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봉산 산림습지의 지형·토양 환경분석 - 입도분석과 규조분석을 중심으로
Studies on Morpho-pedo Milieu of Forest Wetland on Mt. Jeombong - Focused on Diatom Analysis and Grain Size Analysi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1, 2017년, pp.13 - 24  

김남신 (국립생태원) ,  차진열 (국립생태원) ,  박용수 (국립생태원) ,  조용찬 (국립수목원) ,  권혜진 (국립수목원) ,  오승환 (국립수목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ecology and morpho-pedo milieu by analyzing diatom and grain size of Mt. Jeombong forest wetland. Sample was collected from 6 points and named sample 943, 932, 885, 881A, 881b, 849. Sample 934 could not identify diatom, and the soil layer was colluvium depos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점봉산 일대는 지형 및 지질의 영향으로 산지 정상부에 고위평탄면이 넓게 분포하고 여기에 고산습지의 발달이 현저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는 점봉산 고위평탄면에 발달한 고산습지의 퇴적물을 규조 분석 및 입도분석을 실시하여 점봉산 일대의 환경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점봉산의 생물다양성 및 기초 생태환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점봉산 고위평탄면에 발달한 산림습지 내 퇴적물에 대하여 규조분석 및 입도분석을 실시하여 점봉산 일대의 환경을 분석하고 관련 생태환경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봉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지형의 특성은? 강원도 점봉산(해발 1,424m)은 백두대간 마루금 한계령과 단목령 사이에 위치한다. 점봉산 백두대간을 중심 능선을 경계로 동쪽 방향의 급경사 지역 그리고 서쪽 방향의 고위평탄면이 나타나는 지형 특성은 오색계곡의 저지대 소나무림 및 서어나무림 뿐만 아니라 고지대의 신갈나무림 및 낙엽활엽수 저목림의 다양한 식물과 식생, 그리고 야생 동물 서식처의 배경이 된다. 특히 점봉산 주능선 및 단목령 일대는 지형 및 지질의 영향으로 고위평탄면이 넓게 분포하고, 다양한 규모의 산림습지가 성립하여 연구 및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강원도 점봉산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강원도 점봉산(해발 1,424m)은 백두대간 마루금 한계령과 단목령 사이에 위치한다. 점봉산 백두대간을 중심 능선을 경계로 동쪽 방향의 급경사 지역 그리고 서쪽 방향의 고위평탄면이 나타나는 지형 특성은 오색계곡의 저지대 소나무림 및 서어나무림 뿐만 아니라 고지대의 신갈나무림 및 낙엽활엽수 저목림의 다양한 식물과 식생, 그리고 야생 동물 서식처의 배경이 된다.
점봉산은과거에는 어떤 곳이었는가? 자연성이 높은 활엽수림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점봉산은 다른 우리나라 산지와 마찬가지로 과거부터 농업 중심의 인간 활동이 이루어지던 장소이다. 최근 1990년대 까지 곰배령 지역에서 산나물 채취와 가공 활동이 이루어졌었으며, 1980년대 까지 강선마을을 중심으로 벌채와 화전이 활발히 이루어지던 삶의 터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ttarbee, R.W . Carvalho, L. Jones, V.J.Flower, R.J.Cameron, N.G. Bennion, H. and S.Juggins. 2001, Diatoms. In: Tracking Environmental Change Using Lake Sediments Volume 3: Terrestrial, Algal, and Siliceous Indicators. (Eds J.P. Smol, W.M. Last & H.J.B. Birk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2. Blott, SJ and K. Pye.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3. Cleve-Euler, A. 1951-1955, Die Diatomeen von Sweden und Finnland. I-V kungl. svenska Vet.akad. Handl. 4. 

  4. Folk, R.L and W.C.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5. Kim, HS.Lee JH and Kim HS. 2003, Xanthophyta; Lee IK(ed), bird biology, Worldscience press, Seoul, pp. 113-166. 

  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Survey report on tracheophytes and wild animals in Mt. Jeombong, Dongjin press, Seoul.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Survey report on Gwangneung and experimental forests, Sumeungil press, Seoul.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Geography and vegetation in Mt. Jeombong, Sumeungil press, Seoul. 

  9. Palmer, A. J. M. and W.H.Abbott. 1986, Diatoms as sea-level indicators. In: Van de Plassche O(ed) Sealevel research: A manual for the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data. Geo Books, Norwich, 435-456. 

  10. Park YS . Kim MJ . Lee JD and Gu JJ. 2006, Paleoenvironments of the quaternary sediment from the Seokrim-dong, Seosan, based on Diatom assembl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4): 549-559. 

  11. Patrick, R. and C.W.Reimer.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1,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1-60. 

  12. Round, F. E. . Crawford, R. M. and D.G . Mann. 1990, The Diatoms: Biology& Morphology of the Gen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9. 

  13. Ryu EY . Kim JC and Lee SJ. 2008, Paleoecological and paleoclimatic studies of the Quaternary riverine sediments in the Han River,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4: 33-46. 

  14. Ryu EY . Nam UH . Yang DY and Kim JY. 2005, Diatom floras of a western coastal wetland in Korea: implication for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2): 227-239. 

  15. Ryu EY . Nam UH . Yang DY . Kim JY and Lee SJ. 2005,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s from diatom record of the Pyeong-taek wetland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67-181. 

  16. Van der Werff, A. and H.Huls. 1957, Diatomeenflora van Nederland. Drukkerij Sprey Abcoude 1: 1-8. 

  17. Vos, P. C. and H. de Wolf. 1993, Diatomsasa tool for reconstructing sedimentary environments in coastal wetlands; metho-dologicalaspects, Hydrobiologia, 269-270(1), 285-296. 

  18. Watanabe, T.T . Ohtsuka, A . Tuji and A. Houki.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ed. T. Watanabe. Uchida-rokakuho. 

  19. Yun SO . Kim MJ and Hwang SI. 2013, Pollen analysis of alpine wetlands on Mt. Jeombong in Gangwon-do, South Korea and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4): 10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