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Activation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 2017년, pp.461 - 469  

강경심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성별 학년별로 분석함으로써 식생활교육과 연계한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초등학교 8개교 152명이다. 연구 결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며, 밥상머리교육, 바른 식생활 실천, 음식쓰레기 줄이기, 로컬푸드 알기의 네 하위영역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성별 점수는 남 여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고, 식생활교육 네 하위영역의 성별 분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년별 점수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고, 식생활교육 네 하위영역의 학년별 분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식생활 개선에 효과가 있으므로,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에 활용 가능하며, 바른 먹거리 선택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지역 먹거리 소비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etary lif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and by grade to seek for solutions of activating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in linkage with dietary life education. Subjects were 152 students of eight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1,2,13],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14,15]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16],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17,18] 등이 있으나 농촌융복합산업과 연계한 식생활교육에 관한 연구는 청소년의 농촌체험 식생활 교육 연구[19], 지속 가능한 식생활교육 방안[20], 슬로라이프 기반 식생활교육[1] 등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성별 및 학년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식생활교육과 연계한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성별 및 학년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식생활교육과 연계한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8개교 152명이다.

가설 설정

  • 1: Very much so. 2: Yes, 3: Modera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교육이란? 식생활교육이란 일반 교과 교육과는 달리 올바른 영양지식을 실제 식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행동 변화의 실천 과정이다. 즉, 영양교육의 목적은 단순한 영양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양지식을 실제 실생활에 적용하여 보다 합리적인 식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으므로[6,7],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양교육의 목적은? 식생활교육이란 일반 교과 교육과는 달리 올바른 영양지식을 실제 식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하도록 유도하는 행동 변화의 실천 과정이다. 즉, 영양교육의 목적은 단순한 영양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양지식을 실제 실생활에 적용하여 보다 합리적인 식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으므로[6,7],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바른 식생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은 어떠한 것들인가? 바른 식생활을 위해서는 올바른 영양지식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신념과 태도 형성을 바르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음식의 우수성, 아침 식사의 중요성, 영양표시제, 식생활 관련 문제해결능력 향상, 균형 잡힌 식생활 등의 수업이 효과적이다[9]. 식생활교육은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아동이 실생활에 적용하여 잘못된 식습관이 올바르게 변화될 수 있도록 실시되어질 때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 W. Lee, Y. S. Na and M. S. Cho,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Cult., Vol. 31, No. 2, pp.111-120, 2016. 

  2. K. H. Lee, E. S. Her and T. J. Woo,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manual in elementary school", J.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ol. 11, No. 2, pp.205-215, 2005. 

  3. H. S. Yoon, J. S. Re and E. S. Her,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nutrition in the Ky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Vol. 6, No. 1, pp.84-90, 2001. 

  4. E. S. Her, H. L. Yang, H. S. Yoon and K. H. Lee, "Nutritional education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the Gyeo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Vol .7, No. 6, pp.781-793, 2002. 

  5. E. K. Kim,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Vol. 6, No. 5, pp.905-920, 2001. 

  6. E. S. Her, S. G. Lee, H. J. Park and K. H. Lee,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Vol. 10, No. 6, pp.795-804, 2005. 

  7. E. H. Weiss and C. L. Kien, "A synthesis of research on nutrition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 School Health, Vol. 57, No. 1, pp.8-11, 1987. 

  8. Eun-Hee Min, "Effect of green dietary lif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health,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Master's thesis, pp.33-34, Chongju National University, 2012. 

  9. E. Y. Sang and J. W. Kim, "Development of STEAM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of Korean Arts Education, Vol. 29, No. 1, pp.1-18, 2016.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nd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1. K. S. Kang, "Production of content for regional sources of the convergence industrialization : based on agricultural management entiti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in Chungcheongnam-do",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483-490, 2015. 

  12. M. K. Jung and S. H. Kim, "The nutritional aspect of Tofu",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177-184, 2016. 

  13. Y. H. Kim, "Development of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program using practical problem solving methods", J.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8, No. 1, pp.53-67, 2015. 

  14. J. H. Cho,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Chongnam National University, 2012. 

  15. M. J. Kim, "Improving and realization of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 about ecology diet for improving child diet program",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0. 

  16. Y. Y. Joo, J. E. Lee, J. Y. Yoo, J. H. Kim and I. K. Ju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grams for green dietary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J. of Korean Education Inquirry, Vol. 33, No. 4, pp.353-373, 2015. 

  17. S. K. Jeon,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J.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Vol. 22, No. 1, pp.117-135, 2010. 

  18. H. S. Kim and J. W. Kim,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ir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J.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2, No. 2, pp.107-122, 2016. 

  19. Y. K. Kim and K. Y. Sim, "Current state of dietary life education through rural activities for adolescent", Korean J. of Human Ecology, Vol. 22, No. 1, pp.231-243, 2013. 

  20. M. Y. Hwang,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nd Dietary Education, 2009. 

  21. http://www.greentable.or.kr/2016.12.31 

  2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Diet Education National Network, Green Dietary Life to Practice Environment, Health and Care, 2010. 

  23. K. Peter and K. Alison, "Children's friendships and learning in school: Cognitive enhancement through social interaction", British J. Educ. Psychol., Vol. 75, No. 4, pp.521-538, 2005. 

  24. S. Y. Kim and H. S. Kim,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23, No. 5, pp.556-562, 2008. 

  25. H. N. Park, H. S. Jeong and N. M. Joo,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J.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23, No. 4, pp.455-461, 2008. 

  26. H. S. Kim and J. W. Kim,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ir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The J.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Vol. 22, No. 2, pp.107-122, 2016. 

  27. M. S. Song, "Convergence models of evaluation system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15-122, 2015. 

  28. I. S. Kim and S. Y. Kim,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 of IT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107-114, 2016. 

  29. K. I. Kim, "The impact of several management tools and techniques adoption on small business enterprises' performance", J. of IT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7-1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