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과 사망: 3년 추적연구
Geriatric Syndrome and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3-year Follow-up Stud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1, 2017년, pp.98 - 107  

이시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riatric syndrome on mort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with a baseline study in 2008 and a 3-year follow-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노인증후군은 노인의 사망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중요하지만, 미국에서 노인증후군 관련 질환이 노인의 생존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 문헌고찰 연구[12]와 geriatric syndrome모델을 토대로 노인증후군의 선별검사가 노인 사정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분석한 연구[13], 일본에서 7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신체기능 측정이 노인증후군의 지표가 되는지 확인한 연구[10]가 이루어진 것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노인증후군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모델이 제시한 이론을 토대로 공유 위험인자, 노인증후군과 허약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에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별[6], 교육수준[7], Body Mass Index (BMI)[14], 낙상[6], 우울[7], 허약[14] 등이 사망 위험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geriatric syndrome 모델과 연결하여 확인한 연구는 찾기 어려워서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3년간 추적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종단 연구이다.
  • 본 연구는 Inouye 등[4]의 geriatric syndromes 모델을 이론적 기틀로 하여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우선, 대상자의 생존 여부에 따라 특성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요실금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3년간 추적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망에 성별, 연령, 교육수준, IADLs 제한, 우울, 허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표하는 대규모 종단 자료인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증후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 한국 노인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표하는 대규모 종단 자료인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노인증후군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증후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고, 한국 노인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노인을 대표하는 대규모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종단 연구를 통해 노인증후군과 사망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노인의 사망 위험인자를 확인한 것은 노인의 생존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특징은? 8%로, 노인의 사망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1]. 노인은 노화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며,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지닐 뿐만 아니라 다약물복용(polypharmacy) 등으로 인해 비전형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어 사망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2,3].
geriatric syndrome 모델에서 말하는 공유 위험인자란 무엇인가? 또한, 허약이 발생한 노인은 다시 공유 위험인자를 증가시키며, 노인증후군을 더욱 악화시켜 악순환이 지속된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공유 위험인자란 노인증후군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고령, 인지장애, 기능장애와 거동장애를 의미하며[4], 본 연구에서는 연령, 인지장애와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인 성별[6]과 교육수준[7]도 노인의 사망에 영향을 준다고 하여 공유 위험인자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증후군이란? 이러한 노인의 특징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들을 노인증후군(geriatric syndrome)이라 일컫는데, 기존의 진단명으로 구분되지 않지만, 노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임상증후군을 의미한다[3,4]. Inouye 등[4,5]의 정의에 따르면, 노인증후군은 ‘다발성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쇠약한 노인의 기능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심각한 장애나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다인자성 건강상태’라고 하였다. 이처럼 노인증후군은 사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사망률과 이환율을 예견케 하는 지표이므로[3]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한다면 노인의 사망을 줄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December 7]. Available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svc/SvcMetaDcDtaPopup.do?orgId101&confmNo101054&kosisYnY 

  2. Rhee JA, Yoo HJ. Health status of elderly Koreans. In: Choi SJ, editor. Aging in Korea: today and tomorrow. 3rd ed. Seoul: Elderly Information Center; 2013. p. 52-66. 

  3. Yoo HJ. Clinical implications of geriatric syndrom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4;57(9):738-42. https://doi.org/10.5124/jkma.2014.57.9.738 

  4. Inouye SK, Studenski S, Tinetti ME, Kuchel GA. Geriatric syndromes: clinical,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of a core geriatric concep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7;55(5):780-91.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7.01156.x 

  5. Tinetti ME, Inouye SK, Gill TM, Doucette JT. Shared risk factors for falls, incontinence, and functional dependence: unifying the approach to geriatric syndrom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273(17):1348-53. https://doi.org/10.1001/jama.1995.03520410042024 

  6. Yeom JH. The effect of falling on the mortality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5;68:389-408. 

  7. Jeong HG, Lee JJ, Lee SB, Park JH, Huh YS, Han JW, et al. Role of severity and gend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life depression and all-cause mortali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3;25(4):677-84. https://doi.org/10.1017/S1041610212002190 

  8. Nam S, Al Snih S, Markides K. Lower body function as a predictor of mortality over 13 years of follow up: findings from Hispanic Established Population for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Elderly.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6;16(12):1324-31. https://doi.org/10.1111/ggi.12650 

  9. The Education Committee Writing Group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Core competencies for the care of older patients: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cademic Medicine. 2000;75(3);252-5. 

  10. Seino S, Yabushita N, Kim MJ, Nemoto M, Jung S, Osuka Y, et al.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as a useful indicator of multiple geriatric syndromes in women aged 75 years and older.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3;13(4):901-10. https://doi.org/10.1111/ggi.12029 

  11.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3):M146-56. 

  12. Kane RL, Shamliyan T, Talley K, Pacala J. The association between geriatric syndromes and surviv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2;60(5):896-904.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2.03942.x 

  13. Carlson C, Merel SE, Yukawa M. Geriatric syndromes and geriatric assessment for the generalist.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15;99(2):263-79. https://doi.org/10.1016/j.mcna.2014.11.003 

  14. Lee YH, Kim JH, Han ES, Ryu MK, Cho YY, Chae SI. Frailty and body mass index as predictors of 3-year mortality in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Gerontology. 2014;60(6):475-82. https://doi.org/10.1159/000362330 

  15.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Policy Report.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February. Report No.: 11-1351000-000316-12. 

  16. Sackett DL, Straus SE, Richardson WS, Rosenberg W, Haynes RB.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2nd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000. 

  17. Allison PD. Survival analysis. In: Hancock GR, Mueller RO, editors. The reviewer's guide to quantitative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1st ed. New York: Routledge; 2010. p. 413-24. 

  18. Lee SE, Hong GRS.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men: a comparis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6;25(3):217-2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3.217 

  19.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75;12(3):189-98. 

  20. Lee JH, Lee KU, Lee DY, Kim KW, Jhoo JH, Kim JH,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2;57(1):47-53. https://doi.org/10.1093/geronb/57.1.P47 

  21. Lawton MP, Brody EM.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1969;9(3):179-86.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22. Won CW, Rho YG, Duk SW, Lee Y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Th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2002;6(4):273-80. 

  23. Lee SE, Hong GRS.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living alone in Korea.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16;30(5):513-20. https://doi.org/10.1016/j.apnu.2016.05.002 

  24. Yesavage JA, Sheikh JI.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5.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1):48-63. 

  26. Teng PR, Yeh CJ, Lee MC, Lin HS, Lai TJ. Depressive symptoms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elderly persons: results of a national longitudinal study. Aging and Mental Health. 2013;17(4):470-8. https://doi.org/10.1080/13607863.2012.747081 

  27. John G, Bardini C, Combescure C, Dallenbach P. Urinary incontinence as a predictor of dea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6;11(7):e015899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58992 

  2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a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Policy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426-12. 

  29. Santabarbara J, Lopez-Anton R, Marcos G, De-la-Camara C, Lobo E, Saz P, et al. Degre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mortality: a 17-year follow-up in a community study.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2015;24(6):503-11. https://doi.org/10.1017/S2045796014000390 

  30. Chang SF, Lin PL. Frail phenotype and mortality predi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8):1362-7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5.04.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