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력 향상 방안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27 - 33  

한지은 (IDAS,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  나건 (IDAS,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적응 문제는 복지적인 차원을 넘어 통일준비적 차원으로써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취업률이 향상되었으나 동시에 문화적 이해와 정체성 형성이 결여 된 상태에서의 취업률 향상은 또다시 사회부적응과 적응실패의 문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그룹토론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적 자립' 이외에 '사회적 자립'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사회성형성의 기본이 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책 과제로 남북한 시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는, 경제적 자립만으로는 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남한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뿐만 아니라 '경제적 지원' 정책 효과를 높이는 결과에도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사회적 지지' 형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보완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blem of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its core significance shifted from welfare to the preparatory stage of United Korea. Hence, this research tries to comprehend the 'factors that enhance their social adaptation'. For this end, by theor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적 자립’이라는 공급자 중심의 관점보다 수요자 중심의 ‘사회적 자립’ 관점으로 지원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의 시민으로 더불어 살 수 있는 가능성과 삶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해결방식을 찾는 것[3]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남한사회에 진입하여 정착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개인적으로 겪은 과 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 따라서 3장에서는 공급자의 입장이 아닌 사회 부적응의 문제를 겪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험으로부터 부적응 원인과 적응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실증연구를 하고자 한다.
  • 또한 특정한 인원을 심층 조사하여 실제 생활에 근거한 경험에서 문제의식을 이끌어내는 질적 연구 방식으로써 피조사자의 선정이 중요하므로 동질감 속에서 깊이있는 대화가 가능하도록 세대의 범위를 다가올 통일시대를 직접 살아가거나 준비해야하는 청년층으로 국한시켰다. 청년세대는 기성세대보다 현 문화에 대한 이해와 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특성이 있으므로 이데올로기적 차원을 넘어서, 다가올 통일의 시점에 발생 가능할 사회부적응 문제의 원인을 예상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력 향상을 위한 문헌연구와 심층조사를 진행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 진입 후 일상에서 겪게 되는 그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토대로 남한사회적응 문제를 진단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겪게 되는 ‘Pain Point’와 적응에 필요로 하는 ‘Needs’를 발견하고자 하며, 사회 적응 단계에서 ‘적응을 저해하는 요소’와 ‘적응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파악하여, 지원정책의 방향성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의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따라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취업률이 향상되었으나 동시에 문화적 이해와 정체성 형성이 결여 된 상태에서의 취업률 향상은 또다시 사회부적응과 적응실패의 문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그룹토론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적 자립' 이외에 '사회적 자립'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사회성형성의 기본이 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통일을 준비하는 시대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는 통일을 준비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미래에 어느 날 갑자기 한민족이 되는 통일이 아니라 이미 약 3만명의 북한이탈주민들과 어울려 살고 있으며, 이는 통일이 현재 진행 중임을 의미한다. 또한 매 년 천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으로 입국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빠르게 증가 할 것이라 예상된다[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경제중심의 지원정책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취업률이 향상되었으나 동시에 문화적 이해와 정체성 형성이 결여 된 상태에서의 취업률 향상은 또다시 사회부적응과 적응실패의 문제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과 그룹토론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적 자립' 이외에 '사회적 자립'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사회성형성의 기본이 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책 과제로 남북한 시민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Y. Aan,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Ph.D. dissertation, p.165, ChonNam University, 2013. 

  2. S. H. Go, "Local administrative system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Vol. 25, No. 4, p.14, 2011. 

  3. The Institute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Integration Narrative of healing over the separated system", p.29, Suninbook, 2015. 

  4. G. S. Kim, "The relation between social elimination and social adjustment by North Korean refugees", Master dissertation, p.3, CheongJu University, 2013. 

  5. J. C. Bae, "The Type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Master dissertation, p.2, KyungNam University, 2010. 

  6. J. R. Goak, "Study on the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p.11,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7. Y. A. Kim, "The research for North Korean defectors' rer socialization process", Master dissertation, p.12,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8. K. S. Min, "Study on the acculturation stress of defectors from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Master dissertation, p.14, HanSei University, 2015. 

  9. I. A. Hyen, "Study on the political re- socializ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pp.161-162, Ewha Woman University, 2013. 

  10. E. S. Park,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n refugees' maladaptation in the workplace", Ph.D. dissertation, p.6, SoongSil University, 2014. 

  11. S. G. Kim,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of North Korean Defectors", Master dissertation, p.20, KyungHee University, 2015. 

  12. E. S. Park,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n refugees' maladaptation in the workplace", Ph.D. dissertation, p.7, SoongSil University, 2014. 

  13. M. J. Park, "Study on policies on youths with immigrant backgrounds for social integration", Ph.D. dissertation, p.78, Sung Kyul University, 2015. 

  14. G. S. Kim, "The relation between social elimination and social adjustment by North Korean refugees", Master dissertation, p.2, CheongJu University, 2013. 

  15. The Institute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The divided country Habitus and the way of communicate of South-North Korea", p.29, GCbook, 2015. 

  16. J. U. Yu, "Social 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ol. 19, No. 1, pp.145-175, 2007. 

  17. S. Y. Aan, "Study on the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Ph.D. dissertation, p.2, ChonNam University, 2013. 

  18. The Institute fo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Are the Youth in North Korea "the new generation", p.32, KyungNam University Press,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