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관계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1 no.1, 2017년, pp.99 - 111  

안수경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류은정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ce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ustomer loyalty through relationship quality. The data were collected subjects in their 20's-30'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using a mobile shopping channel.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the self admini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비자들을 둘러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모바일 패션 쇼핑에 대한 고객의 욕구는 더욱 다양해질 전망이므로 모바일 쇼핑 특성 개발과 서비스 향상은 고객의 긍정적 평가와 만족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고객 충성도와 구전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관계품질을 거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모바일 패션 쇼핑 고객의 만족과 신뢰,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최적화된 서비스 품질 설계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1987)은 관계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결과로서 여겨지는 몰입은 관계 형성과 유지에 있어서 관계의 불확실성을 회피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관계품질의 결과적 차원으로 간주하여 신뢰와 만족이 몰입을 거쳐 충성도를 형성하는 직간접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연구문제 2.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연구문제 3. 모바일 패션 쇼핑의 관계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 연구문제 1. 모바일 패션 쇼핑의 현황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관계품질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연구 모형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으로 편재성, 개인화, 보안성 외에 유형성을 포함시키고자 한다. 편재성은 사용자가 어디에 있든지 실시간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특성을 말하며, 개인화는 사용자가 동의한 개인 정보 활용을 바탕으로 맞춤화된 제품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으로 온라인 쇼핑보다 모바일 쇼핑에서 더 상황에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Clarke, 2001, Hong,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커머스에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는 온라인 거래에 비해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모바일 패션 쇼핑이 이루어지는 모바일 커머스(Mobile commerce)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품까지 거래할 수 있는 무선 전자상거래 방식이라 할 수 있다(Kim, Yu, & Kim, 2013). 모바일 커머스에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는 전형적으로 개인적인 장치이면서 언제어디서나 이동 중에도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과의 일대일 관계를 구축할 수있다는 점에서 온라인 거래(E-commerce)보다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Clarke(2001)은 e-커머스와 비교되는 M-커머스의 특징으로 편재성(ubiquity), 편리성 (convenience), 위치 확인성(localization),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의 네 가지 특성을 제안하였으며, Giovannini, Ferreira, da Silva and Ferreira(2015)는 개인화, 편재성, 접근성, 위치 확인성 등을 모바일 쇼핑 특성으로 확인하였다.
신뢰란? 신뢰(trust)는 소매업체의 신뢰성과 진실성에 대한 소비자의 확신으로 정의할 수 있다(De Wulf, OdekerkenSchroder & Iacobucci 2001). 신뢰는 구매상황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며 특정 대상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Mayer, Davis & Schoorman, 1995), 불확실성과 지각된 위험이 크게 나타나는 온라인 쇼핑이나 모바일 쇼핑업체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에서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Giovannini et al.
대한민국의 유수 오픈 마켓에서 모바일쇼핑의 비중은? 즉, 온라인 쇼핑업체는 백화점이나 대형마 트를 제치고 유통채널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러한 현상의 일등 공신은 모바일쇼핑이라고 할 수 있다. 쿠팡이나 위메프 같은 소셜 커머스는 전체 거래액 중 80% 전후, G마켓이나 옥션 등의 오픈 마켓은 전체 거래액 중 50% 이상이 모바일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Lee, 2016 July 19). 롯데와 신세계 백화점도 L페이, SSG페이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통해 쇼핑의 편의성을 높이고, 온?오프 라인을 연계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Jang, 2016 October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S, H., & Lee, K. H.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ing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 and custo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8), 1230-1241. 

  2. Anderson, J. C., & Narus, J. A. (2004). Business Market Management: Understanding, Creating, and Delivering Value, 2nd ed. Pearson-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3. Berry, L. L., & Parasureman, A. (1991). Marketing Service: Competing through Quality. New York: The Free Press. 

  4. Chae, J. M. (2016).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ashion & Textiles Research Journal, 18(1). 38-47. 

  5. Clarke, I. (2001). Emerging value proposition for M-Commerce. Journal of Business Strategies, 18(2), 133-148. 

  6. Crosby, L. A., Evans, K. A., & Cowles, D. (1990). Relationship quality in services selling: an interpersonal influence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54(3), 68-81. 

  7. De Wulf, K., & Odekerken-Schroder, G. (2003). Assessing the impact of a retailer's relationship efforts on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0(2), 95-108. 

  8. De Wulf, K., Odekerken-Schroder, G., & Iacobucci, D. (2001). Investments in consumer relationships: A cross-country and cross industry exploration. Journal of Marketing, 65(Oct.), 33-50. 

  9. DMC Media.(2016). 2016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mobile shopping. DMC report. Retrieved September 26, 2016, from http://www.dmcreport.co.kr/content/ReportView.php?typeMarket&id9101&gid3 

  10. Doney, P. M., & Cannon, J. P. (1997).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trust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1(April), 35-51. 

  11. Dwyer, F. R., Schurr, P. H., & Oh, S. (1987).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51(2), 11-27. 

  12. Gao, X. (2013). The influence of mobile website quality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Lincoln. 

  13. Giovannini, C., Ferreira, J. B., da Silva, J. F. & Ferreira, D. B. (2015). The effects of trust transference, mobile attributes and enjoyment on mobile trust. Brazilian Administration Review, 12(1) 88-108. DOI: 10.1590/1807-7692bar2015140052 

  14. Han, S. (2004). Effects of restaurant service quality on customer retention and word-of- mouth.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9(1), 29-46. 

  15. Hewett, K., Money, R. B., & Sharma, S. (2002). An exploration of the moderating role of buyer corporate culture in industrial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0(3). 229-39. 

  16. Hong, G. H. (2015). The Effect of TV Home Shopping Service Quality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Customer Loyalty -Fashion Product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6), 899-909. 

  17. Hong, S. B. (2013). A study on the mobile fashion commerc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Hwang, S. (2011). The effect of relational benefits on relationship quality and CRM effects in fashion retail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230-241. 

  19. Hwang, S. A., & Hwang, S. J. (2011). The effect of cosmetic companies' CRM activities on relationship benefits, relationship commitment and brand switching reduction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7), 97-109. 

  20. Jang, S. H. (2016, October 15). Major company's pay war in trend of mobile easy payment system. Chosuneconomy. Retrieved October 20, 2016, from http://economyplus.chosun.com/special/special_view_past.php?boardNameC05&t_num10569&img_ho 

  21. Kang, S., & Ham, W. (2011). The Relationship Research between the Relationship Quality of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Brand Loyal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15(3), 275-294. 

  22. Kang, Y. S. (2005). The effects of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s on perceive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23. Kim, C. (2012). The effect of shopping quality and shopping value on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4. Kim, C., Hwang, J. S., & Cho, J. (2015).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161-174. 

  25. Kim, K.,. Yu, Y., & Kim, J.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Perception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3(6), 292-303. 

  26. Kim, M. & Shin, S. (2015). Effects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interactivity and perceived usefulness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2), 228-241. 

  27. Ko, S. H., & Rhee, Y. S. (2014). A study on department store environmental factors to improve consumer commitment: Focusing on a comparison of department st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2), 147-160. 

  28. Lee, E. K.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isk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personal innovation and mobile internet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Lee, J. H. (2016, July 19). Who is Top of mobile shopping?. Dailyhankook. Retrieved October 1, 2016, from ttp://daily.hankooki.com/lpage/economy/201607/dh20160719144129138160.htm. 

  30. Lee, T. M.(2003). The effect of components of interactivity of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environments: Focused on the direct effects of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T. (2005).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on Customer trust and transaction intentions in mobile commerce.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6(3), 165-180. 

  32. Li, X., & Peng, P. (2013).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re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Aimed at Chinese custom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856-865. 

  33.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34. Morgan, R. M., & Hunt, S. D. (1994).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58(July), 20-38. 

  35. Na, Y. (2014).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of fashion mobile commerce by quality evalu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8(1), 1-21. 

  36. Park. E., & Kang, E. (2016). Impacts on fashion products attributes and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impulse buy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2), 158-166. 

  37. Shin, H. B., & Lim, S. J. (2003). The effects of fashion store salesperson's effort on middle upper class older female customer's intent to relationship continu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675-684. 

  38. Statistics Korea. (2016). Trend of online shopping in October 2016. Retrieved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osp. 

  39. Suh, M., & Rho, T. (2015). Relationship velocity in the service provider- personal customer relationship: A Longitudinal Approach Using Different Stages of a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30(May), 1-16. 

  40. Ulaga, W., & Eggert, A. (2006). Relationship value and relationship quali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0(3/4), 311-3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