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전통주 주박의 이용과 유용생리활성
Application of the Lees of Domestic Traditional Wine and its Useful Biological Activit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9 = no.185, 2015년, pp.1072 - 1079  

김미선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우창 ((주)국순당)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박은 발효 후 알코올성 발효액을 필터, 원심분리 또는 증류 후에 얻어지는 찌꺼기 및 1차 제조된 제품의 숙성과정 중에 생성되는 찌꺼기를 말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은 식용 원재료와 다양한 약용작물을 첨가하고 이를 누룩으로 발효시켜 제조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생리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탁주 위주의 전통주 시장 성장으로 주박 생산량은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의 폐기물 처리는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이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총설에서는 전통주 주박의 산업동향, 연구동향 및 특허동향을 분석하고,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물질들을 제시하였다. 전통주 주박은 단순 발효폐기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식량, 식품첨가물, 비료, 사료, 미생물 배양원, 기능성 식품소재, 향장 및 미용소재의 고부가가치 발효소재 공급원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향후 재처리 기술, 유용물질 회수기술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산학관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es of Korean traditional wine called as Jubak or Sul-jigemi in Korea is byproduct from alcohol fermentation industry, which is remnant of fermentation broth after filtration, centrifugation, distillation, or sedimentation during aging. Since, Korean traditional wines are produced from edibl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속연구

  • 주박의효율적인 재처리는, 전통주 탁주시장의 성장으로 주박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현재,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처리를 통해 주박을 식량 (식품재료), 사료, 퇴비, 미생물(효모 및 유산균) 배양원 및 다양한 산업용 추출물(효모추출물 등)로 개발하여야 하며, 나아가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 발굴 및 유용물질 확인을 통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향장 소재 개발의 중요 발효 자원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최근 탁주, 약주, 및 과실주의 전통주 주박으로부터 확인된 다양한 phenolic acid 화합물들의 유용 생리활성 기작 연구와 이들의 대량 분리, 회수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통주 주박과 관련된 체계적인 산학관연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 따라서 주류산업에서의 가장 큰 고민은 “ 발효 부산물(주박)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로, 이의 배경에는 2006년 3월 산업폐기물 해양투기 금지협약의 발효, 2012년 가축분뇨, 하수 슬러지 해양투기 금지, 2013년 음식물쓰레기 및 발효주박 해양투기 금지 및 2016년 육상 폐기물 해양투기 전면 금지의 법적 규제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박의 효율적인 처리는 향후 알코올 및 전통주 산업의 지속발전에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리라 예상된다.
  • 따라서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처리를 통해 주박을 식량 (식품재료), 사료, 퇴비, 미생물(효모 및 유산균) 배양원 및 다양한 산업용 추출물(효모추출물 등)로 개발하여야 하며, 나아가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 발굴 및 유용물질 확인을 통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향장 소재 개발의 중요 발효 자원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최근 탁주, 약주, 및 과실주의 전통주 주박으로부터 확인된 다양한 phenolic acid 화합물들의 유용 생리활성 기작 연구와 이들의 대량 분리, 회수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통주 주박과 관련된 체계적인 산학관연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 이러한 물질들은 이미 항산화, 항균, 항혈전, 항염증, 암세포 성장억제, 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어 전통주 주박의 유용 생리활성의 주요 활성물질로 추측된다. 향후 상기 분리된 물질들의 각각의 유용생리활성 관련 메커니즘 구명이 필요하며, 전통주 주박으로부터 이러한 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추출, 정제방법의 연구도 필요한 시기이다.
  • 1C). 향후, 기능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전통주 주박을 이용한 식품 소재화 연구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반면 등록을 기다리고 있는 주박 특허출원의 경우 식품첨가물 관련이 11건으로 가장 많으나, 기능성 식품소재 관련8 건, 기능성 향장제품 관련 3건, 사료 이용 4건, 비료 이용 2건, 에너지화 2건으로, 최근에는 주박의 신규 유용 기능성 관련 특허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에는 이러한 주박의 기능성 발굴과 함께, 다양한 제품이 생산된다면, [주박= 폐기물]이라는 인식이 [주박=중요 발효 기능성소재 공급원]으로 전환되리라 예측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E. J., Yang, M. O. and Kang, H. J. 200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ckwa with added rice wine cak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94-102. 

  2. Cho, S. Y., Park, J. W. and Rhee, C. 1998. Edible films from protein concentrates of rice wine meal. Kor. J. Food Sci. Technol. 30, 1097-1106. 

  3. Cho, Y. H., Cho, J. S., Kim, J. Y., Kim, U. S., Choi, J. H. and Park, J. 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makgeolli le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227-233. 

  4. Jung, B. J. 2002. Effects of spray dried Takju cake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 M.S. dissertation, Hankyong University, Anseong, Korea. 

  5. Jung, H. N., Kim, H. O., Shim, H. H., Jung, H. S. and Choi, O. 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yacon jangach iusing rice wine lees during storage. J. Kor. Soc. Food Sci. Nutr. 41, 383-389. 

  6. Jung, I. C. and Moon, Y. H. 2005.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fed with wild grape (Vitis amurensis Ruprecht) wine by-product. Kor. J. Food Sci. Ani. Resour. 25, 168-174. 

  7. Kang, H. T. 2015. Anti-prolifer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s. M.S.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g, Korea. 

  8. Kang, H. T., Lee, S. H., Kim, S. Y., Kim, M. S., Shin, W. C., Sohn, H. Y. and Kim, J. S. 2014.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lees extract in human colorectal HCT116 cells. J. Life Sci. 24, 967-972. 

  9. Kang, Y. J., Park, S. J., Bae, K., Yoo, J. M., Pyo, H. B., Choi, J. H. and Kim, T. J. 2011. Ethyl acetate extract of Korean rice wine lees inhibits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e leukemia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in mice. J. Life Sci. 21, 1364-1369. 

  10. Kim, E. K. 2010. Effects of lees from brown rice on waist circumference and metabolic parameters in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M.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Korea. 

  11. Kim, D. N., Lee, J. B. and Kim, D. H. 2010. Research of effective method for pellet using Jubak. New & Renewable Energy 17, 247-247. 

  12. Kim, I. S., Ryu, S. J., Choe, Y. H., Park, Y. G., Kim, G. W. and Bae, J. H. 2009. Effects of distiller solubles (Bekseju)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rice plant (Oryza sativa L.)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Kor. J. Oranic Agri. 11, 306-306. 

  13. Kim, J. H., Choi, S. H., Hong, Y. A., Kim, D. H., Lee, W. H., Rhee, C. H. and Park, H. D.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artaric acid-degrading bacteria from Korean grape wine pomace. Kor. J. Food Preserv. 15, 483-490 

  14. Kim, M. S., Kang, D. K., Shin, W. C. and Sohn, H. Y. 2015.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the lees of Bokbunja wine (Rubus coreanus Miquel). J. Life Sci. 25, 757-764. 

  15. Kim, M. S., Lee, Y. S., Kim, J. S., Shin, W. C. and Sohn, H. Y. 2014.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lees of sweet potato soju. Kor. J. Microbiol. Biotechnol. 42, 258-266. 

  16. Kim, M. S., Lee, Y. S., Kim, J. S., Shin, W. C. and Sohn, H. Y. 2014.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lees of Korean traditional wine. J. Life Sci. 24, 865-872. 

  17. Kim, M. S., Lee, Y. S., Kim, J. S., Shin, W. C. and Sohn, H. Y. 2015. Evaluation of in-vitro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lees of takju (Wookukseng). J. Life Sci. 25, 425-432. 

  18. Kim, S. M. and Cho, W. K. 2006. Effect of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Food Culture 21, 638-643. 

  19. Kim, S. M., Yoon, C. H. and Cho, W. 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Takju (Korean turbid rice wine) lees. Kor. J. Food Culture 22, 359-364. 

  20. Kim, T. Y., Jeon, T. W., Yeo, S. H., Kim, S. B., Kim, J. S. and Kwak, J. S. 2010.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Kor. J. Food Nutr. 23, 299-305. 

  21. Ko, Y. S. and Sim, K. 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ung-pyun added with Ju-bak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 190-200. 

  22. Kwon, S. C., Jeon, T. W., Park. J. S., Kwak, J. S. and Kim, T. Y. 201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41, 1191-1196. 

  23. Lee, J. H., Park, S. M., Park, C. D., Jung, H. J., Kim, H. S. and Yu, T. S. 2007. Characteristics of Ju-back and effect of Ju-back fertilizer on growth of crop plants. J. Life Sci. 17, 1562-1570. 

  24. Lee, J. P. 2008.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with added Jubak and chicken meat marinated in Jubak.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M. S. 2010. Dietary fiber from lees of unpolished rice: clinical effect on the obese. M.S.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6. Lee, S. M., Lee, S. J., Kwon, Y. Y., Baek, S. H., Kim, J. S., Sohn, H. Y. and Shin, W. C. 2014.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J. Kor. Soc. Food Sci. Nutr. 43, 1695-1700. 

  27. Lim, J. M., Kwon, H. J., Yong, S. E., Choi, J. H., Lee, C. H., Kim, T. J., Park, P. S., Choi, Y. H., Kim, E. M. and Park, S. 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cakes cookies with different ratio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Food Cookery Sci. 29, 11-18. 

  28. Lim, Y. S., Bae, S. M. and Kim, K. 2004. Producti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184-189. 

  29. Moon, K. H., Yoon, J. W., Yoon, C. S. and Kim, S. W. 1998. Selection of optimum medium for mass production of Metarhizium anisopliae ARS 978. Kor. J. Pesticide Science 2, 90-96. 

  30. Park, M. J. 2014. Suppressive effects of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of rice wine lees on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M.S.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g, Korea. 

  31. Park, M. J., Kang, H. T., Kim, M. S., Shin, W. C., Sohn, H. Y. and Kim, J. S. 201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and their solvent fractions of rice wine lees. J. Life Sci. 24, 843-850. 

  32. Park, Y. R.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cumber Jangachi using Sake cake by salt concentration and storage period. M.S.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33. Perez-Bibbins, B., Torrado-Agrasar, A., Slagado, J. M. and Pinhero de Souza Olivera, R. 2015. Potential of lees fromwine, beer, and cider manufacturing as a source of economic nutrients: An overview. Waste Manag. 40, 72-81. 

  34. Son, J. B. 2013. Anti-obesity,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jubak and nuruk extracts. M.S. Dissertation. Andong University, Andong, Korea. 

  35. Son, J. B., Lee, S. H., Sohn. H. Y., Shin, W. C. and Kim, J. S. 2015. Anti-adipogenic,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es and Nuruk. J. Life Sci. 25, 773-779. 

  36. Won, J. H., Son, J. A., Youn, A. R., Kim H. J., Kim, G. W. and Noh, B. 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with addition of Jubak (Sulchigegie). Kor. J. Food Culture 21, 565-570. 

  37. Yoo, J. M., Kang, Y. J., Pyo, H. B., Choung, E. S., Park, S. Y., Choi, J. H., Han, G. J., Lee, C. H. and Kim, T. J. 2010. Anti-wrinkle effects of Korean rice wine cake on human fibroblast. J. Life Sci. 20, 1838-1843. 

  38. Yun, C. S., Kim, H. A. and Kim, Y. 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Makgeolli lees. Kor. J. Culinary Res. 21, 198-2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