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Cop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55 - 65  

이은숙 (경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처가 우울 및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처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우울은 생활스트레스, 회피중심 대처와 정적 상관관계를, 주관적 안녕감은 생활스트레스, 회피중심 대처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생활스트레스, 회피중심 대처와 부적 상관관계를, 문제해결중심 대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피 중심대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중심 대처의 사용 정도가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간호대학생들의 우울을 감소하고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회피중심 대처를 감소하고 좀 더 효율적인 대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 대처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on the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147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경험이 우울,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처전략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대처를 매개하여 우울,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처가 우울과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활스트레스와 대처가 간호대학생의 우울 및 주관적․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처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우울과 주관적․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회피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에 취약한 간호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우울 예방 및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생활스트레스란 생활환경에서의 혼란이 개인의 항상성 유지를 위협하고, 이러한 위협을 충분히 대처하지 못할 때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1]. 국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조사에 의하면 대학생활에서 가장 크게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학업, 진로 및 취업, 가치관 및 경제 문제와 같은 당면문제 스트레스였고[2],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반응을 유발하고[2-4], 안녕감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7].
대학생활에서 가장 크게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생활스트레스란 생활환경에서의 혼란이 개인의 항상성 유지를 위협하고, 이러한 위협을 충분히 대처하지 못할 때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1]. 국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조사에 의하면 대학생활에서 가장 크게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학업, 진로 및 취업, 가치관 및 경제 문제와 같은 당면문제 스트레스였고[2],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다양한 부정적 정서반응을 유발하고[2-4], 안녕감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7].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8]에서는 대학생이 속한 18~29세의 연령대에서 정신장애 유병률이 가장높았고, 주요우울장애는 2006년에 비해 73.
간호대학생이 학업 관련 스트레스가 높은 이유는? 이러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는 간호대학생의 건강과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인식되어 왔고, 신체적 질병뿐만 아니라 정서적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부적응을 유발하여 간호대학생의 안녕감을 낮추고,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18]. 실제로 국내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는 일반 대학생들보다 낮은 수준이었고[19], 경증 우울은 20.3%, 중등도 및 심한 우울은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 K. Chon, K. H. Kim,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137-158, 1991. 

  2. E. H. Lee,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1, pp. 25-48, 2004. 

  3. S. J. Gong, E. H. Lee, "Mediation effect of coping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1, no. 1, pp. 21-40, 2006. 

  4. G. H. Park,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6, pp. 779-788,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6.779 

  5. N. M. Kim, S. S. Kim,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2, pp. 1125-1144, 2013. DOI: http://dx.doi.org/10.15703/kjc.14.2.201304.1125 

  6. H. Ko, M. Lee, "The effects of flow on stress and well-being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flow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1, no. 4, pp. 283-292, 2013. 

  7. J. Y. Paik, S. G. Seo,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on well-being: meaning in life as moderator",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3, no. 3, pp. 509-529, 2014.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14.33.3.004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9. P. Burnard, D. Edwards, K. Bennett, H. Thaibah, V. Tothova, D. Baldacchino, P. Bara, J. Mytevelli, "A comparative,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in student nurses in five countries: Albania, Brunei, the Czech Republic, Malta and Wales", Nurse Education Today, vol. 28, no. 2, pp. 134-14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7.04.002 

  10. S. K. Cha, E. M.. Lee, "Comparison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students of other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650-658,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650 

  11. H. R. Hakojarvi, L. Salminen, R. Suhonen, "Health care students' personal experiences and coping with bullying in clinical training", Nurse Education Today, vol. 34, no. 1, pp. 138-144, 2014.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2.08.018 

  12. C. Gibbons, M., Dempster, M. Moutray,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7, no. 3, pp. 621-632, 2011.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495.x 

  13. Y. S. Kim, J. Y. Seo,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6, no. 6, pp. 1439-1452, 2015. DOI: http://dx.doi.org/10.7465/jkdi.2015.26.6.1439 

  14. H. J. Park,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6, no. 1, pp. 14-23. 2010.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1.014 

  15. P. Klainin-Yobas, O. Keawkerd, W. Pumpuang, C. Thunyadee, W. Thanoi, H. G. H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on the stress and health relationships among nursing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70, no. 6, pp. 1287-1298, 2013. DOI: http://dx.doi.org/10.1111/jan.12283 

  16. S. H. Shi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2, no. 1, pp. 14-24, 2016.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6.22.1.14 

  17. S. J. Yu, M. R. Song, E. M. Kim,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1, pp. 71-80,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71 

  18. S. H. Jeong, S. H. Park,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16, no. 1, pp. 47-54, 2013. DOI: http://dx.doi.org/10.7587/kjrehn.2013.47 

  19. W. H. Jun, K. S. Cha, K. L. Lee, "Factors aff 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2, pp. 276-284,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2.276 

  20. H. S. Park,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471-481,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471 

  21. C. Segrin, A. Hanzal, C. Donnerstein, M. Taylor, T. J. Domschke, "Social skil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tress", Anxiety Stress & Coping, vol. 20, no. 3, pp. 321-329, 2007. DOI: http://dx.doi.org/10.1080/10615800701282252. 

  22. D. P. Moreira, A. R. F. Furegato, "Stress and depression among students of the last semester in two nursing courses", Lati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vol. 21, pp. 155-162, 2013. DOI: http://dx.doi.org/10.1590/s0104-11692013000700020 

  23. R. S. Lazarus,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 Co, 1984. 

  24. J. H. Ha, S. H. An, "The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stress, coping styles,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impulsiv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0, no. 4, pp. 1149-1171, 2008. 

  25. P. N. Park,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9, no. 1, pp. 1-10, 2016. DOI: http://dx.doi.org/10.15434/kssh.2016.29.1.1 

  26. E. Diener, E. M. Suh, R. E. Lucas,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5, pp. 276-302, 1999.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25.2.276 

  27. C. L. M. Keyes, D. S.hmotkin, C. D. Ryff,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2, no. 6, pp. 1007-1022, 2002.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82.6.1007 

  28. K. K. Chon, K. H. Kim, J. S. Lee,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 316-335, 2000. 

  29. J. H. Amirkhan,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9, no. 5, pp. 1066-1074,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9.5.1066. 

  30. H. J. Shin, C. D. Kim,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4, no. 4, pp. 919-935, 2002. 

  31. K. K. ,Chon, S. C. Choi, 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ychology, vol. 6, no. 1, pp. 59-76, 2001. 

  32. E. K Suh, J. S. Koo,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S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5, no. 1, pp. 95-113, 2011. 

  33.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it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7, pp. 1069-1081, 1989.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7.6.1069 

  34. M. S. Kim, H. W. Kim, K. H. Cha,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5, no. 2, pp. 19-39, 2001. 

  35. J. Por, L. Barriball, J. Fitzpatrick, J. Roberts,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 31, no. 8, pp. 855-860, 2011.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0.12.023 

  36. S. H. Kim, S. H. Lee,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7, no. 1, pp. 63-72. 2015.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63 

  37. Y. S. Kim, M. Y. Han,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1, no. 5, pp. 501-510,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5.501 

  38. C. Y. Kim, "Self-differentiation, stress level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38-247, 2006. 

  39. A .G. Horwitze, R. M., Hill, C. A. King, "Specific coping behaviors in relation to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Adolescence, vol. 34, no. 5, pp. 1077-1085,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dolescence.2010.10.004 

  40. H J. Kim, Y. M. .Baek, "The effects of optimism and stress coping style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7, no. 3, pp. 683-699, 2006. 

  41. K. H. Ham, B. H. Byeon, S. M. Che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2, no. 6, pp. 2163-2176, 2011. DOI: http://dx.doi.org/10.15703/kjc.12.6.201112.2163 

  42. H. F. Wang, M. C. Yeh,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health of vocational high school nursing students associated with a competitive entrance exam", Journal of Nursing Reserch, vol. 13, no. 2, pp. 106-116, 2005. DOI: http://dx.doi.org/10.1097/01.jnr.0000387532.07395.0b 

  43. J. W. Lee, Y. S. Eo, "Effect of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2, pp. 125-134, 2013.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2.125 

  44. J. S. Mahmoud, R. Staten, L. A. Hall, T. A. Lenni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xiety, stress, demographics,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styles", Issues Mental Health Nursing, vol. 33, no. 3, pp. 149-156, 2012. DOI: http://dx.doi.org/10.3109/01612840.2011.632708 

  45. S. C. Hayes, J. B. Luoma, F. W. Bond, A. Masuda, J. Lilli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4, no. 1, pp. 1-25, 2006. DOI: http://dx.doi.org/10.1016/j.brat.2005.06.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