, 사람들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개인의 정신적 생활에 관심이 높아지고 행복에 대한 추구도 중요시해진다[2].
행복은 사람마다 서로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는데 Seligman은 어떤 분야를 제안했나? 그동안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삶의 질, 주관적 행복 등의 용어로 진행되어 왔다[7]. Martin Seligman은 긍정 심리학 분야를 제안하면서 인간의 성격강점과 재능 함양, 행복을 증진시키는 심리학의 중요한 사명을 환기시켰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D. Song. (2015).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 The Moderating Effects of Optimism, Wisdom and Self-Regulation. University of Sungshin women's, Seoul. 

  2. J. J. Liu. (2017). Research on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Work-Family Conflict on Job Performa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mployment type Department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University of Sejong, Seoul. 

  3. J. B. Kim et al. (2004). Public health dentistry. Seoul : Komoonsa. 

  4. Kosha. (2017). Occupational health.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http://www.kosha.or.kr 

  5. Y. M. Jung & W. K. Lee. (2014). The Effects of Short-Form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for Shipyard Workers on th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4), 181-190. DOI : 10.17547/kjsr.2014.22.4.181 

  6. C. Ryff & C. Keyes.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DOI : 10.1037/0022-3514.69.4.719 

  7. M. S. Kim, H. W. Kim & K. H. Cha. (2001).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 concep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Men an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9-39. 

  8. S. M. Kwon. (2008). Positive Psychology: Scientific exploration of happiness. Seoul : Hakjisa. 

  9. S. M. Kwon. (2013). 15 minutes per day happy walk: Positive Psychology Lecture by Professor Kwon Seokma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 Medicimedia. 

  10. H. G. Lee. (1997). Psychology of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Seoul : Bobmunsa. 

  11. E. Diener.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DOI : 10.1037//0033-2909.95.3.542 

  12. H. J. Park.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for Clerical Workers. University of Dankook, Cheonan. 

  13. Y. J. Kang. (2017). The Effect of Malocclusion Orthodontic Treatment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nse of Happiness in Som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of Gyeongsang, Jinju. 

  14. A. J. Kim. (2011).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degree of dry mouth on OHIP-14 in industrial workers. University of Wonkwang, Iksan. 

  15. S. Lee & H. J. Park. (2016). Influencing Factor of Happiness in the Employees of SME Manufactur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361-371. DOI : 10.5762/KAIS.2016.17.2.361 

  16. J. D. Cha & K. A. Jang. (2012). The Factor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workers: Industrial workers in Gyeo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604-4611. DOI : 10.5762/KAIS.2012.13.10.4604 

  17. S. J. Chan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18. G. D. Slade. (1997).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s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Journal of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5(4), 284-290. DOI : 10.1111/j.1600-0528.1997.tb00941.x 

  19. Seligman. (2004). M. E. P.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 Free Press. 

  20. G. S. Gong & S. S. Ha. (2015). The influence of police officers' job stress on subjective happiness: moderation effect of character strength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1), 43-63. 

  21. FDI. (2017). FDI's definition of oral health. FDI World Dnetal Federation. http://www.fdiworldental.org. 

  22. K. W. Chang et al. (2007). Oral Health Education.(4rd ed.). Seoul : Komoonsa. 

  23. H. W. Oh & H. S. Lee. (2004). Restricted Activity from Oral Disease in Korean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8(3), 423-437. 

  24. J. B. Kim et al. (2009). Public health dentistry(4th ed.). Seoul : Komoonsa. 

  25. P. Z. Park.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Subway Technicians' Job Stress Facto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University of Seoul Cyber, Seoul. 

  26. J. A. Park & C. Y. Jyung. (2012).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Resilience, Job Stresso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Organization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25(2), 59-80. 

  27. S. D. Kim. (2014). Relationships of Job Stress, Fatigue & Depression among one Ship-building Suppl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2789-2796. DOI : 10.5762/KAIS.2014.15.5.2789 

  28. S. R. Kim & I. S. Choi. (2017).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on ego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2(1), 29-51. DOI : 10.16978/ECEC.2017.12.01.002 

  29. H. S. Yoon. (2013). Influence of oral health statu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OHIP-14) among elderly people in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5), 759-767. DOI : 10.13065/jksdh.2013.13.05.759 

  30. A. Y. Kim. (2009). Level and Associating Factors of Self Assessed Satisfaction of Life Among Elderly in A Community. University of Inje, Gimhae. 

  31. M. K. Jun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iddle-sized manufacturing workers. University of Yonsei, Seoul. 

  32. M. S. Jang et al. (2006). Association of self-reported periodontal health ststus and oral health real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36(3), 591-599. 

  33. Y. Jung & D. Shin. (2008). Oral health, nutri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4(10), 28-35. 

  34. K. H. Kim. (2009).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for Life of General Employee. University of Dankook, Cheonan. 

  35. M. O. Choi & Y. S. Moon. (2011). A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Busan Metropolitan City Residents' Happine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15(1), 277-297. 

  36. J. S. Koo & E. K. Suh. (2013). The Influence of Happiness on Future Income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7(2), 17-36. 

  37. U. G. Gerdtham & M. Johannesson.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health, and socio-economic factors: results based on Swedish micro-data. Journal of Socio-Economics, 30(6), 553-557. DOI : 10.1016/s1053-5357(01)00118-4 

  38. J. Sakong, J. H. Chung & H. S. Kim. (1997).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somatic Strai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9(3), 530-542. 

  39. N. H. Cha. (2002). Effects of Self-foot Reflexology Shown in Hypertension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1), 17-29. 

  40. J. H. Kim & K. J. Min. (2008).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ral Health and Total Health of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2), 31-46. 

  41. S. Agou, D. Locker, V. Muirhead, B. Tompson & D. L. Streiner. (2011). Does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ora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ports in children receiving orthodontic treatment?. Journal of American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39(3), 369-377. DOI : 10.1016/j.ajodo.2009.05.034 

  42. L. J. Lee. (2010). A Study on Effect of the Subjective Well-being on Job Stre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Asian Studies, 13(1), 251-290. 

  43. J. H. Kim. (2011). Mannequin Simulation in the Heal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2), 67-71. 

  44. I. S. Kim & S. Y. Kim. (2016).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107-114. DOI : 10.22156/CS4SMB.2016.6.4.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