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분을 첨가한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텍스처 특성
Textural Properties of Gluten-free Rice Pasta Prepared Employing Various Starch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1, 2017년, pp.28 - 36  

정진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윤혜현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xture of gluten-free rice pasta prepared buckwheat, mung bean, and acorn starches and to compare textural properties of samples 100% semolina. Methods: The moisture content, weight and water absorption test investigat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멥쌀을 주재료로 제조한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텍스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아밀로오스 함량, 낮은 호화온도, 강한 겔의 특성을 갖고 있는 메밀, 녹두, 도토리 전분을 첨가하여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를 제조하고 이에 따른 텍스처 특성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전분의 첨가에 따른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구체적인 텍스처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글루텐 프리 식품 연구의 새로운 메뉴개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멥쌀을 주재료로 제조한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텍스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아밀로오스 함량, 낮은 호화온도, 강한 겔의 특성을 갖고 있는 메밀, 녹두, 도토리 전분을 첨가하여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를 제조하고 이에 따른 텍스처 특성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전분의 첨가에 따른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구체적인 텍스처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글루텐 프리 식품 연구의 새로운 메뉴개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실험 결과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에 메밀, 녹두 그리고 도토리 전분을 첨가하여 쌀 파스타의 텍스처 단점이 보완되었다. 본 실험은 멥쌀을 주 재료로 제조한 글루텐 프리 쌀 파스타의 텍스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메밀, 녹두, 도토리 전분을 첨가하여 나타나는 텍스처 특성을 기계적 측정을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그러나 파스타 제조 시 각 시료의 첨가되는 수분 함량을 조절하지 않아 절대적인 값에 대한 실험이 아닌 상대적인 특성을 비교한 실험이라는 것이 그 한계성이라 지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스타란 무엇인가? 파스타는 밀가루 또는 세몰리나를 물과 함께 반죽하여 만든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면 요리이다(Kill R & Turnbull K 2008). 곡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품들 가운데 재료의 선택과 제조 방법에 있어 가장 간단한 식품중 하나로 꼽을 수 있으며, 대중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De noni I & Pagani MA 2010).
파스타의 특징은? 파스타는 밀가루 또는 세몰리나를 물과 함께 반죽하여 만든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면 요리이다(Kill R & Turnbull K 2008). 곡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식품들 가운데 재료의 선택과 제조 방법에 있어 가장 간단한 식품중 하나로 꼽을 수 있으며, 대중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De noni I & Pagani MA 2010).
글루텐 프리 식품이란 무엇인가? 글루텐 프리 식품은 보리, 밀 등의 곡류에 존재하는 불용성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이라는 성분에 알러지 반응을 보이는 특정 소비자들을 위한 식품을 말한다. 최근 글루텐 프리 식품이 건강에 좋다거나 다이어트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수요가 글루텐 알러지 환자들의 숫자와 상관없이 늘어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ik SJ, Kim HS. 2001. Physicochemical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starch and flour from pigmented rice (Suwon 415). Korean J Soc Food Sci 17(1):23-28. 

  2. Chillo S, Civica V, Iannetti M, Mastromatteo M, Suriano N, Del Nobile MA. 2010. Influence of repeated extrusions on some properties of non-conventional spaghetti. J Food Eng 100(2):329-335. 

  3. Chillo S, Laverse J, Falcone PM, Protopapa A, Del Nobile MA. 2008.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buckwheat flour and durum wheat bran on spaghetti quality. J Cereal Sci 47(2): 144-152. 

  4. Cho SA, Kim SK. 2000. Paticle size distribution, pasting pattern and texture of gel of acorn, mungbean, and buckwheat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1291-1297. 

  5. Chung KM, Lee WJ. 1997. Properties of starch gels mixed with mugwor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4):693-699. 

  6. Cole ME. 1991.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pasta quality. Int J Food Sci Technol 26(2):133-151. 

  7. De Noni I, Pagani MA. 2010. Cooking properties and heat damage of dried pasta as influenced by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conditions. Crit Rev Food Sci Nutr 50(5):465-472. 

  8. D'egidio MG, Nardi S. 1996. Textural measurement of cooked spaghetti. pp 133-156. In: Pasta and noodle technology. JE Kruger, RB Matsuo, JW Dick (ed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N, USA. 

  9. Gallagher E. 2009. Gluten-fre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55. Wiley-Blackwell Co., London, UK. p 1. 

  10. Gimenez MA, Gambaro A, Miraballes M, Roascio A, Amarillo M, Samman N, Lobo M. 2015. Sensory evaluation and acceptability of gluten­free andean corn spaghetti. J Sci Food Agric 95(1):186-192. 

  11. Hager AS, Zannini E, Arendt EK. 2012. Gluten-free pasta - Advances in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Cereal Foods World 57(5):225-229. 

  12. Hildebrand C, Kenedy J. 2010. The geometry of pasta. Boxtree, London, UK. pp 1-288. 

  13. Holliger A. 1963. Improved method for testing macaroni products. Cereal Chem 40(3):231-240. 

  14. Kahlon TS, Chiu MCM. 2015. Teff, buckwheat, quinoa and amaranth: Ancient whole grain gluten-free egg-free pasta. Food Nutr Sci 6(15):1460-1467. 

  15. Kill R, Turnbull K. 2008. Pasta and semolina technology. John Wiley & Sons, London, UK. p 1. 

  16. Kim AK, Kim SK, Lee AR. 1995.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gelatinization property of mungbean flour and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1(5):472-478. 

  17. Kim BK, Park JE, Zu GU. 2011. Effects of semolin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noddles. Food Eng Prog 15(1): 56-63. 

  18. Kim BR, Choi YS, Kim JD, Lee SY. 1999.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mposite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383-389. 

  19. Kim HS, Ahn SY. 1997. Effect of amylose and amylopectin on the texture of Mook. Korean J Hum Ecol 6(2):157-166. 

  20. Lee SY, Shim HH, Ham SS, Rhee HI, Choi YS, Oh SY. 1991.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uckwheat flour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buckwheat noodles. J Korean Soc Food Nutr 20(4):354-362. 

  21. Lii CY, Chang SM. 1981. Characterization of red bean (Phaseolus radiatus var. Aurea) starch and its noodle quality. J Food Sci 46(1):78-81. 

  22. Manser J. 1981. Optimale parameter fur die teigwarenherstellung am beispeil von langwaren. Getreide Mehl Brot 35(3):75-83. 

  23. Marshall HG, Pomeranz Y. 1982. Buckwheat: Description, breeding, production, and utilization. pp 162-174. In: Advances in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4. Marti A, Pagani MA. 2013. What can play the role of gluten in gluten free pasta?. Trends Food Sci Technol 31(1):63-71. 

  25. Miskelly DM. 1996. The use of alkali for noodle processing. pp 227-273. In: Pasta and noodle technology. Kruger JE, Matsuo RB, Dick JW (ed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6. Noh JS, Park K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pasta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superjami. Korean J Culin Res 19(5):184-195. 

  27. Park CH, Woo SH, Choi YS, Jang KJ, Park SE. 2012. Memireul beotgyeora [Discover the buckwheat]. Jin Sol Co., Seoul, Korea. pp 59-60. 

  28. Park SJ, Choe EO, Kim JI, Shin M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es in different Korean varieties and their gel textures. Food Sci Biotechnol 21(5):1359-1365. 

  29. Resmini P, Pagani MA. 1983. Ultrastructure studies of pasta. A review. Food Struct 2(1):2. 

  30. Schoenlechner R, Drausinger J, Ottenschlaeger V, Jurackova K, Berghofer E. 2010. Functional properties of gluten-free pasta produced from amaranth, quinoa and buckwheat. Plant Foods Hum Nutr 65(4):339-349. 

  31. Seo HI, Ryu BM, Kim CS. 2011.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of domestic rice flours containing different amylose contents on rice noodle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1):1597-1603. 

  32. Shim TH, Jin YS, Sa JH, Shin IC, Heo SI, Wang MH. 2004.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800-803. 

  33. Smewing J. 1997. Analyzing the texture of pasta for quality control. Cereal Foods World 42(1):8-12. 

  34. Sozer N, Kaya A. 2003. Changes in cooking and textural properties of spaghetti cooked with different levels of salt in the cooking water. J Texture Stud 34(4):381-390. 

  35. Voisey PW, Larmond E, Wasik RJ. 1978. Measuring the texture of cooked spaghetti. 1. Sensory and instrumental evaluation of firmness. Can Inst Food Sci Technol J 11(3):142-148. 

  36. Wang N, Bhirud PR, Sosulski FW, Tyler RT. 1999. Pasta­like product from pea flour by twin­screw extrusion. J Food Sci 64(4):671-678. 

  37. Yang KH, Lee KJ, Kim MR. 2012. Gel properties of Mook manufactured from acorns harvested in various countries according to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1168-1175. 

  38. Yoon SJ, Lee MY. 2006.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asik with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2(6):849-8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