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자녀부모의 돌봄부담감과 라이프디자인의 영향관계에서 돌봄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ing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Burden and Life Design of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503 - 510  

이유리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자녀부모의 돌봄부담감과 라이프디자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돌봄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부모를 대상으로 돌봄부담감, 돌봄효능감, 라이프디자인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부담감과 돌봄효능감 사이 그리고 돌봄효능감과 라이프디자인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돌봄효능감은 돌봄부담감과 라이프디자인의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자녀에 대한 라이프디자인 수립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ing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burden and life design. To get the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and caring burden, caring empowerment, life design measures were used in the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를 돌보는 과정에서 느끼는 돌봄 부담감, 장애자녀 부모의 내적자원인 돌봄 효능감 변인들이 장애자녀의 라이프디자인 수립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자녀의 라이프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의 부모가 돌봄경험의 과정에서 갖게 되는 부담감과 자녀를 위해 수립하는 라이프디자인 간의 영향관계에 매개효과를 갖는 요인 중 돌봄효능감에 주목하고자 한다. 돌봄효능감이란 돌봄과정에서의 자신감과 적극정 및 전문성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돌봄제공자로서 내재된 강점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내 주변의 자원 활용 능력을 강화하여 돌봄 관련 역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19, 20].
  •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돌봄부담감과 라이프디자인 수립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돌봄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 2013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성년후견인제도’가 대표적인 법적계획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를 위하여 부모가 수립하는 라이프디자인의 구성영역을 주거계획, 재정계획, 법적계획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를 돌보는 과정에서 느끼는 돌봄 부담감, 장애자녀 부모의 내적자원인 돌봄 효능감 변인들이 장애자녀의 라이프디자인 수립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자녀의 라이프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시설화 정책으로 인한 효과? 장애를 가진 청소년은 능력의 제한과 사회적 편견으로 일정 연령이 되더라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누군가의 보호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그 역할을 하는 주된 대상은 부모가 된다[1]. 탈시설화 정책으로 시설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장애자녀는 부모 또는 가족에 대한 보호 의존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2, 29, 30].
라이프디자인 수립이 의미하는 것은? 라이프디자인 수립은 질병이나 사고, 사망 혹은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장애자녀 부모가 장애자녀를 돌볼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자녀의 욕구에 적합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하며[6], 장애자녀 부모가 장애자녀의 안정된 미래를 위하여 일상적인 보호 및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된다[7]. 즉, 보호대상자인 장애자녀의 돌봄이 어려워질 때를 대비한 준비 및 계획, 그리고 장애자녀가 독립적으로 안정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처 과정이라 정의할 수 있다[8].
장애 자녀 보호 제공자인 부모에게 자녀의 안정된 미래를 위한 계획수립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장애자녀가 독립할 수 있도록 주거지원, 재정지원, 후견인 제도 등이 활발하게 지원되지 못한다면 장애자녀를 둔 부모 입장에서 자녀의 장래 문제에 대한 불안과 부담이 가중될 것이며, 결국 장애자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회적 부담으로 전가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 그러므로 장애 자녀 보호 제공자인 부모에게 자녀의 안정된 미래를 위한 계획수립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 4,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ok Kim, Won-ryeong Lee, "A study on bringing-up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pp. 101-120, 2011. 

  2. Gordon, R. M., Seltzer, M. M, & Krauss, M. W., "Aftermath of parental death: changes in the context and quality of life",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pp. 53-73, 2000. 

  3. Heller, T., & Caldwell, J., "Supporting aging caregiver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ture planning", Mental Retardation, Vol. 44, No. 3, pp.189-202, 2006. 

  4. Botsford, A. L., & Rule, D.. "Evaluation of a group intervention to assist aging parents with permanency planning for an adult offspring with special needs", Social Work, Vol. 49, No. 3, pp. 423-431, 2004. 

  5. Bowey, L. & McGlaughlin, A.. "Older cares of adults with a learning disability confront the future: Issues and preferences in planning",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 37, pp. 39-54, 2007. 

  6. Bigby, C., Ozanne, E. & Gordon, M., "Facilitation transition: Elements of a successful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older parent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 37, No. 3, pp. 25-43, 2002. 

  7. Tilbury, C. & Osmond, J., "Permanency planningin foster care: A research review and guidelines for practitioners", Australian Social Work, Vol. 59, No. 3, pp. 265-280, 2006. 

  8. Heller, T., & Factor, A.., "Permanency planning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living with family caregiver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 96, pp. 163-176, 1991. 

  9. Heller, T., Hsieh, K. & Rowitz, L., "Maternal and paternal caregiving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cross the lifespan", Family Relations, Vol. 46, No. 4, pp. 407-415, 1997. 

  10. Reilly, K., & Conliffe, C., "Facilitating future planning for age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a planning tool that incorporates quality of life domain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 37, No. 3, pp. 105-119, 2002. 

  11. Krasowski, J. K., "Permanency planning by parent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anark County Canada",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1996. 

  12. Joo-Yeong Kim, " A study on composition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of life long education a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Vol. 2, No. 1, pp.65-92, 2016. 

  13. Myoeng-Jin, Sung., "A review on study regarding self-determination program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of life long education and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Vol. 1, No. 2, pp.47-70, 2015. 

  14. Ji-Sun Choi, Seon-joo Lee & Joo-young Son,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ermanency Plan, and Child-rearing Burden Recognized by Mothers Who have a child with development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0, No. 4, pp.41-71, 2009. 

  15. Baronet, A. M., "The impact of family relations on caregiver's positive and negative appraisal of their caretaking activities", Family Relationship, Vol. 52, No. 2, pp. 137-142, 2003. 

  16. S. J. Kim,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amily",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35, pp. 41-72, 2012. 

  17. Heller, T., & Factor, A, "Aging family caregivers: Support resources and changes in burden and placement desire",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 98, pp. 417-426, 1993. 

  18. Folkman, S., "Stress, coping and hope", Psychoncology, Vol. 19, No. 9, pp. 901-910, 2010. 

  19. Koegel, R. L., Brookman, L., & Koegel, L. K, Autism: "Pivotal response intervention and parental empowerment, Trends in Evidence-Based Neuropsychiatry", Vol. 5, pp.61-69, 2003. 

  20. Yu-ri Lee, "A study on the Factors Impacting Main Caregiver Empowerment",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 21, pp.134-165, 2008. 

  21. Minnes, P, Nachshen, J., & Woodford, L, "The role of Families, In I. Brown and M, Percy (E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ntario(2nd Ed.). Toronto: Ontario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pp.663-676, 2003. 

  22. Nachshen, J. S., & Jamieson, J., "Advocacy,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Vol. 28, pp.39-55, 2000. 

  23. Toseland, R. W. & McCallion, P, "Empowering families of adolescent and adults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Families in Society", Vol. 74, pp.579-588, 1993. 

  24. Orbell, S., Hopkins, N., & Gillies, B, "Measuring the impact of informal caring",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3, pp.149-163, 1993. 

  25. Orbell, S., Hopkins, N., & Gillies, B, "Measuring the impact of informal caring",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3, pp.149-163, 1993. 

  26. Yeon-soo Kim, "A study on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Ph.D. Ewha Womans University, 2005. 

  27. Koren, P. E., DeChillo N., & Friensen, B. J., "Measuring empowerment in families whose children have emotional disabilites: A brief questionnaire,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37, pp.305-321, 1992. 

  28. Se-hee Ho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 No. 1, pp.161-177, 2000. 

  29. Woo-Ho Kim, Bo-Jun Seo, Jae-Moon Lee, "A Study on the Parents' Recognition of School Enterprise Convergence by Type of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89-97, 2015. 

  30. Seon-O Yoon, Woo-Ho Kim, "Convergent research on how golf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47-5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