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NP 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 개발 : 공주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sel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through analytic network process : a case study of Gong-ju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 2017년, pp.115 - 123  

정연준 (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이경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국적으로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한정적인 도시재생 예산으로 인해 우선 추진지역의 선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여건과 도시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와 ANP 분석을 활용한 가중치 산정을 통해 공주시를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및 관련 사례분석을 통해 58개 도시재생 지표를 도출하고, 공주시 지역여건 및 도시특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5개 분야, 16개 지표를 공주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도시재생 분야 전문가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ANP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구특성(0.244)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산업경제(0.218), 정책추진 여건(0.193), 사회문화(0.188), 물리환경(0.15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6개 세부지표의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도시재생사업 성공가능성이 높은 대상지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민갈등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dicator for the sel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through an analytical network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five criteria and 58 indica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Five criteria and 16 indicators were deriv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여건과 도시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와 ANP 분석을 활용한 가중치 산정을 통해 공주시를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 분석의 한계는? AHP 분석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 쌍대비교를 통해 설문자의 지식, 경험, 직관을 포착하는 의사결정방법론 중 하나로 이론의 단순성, 명확성, 범용성 등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AHP 분석은 계층구조가 명확하지 않고 각 요소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의사결정구조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ThomasSaaty(1996)는 Super Matrix를 활용한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하여 목표, 기준, 대안 사이의 상호 관계 및 피드백 과정을 포함하는 ANP 분석을 개발하였는데, 이를 통해 의사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기준들 간의 복잡한 구조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재생 전략계획과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한계점은? 현재 전국적으로 많은 지자체들이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도시재생 전략계획과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한정적인 예산으로 인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의 우선순위 선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국토교통부의 정량적 기준(인구 감소, 사업체 감소, 노후 건축물 비율 등)이 일괄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지역여건과 도시특성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이를 반영하여 지역여건과 도시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정지표에 대한 연구가 몇몇 진행되고 있으나 보다 객관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AHP 분석이란? 도시재생 지표 가중치 산정을 위해 최근에는 전문가설문조사를 이용한 AHP 분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AHP 분석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 쌍대비교를 통해 설문자의 지식, 경험, 직관을 포착하는 의사결정방법론 중 하나로 이론의 단순성, 명확성, 범용성 등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AHP 분석은 계층구조가 명확하지 않고 각 요소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의사결정구조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 Planners Association, Urban Regeneration, Seoul: Boseongkag, 2015. 

  2. J. Y. Kim, B. H. Park, "Analysis on the Local Cities Using Multiple declin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pp. 83-99, 2009. 

  3. S. Y. So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Declining and the Plan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Non Growing Type Cities in Korea", Kang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February, 2007. 

  4. H. J. Song, "The Study for Analyzing a Declining Reason and a Reviving Plan of Downtown",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5. I. J. Kim, "A Study on the Dec line of Cheonan City Center due to New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2008. 

  6. M. J. Kim, Y. J. Jang, K. I. Kim., S. I. Lee, "Types of Urban Deprivation on th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Korea Planners Conference(Spring/Autumn), pp. 245-253 vol. 3, no. 1, 2009. 

  7. H. W. Choi, S. Y. Yoo, "criteria for the decision of Newtown project through the urban decline index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 Focused on Changshin-dong in Changshin-Sungin New Town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7, no. 5, pp. 53-67, 2012. 

  8. W. H. Lee, "The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Selecting underdevelopment region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6. 

  9. Y. A. Jo, "A study on urban decline index",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7, no. 5, pp. 117-134, 2014. 

  10. C. Couch, A. Dennemann,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Britain", Cities, vol. 17, no. 2, pp. 137-147, 2000. DOI: https://doi.org/10.1016/S0264-2751(00)00008-1 

  11. S. J. Han, "Study on the Alternative Selection Criteria for the Underdeveloped Zon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6, pp. 40-53, 2001. 

  12. J. E. Park, B. S. Choi,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Residential Improvement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9, no. 1, pp. 179-180, 2003. 

  13. C. Watson, "Urban Regeneration and Sustainable Communities", Green Tech, Eco Life & Sustainable for Cities of Tomorrow, vol. 2009, no. 1, pp. 109-122, 2009. 

  14. M. J. Kang, "A Study on Evaluating Indicators of Blighted area at Commercial Zones for Urban Regeneration", Kyugpoo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7. 

  15. J. J. Le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ssignment standards of housing environmental maintenance project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16. H. J. Kim, "The regeneration policy in connection with historic and cultural assets in local small city", Jou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3, no. 4, pp. 123-147, 2011. 

  17. S. J. Hong, Y. H. Hong, "Evaluation Indicator for Areas to Applicat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5, pp. 153-167, 2015.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5.08.50.5.153 

  18. J. H. Kim, T. H. Kwon, M. S. Baik, S. H. Lee, "Study on the Assessment of Revitalization Candidate Area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ou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vol. 13, no. 3, pp. 41-59, 2015. 

  19. K. C. Kim, K. Y. Kim, "A Study of Evaluation Indexes of Site Selection for the Urban Regeneration Scheme: Focused on the Special Actson the Promotion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Real estate school newspaper, vol. 6, no. 1, pp. 31-45, 2015. 

  20. Y. J. Kim, S. J. Hong, K. H. Ahn,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old city center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rough Analytic Network Process", Jou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4, no. 3, pp. 89-108, 2011. DOI: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089 

  21. J. K, Kim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iteria for priority support project of housing environmental maintenance projects : the case of Gyeonggi-do"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22. H. J. Kim, "Improvement Strategy on the Standards to Determine a Renewal District by Scenarized Simulations for Blighted Residential Area",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23. M. J. Park, "Study of the city regeneration in Yanglimdong at Kwangju city and the conflict structure among parti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24. T. L. Saaty,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 The Analystic Network Process, Pittsborgh:RWS Publication, 1996. 

  25. T. L. Saaty, Decision Making For Leaders, Pittsburgh:RWS Publication, 1999-2000 ed. 

  26. J. Aczel, T. L. Saaty,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atio Scale Judgement",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vol. 27, no. 1, pp. 93-102, 1983. DOI: https://doi.org/10.1016/0022-2496(83)900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