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변수 개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Variable Concep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6 no.1, 2017년, pp.81 - 100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조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정원 (신탄진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variable is a big idea to develop algebraic thinking. Variable has multiple meanings such as the unknown, a tool for genera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ying quant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in what ways the meanings of variable were presented in the current element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수 개념에 관한 지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2011). 이를 위해 변수 개념에 관한 지도는 형식적인 기호의 지도가 아닌 기호화된 변수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는 변수 개념의 지도에 있어 기호 표현과 그 기호에 대한 조작에 치중하기 보다는 변수의 개념과 변수 사이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김남희, 1997).
대수와 관련된 수학 학습을 할 때 변수의 의미와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학생들이 대수와 관련된 수학 학습을 성공적으로 학습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변수의 의미와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결한 형식으로 수학적 구조와 관계를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 대수 학습에서 변수는 연산과 수를 조합하는 수학적 언어와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Blanton et al., 2011).
중등학교 학생들이 변수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에서 본격적으로 변수에 대한 개념이 도입되고, 여러 단원에서 변수의 다양한 측면이 모두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등학교 학생들이 변수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상당수의 학생들이 변수의 다양한 의미와 역할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변수를 표현하고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남희, 1992; 송욱빈, 2003; 임만석, 2007; Wagner, 1981). 이는 중학교에서 변수 개념이 도입될 때 충분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변수를 지도할 때 변수의 개념과 그 관계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단지 형식적 조작의 대상으로만 다루어 왔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소희, 방정숙 (2008).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 학교수학, 10(2), 139-154. Kang, S.H. & Pang, J.S. (2008).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letters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thematics 10(2), 139-154. 

  2.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a).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361 [Separate volume 8]. 

  3.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수학 6-2, 서울: 두산동아.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b). Elementary mathematics 6-2, Seoul: Doosan Dong-A. 

  4. 교육부 (2014a).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a). Elementary mathematics 3-1, Seoul: Chunjae Education. 

  5. 교육부 (2014b).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b). Elementary mathematics 3-2, Seoul: Chunjae Education. 

  6. 교육부 (2014c).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c). Elementary mathematics 4-1, Seoul: Chunjae Education. 

  7. 교육부 (2014d).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d). Elementary mathematics 4-2, Seoul: Chunjae Education. 

  8. 교육부 (2014e). 수학 익힘책 4-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e).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4-1, Seoul: Chunjae Education. 

  9. 교육부 (2014f). 수학 익힘책 4-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4f).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4-2, Seoul: Chunjae Education. 

  10. 교육부 (2015a).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mathematics 5-1, Seoul: Chunjae Education. 

  11. 교육부 (2015b).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mathematics 5-2, Seoul: Chunjae Education. 

  12. 교육부 (2015c).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c). Elementary mathematics 6-1, Seoul: Chunjae Education. 

  13. 교육부 (2015d).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d). Elementary mathematics 6-2, Seoul: Chunjae Education. 

  14. 교육부 (2015e). 수학 익힘책 5-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e).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15. 교육부 (2015f). 수학 익힘책 5-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f).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5-2, Seoul: Chunjae Education. 

  16. 교육부 (2015g). 수학 익힘책 6-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g).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17. 교육부 (2015h). 수학 익힘책 6-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5h).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6-2, Seoul: Chunjae Education. 

  18. 교육부 (2016a). 수학 1-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a). Elementary mathematics 1-1, Seoul: Chunjae Education. 

  19. 교육부 (2016b). 수학 1-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b). Elementary mathematics 1-2, Seoul: Chunjae Education. 

  20. 교육부 (2016c).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c). Elementary mathematics 2-1, Seoul: Chunjae Education. 

  21. 교육부 (2016d).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d). Elementary mathematics 2-2, Seoul: Chunjae Education. 

  22. 교육부 (2016e). 수학 익힘책 1-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e).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1-1, Seoul: Chunjae Education. 

  23. 교육부 (2016f). 수학 익힘책 2-1,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f).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2-1, Seoul: Chunjae Education. 

  24. 교육부 (2016g). 수학 익힘책 2-2, 서울: 천재교육. Ministry of Education (2016g). Elementary mathematics workbook 2-2, Seoul: Chunjae Education. 

  25. 김남희 (1992). 변수개념과 대수식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Kim, N.H. (1992). The study of the notion of variable and the understanding of algebraic expression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6. 김남희 (1997). 변수 개념의 교수학적 분석 및 학습 지도 방향 탐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Kim, N.H. (1997). Didactical analysis of variable concept and search for direction of its learning-teaching.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7. 김남희 (1999). 학교 수학의 변수 개념 학습과 관련된 몇 가지 지도 문제에 대하여, 학교수학 1(1), 19-37. Kim, N.H. (1999). On some teaching problems related to the learning of variable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1), 19-37. 

  28. 김성애, 김성준 (2013). 초등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자와 식 내용 분석: 6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05-128. Kim, S.H. & Kim. S.J. (2013). Analysis on letter and expressi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7(1), 105-128. 

  29. 김정원 (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 방향 탐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Kim, J.W. (2014).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func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0. 방정숙, 선우진 (2016).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1-18. Pang., J.S. & Sunwoo, J. (2016). An analysis on teaching methods of patter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9(1), 1-18. 

  31. 방정숙, 최지영 (2011). 범자연수와 연산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수학교육 50(1), 41-59. Pang., J.S. & Choi. J.Y. (2011). An analysis of the whole numbers and their opera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algebra as generalized arithmetic,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1), 41-59. 

  32. 송욱빈 (2003).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 이해 및 인지적 장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Song, W.B. (2003). A study on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concept of variable and cognitive obstacles in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3. 임만석 (2007).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에 대한 이해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Yim, M.S. (2007).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middle school 2nd and 3rd grader understanding of concept of variabl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4. 최지영 (2011). 초등학교에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방향 탐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Choi, J.Y. (2011).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to foster algebraic reasoning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5. 최지영, 방정숙 (2012).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학교수학 14(3), 275-296. Choi, J.Y. & Pang, J.S. (2012).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s, School Mathematics 14(3), 275-296. 

  36. 하수현, 이광호 (201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변수개념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 50(2), 213-231.(Ha, S.H. & Lee, G.H. (2011). Case study on the 6th graders'understanding of concepts of variable, The MathematicalEducation 50(2), 41-59.) 

  37. Baroody, A.J., & Coslick, R.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J.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J. Dougherty & R.M.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9. Blanton, M., Stephens, A., Kunth, E., Gardner, A., & Isler, I. (2015).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lgebraic thinking: the impact of a comprehensive early algebra intervention on the third grad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39-87. 

  40. Brizuela, B.M., Blanton, M., Sawrey, K., Newman-Owens, A., & Gardiner, A.M. (2015). Children's use of variables and variable notation to represent their algebraic idea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7, 34-63. 

  41. Carraher, D.W. & Schliemann, A.D. (2007). Early algebra and algebraic reaso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69-70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2. Kieran, C., Pang, J., Schifter, D., & Ng, S.F. (2016). Early algebra: Research into its nature, its learning, its teaching, New York: Springer. 

  4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44.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s. In A.F. Coxford & A.P. Shulte (Eds.), The ideas of algebra K-12: 1988 Yearbook (pp. 8-1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5. Wagner, S. (1981). Conservation of equation and function under transformations of variabl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2(1), 10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