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더의 중첩관측영역을 활용한 정량적 강수량 추정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Overlapped Area in Radar Network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1, 2017년, pp.112 - 121  

최정호 (조선이공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한명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유철상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이지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레이더의 중첩관측영역을 활용한 정량적 강수량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조밀한 지상우량계 관측망과 레이더 관측망의 중첩관측영역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중첩관측영역 내 레이더간의 계통오차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량적 강수량 추정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으로 추정된 강우강도는 기존의 정량적 강수량 추정방법보다 모든 강우강도 범위에서 강수량이 적절하게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th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method using overlapped area in radar network. For this purpose, the dense rain gauges and radar network are used. As a result, we found a reflectivity bias between two radar located in different area and developed the new quantitativ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의 중첩관측영역(overlapped observation area)을 활용한 정량적 강우량 추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조밀한 지상우량계 관측망과 레이더 관측망의 중첩관측영역을 이용하였다.
  • 국내의 정량적 강수량 추정은 Z-R 관계식을 이용한 제한적인 방법으로써, 해안지역과 같은 특수한 지역에서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지리적 영향으로 인한 한계를 보완하고자본 연구에서는 QREOA (Quantitative Rainfall Estimation using Overlapped Area) 방법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참고로,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정량적 강수량추정방법은 Kim et al.
  • 이들 연구 모두 해당 지역의 지리적·기후적 특징을 고려하고, 실제 설치되어 있는 레이더 관측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량적 레이더 강우추정을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호우의 이동방향에 따라 호우를 선행 관측하는 레이더를 'Radar A', 다음으로 관측하는 레이더를 'Radar B‘로 정의한다. 현재 설치된 레이더 기종을 고려하여 단일편파 레이더 적용을 목적으로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첩관측영역이란? 두 대 이상의 레이더 관측반경이 겹쳐질 경우에 해당 관측영역을 중첩관측영역이라 한다. 중첩관측영역은 레이더 관측반경에 따라 넓은 영역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내륙 및 해상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국내 지상우량계 관측소의 단점은? 이와 같은 강우관측망은 연강수량의 70%가 우기인 6월과 9월 사이에 평균적으로 집중되고, 태풍이 해상으로부터 내륙으로 매년 유입되는 우리나라의 기후학적 특성에서 기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 발생빈도의 증가와 극심해져가는 강우발생의 시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해 조밀한 지상우량계 관측시설만으로는 해상에서 유입하는 호우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해안과 같이 초기시점 강우자료수집이 취약한 지역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국내의 기상 관측망이 유리한 점은? 국내의 기상 관측망(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은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의 관측밀도보다 상대적으로 조밀하여 기상자료 수집 및 활용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특히, 전체 기상관측시설장비 중 강우관측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udlow, MD and Patterson, VL (1979). GATE radar rainfall atlas. NOAA Special Rep.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Services. 

  2. Hudlow, MD and Scherer, W (1975). Precipitation analysis for BOMEX period 3,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stration. 

  3. Kim, J (2014). Using a data assimilation technique and a concept of information transfer for quantitative radar rainfall estimation and mean field bias correction.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4. Kim, J and Yoo, C (2014). Use of a dual Kalman filter for real-time correction of mean field bias of radar rain rate. J. of Hydrology, 519, pp. 2785-2796. 

  5. Kim, J, Yoo, C, Lim, S, and Choi, J. (2015). Usefulness of relay-information-transfer for radar QPE. J. of Hydrology, 531, pp. 308-319. 

  6. Marshall, JS and Palmer, WM (1948). The distribution of raindrop with size. J. of Atmospheric Sciences, 5, pp. 165-166. 

  7. Patterson, VL (1979). GATE radar rainfall processing system (Vol. 26).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Environmental Data and Information Service. 

  8. Smith, JA, Seo, DJ, Baeck, ML, and Hudlow, MD (1996). An intercomparison study of NEXRAD precipitation estimates. Water Resources Research, 32(7), pp. 2035-2045. 

  9. Wang, Y, and V. Chandrasekar (2010).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 in the CASA X-band dualpolarization radar network. J.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7(10), pp. 1665-1676. 

  10. Wilson, JW and Pollock, DM (1974). Rainfall measurements during Hurricane Agnes by three overlapping radars. J. of Applied Meteorology, 13(8), pp. 835-844. 

  11. Yoo, C, Kim, J, Chung, JH, Yang, DM, (2011). Mean field bias correction of the very short range forecast rainfall using the Kalman filter.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 pp. 17-28. 

  12. Yoo, C, Park, C, Yoon, J, Kim, J, (2013). Interpretation of mean-field bias correction of radar rain rate using the concept of linear regression, Hydrological Processes, 28(19), pp. 5081-50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