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탁주 주박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Takju pomac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1, 2017년, pp.8 - 12  

임채윤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김미향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강우원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탁주 부산물로 얻어지는 주박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고 5-15% 수준으로 첨가하고 이에 따른 쿠키의 pH, 수분함량, 색도와 조직감, 관능평가를 통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주박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 반죽의 pH는 3.04-6.52 수준으로 주박 분말 5% 첨가구에서는 무첨가보다 낮아지고 10% 이상에서는 주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주박 5% 첨가 수준은 무첨가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10% 이상의 첨가에서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는 주박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L 값과 b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주박 분말 10% 첨가구에서 외관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고, 향과 질감 기호도에서는 5%가 가장 높았다(p<0.05).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한 주박 첨가량은 10%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the powder of pomace powder, which was produced as a by-product in Korean rice wine (Takju). The quality of cookies was evaluated based on moisture content, color, hardness, and sensory evaluation. Cookies were prepared by a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박과 관련된 연구 결과로는 제빵 첨가제(7), 주박을 첨가한 브라운소스(8), 국수(9), 약과(10), 고추장(11) 등으로 아직 연구가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 산업 부산물인 주박을 식품재료로써 재활용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pH, 수분함량, 색도와 조직감, 관능평가를 통하여 주박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주박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관능평가는 본 실험의 목적과 쿠키의 특성 및 평가 방법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남·여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색(color), 향(flavor), 조직감(texture), 맛(taste), 전반적인 선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5점 기호 척도법(1점, 매우 나쁘다; 5점, 매우 좋다)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주박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쿠키반죽의 pH 측정은 AOAC법(12)을 변형하여 쿠키반죽 5 g을 증류수 50 mL에 섞어서 5분간 혼합하여 현탁액의 상태로 만들어 pH meter(Model D-51 Horiba, Japan)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주박분말 첨가 쿠키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주박은 은척 양조장(Sangju, Korea)에서 쌀막걸리 제조 후 생산 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40℃에서 4시간 동안 열풍건조하고 food mixer로 분쇄 후 20 mesh를 통과시킨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밀가루, 설탕은 (주)삼양사(Sungnam, Korea)의 큐원 제품을, 쇼트닝은 서울우유, 베이킹파우더(baking powder)는 (주)신광식품산업사(Gimhae, Korea) 제품, 계란은 상주 농산(Sangju, Korea)제품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1)Means in each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1)Means in each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1)Means in each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1)Means in each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 3회 반복 측정한 각 실험 결과와 관능평가 결과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료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 제조 후 남는 주박은 어떤 효과를 갖는 가? 주박(酒粕)이란 탁주 제조 시 생성되는 부산물로서, 현재 탁주공장에서는 사용한 원료 곡물의 약 20%가 주박의 형태로 배출되고 있는 일종의 식품 산업 폐기물이다(3). 막걸리를 제조했을 때 남는 주박(술지게미)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 고혈압 억제 및 혈당개선 효과가 있으며(4), 주박 식이섬유는 비만 환자에서 허리둘레, 중성 지방 및 식후 혈당과 인슐린과 같은 비만, 당뇨 및 지질 대사 이상과 관련된 인자들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5). 일본에서도 청주를 거르고 난 후의 술지게미인 주박의 생리기능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주박이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등에 효과가 있으며, 뇌경색, 심근경색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알레르기체질을 개선하고,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갖고 있음을 보고하고, 이들 성분을 이용한 건강식품 또는 기능성 제품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6).
제과류 중 쿠키는 무엇인가? 특히 쿠키, 빵 등 바쁜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간식이나 식사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제과·제빵류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가통계포털(KOSIS)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과자-비스킷류 생산량은 2009년에 123,209톤에서 2014년에는 413,111톤으로 3배 이상의 성장을 보이며 점차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1). 제과류 중 쿠키는 한식과자에 대응하는 서양의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써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고 크기가 작은 과자를 일컫는데, 이러한 특징 때문에 미생물적인 변패가 적고 저장성이 우수하여 언제 어디서나 먹기 간편하고 맛이 좋아 현대인들이 주된 간식으로 이용되고 있다(2). 한편, 최근의 트랜드인 웰빙에 맞추어 현재 소비자들은 단순히 에너지를 얻기 위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적이며 건강과 기능적인 면을 생각하는 식생활 패턴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친환경적, 기능적 식품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 질것으로 예상된다.
식품 문화의 단순화, 간편화, 외식화에 따라 우리나라의 제과 소비와 과자 생산량의 추세는 어떠한가?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 외식산업의 발달, 단체급식의 발달, 서구형 식생활 유입 등에 따라 과거 밥 위주의 식사였던 국민의 식생활이 빵과 국수 등 밀가루 음식으로 바뀌고 있으며 더불어 식품 문화의 단순화, 간편화, 외식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쿠키, 빵 등 바쁜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간식이나 식사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제과·제빵류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국가통계포털(KOSIS)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과자-비스킷류 생산량은 2009년에 123,209톤에서 2014년에는 413,111톤으로 3배 이상의 성장을 보이며 점차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1). 제과류 중 쿠키는 한식과자에 대응하는 서양의 대표적인 기호식품으로써 수분함량이 5% 이하로 낮고 크기가 작은 과자를 일컫는데, 이러한 특징 때문에 미생물적인 변패가 적고 저장성이 우수하여 언제 어디서나 먹기 간편하고 맛이 좋아 현대인들이 주된 간식으로 이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Quantities of production, shipment (Domestic, Export) (2015) Available from: http://kosis.kr. Accessesd Oct. 20 

  2.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3. Kim SM, Cho WK (2006) Effects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638-643 

  4. Chandalia M, Garg A, Lutjohann D, von Bergmann K, Grundy SM, Brinkley LJ (2000) Beneficial effects of high dietary fiber intak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342, 1392-1398 

  5. Lee MS (2010) Dietary fiber from lees of unpolished rice: clinical effect on the obese. MS Thesis, Ajou University, Korea, p 7 

  6. Hattori I, Sato K, Suzuki T, Kamiya M, Kato N (2010) The effect of the material and processing time on the nutritive value of the Shochu condensed distiller soluble.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for Kyushu Okinawa Region, 53, 175-181 

  7. Jeong JW, Park K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58 

  8. Lee JP (2008)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adding different ratios of Jubak.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 152-160 

  9. Kim SM, Yoon CH, Cho W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Korean J Food Culture, 22, 359-364 

  10. Cho EJ, Yang MO, Kang HJ (200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ckwa with added rice wine cak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94-102 

  11. Lee KS, Kim DH (1991) Effect of sake cake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Kochuz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09-115 

  12. AOAC (1996) Approved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943 

  13. Chae SK (2009) Food analysis. Jigumonhwasa Co, Seoul, Korea, p 22 

  14. Kim AJ, Joung KH, Shin SM, Lim HJ, Cho J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arlic past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 2178-2184 

  15. Jang KH, Kwak EJ, Kang WW (2010)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Korean J Food Preserv, 17, 631-636 

  16. Kim HY, Jeong SJ, Heo MY, Kim K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varied levels of shredded garl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37-641 

  17.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8-105 

  18. Jung S, Kang WW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flour partly substituted by used coffee grounds. Korean J Food Preserv, 18, 33-38 

  19. Lee JS,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93-203 

  20.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83-189 

  21. Lee JH, Ko JC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okies incorporated with strawberry powder. Food Eng Prog, 13, 79-84 

  22.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Nutr, 22, 1-7 

  23. Shin JH, Lee SJ, Choi DJ, Kwen OC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concentration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09-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