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시가지계획령에 고시된 부산 소재 도시공원의 변천
Transitions of Urban Parks in Busan noticed by the Chosun Planning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1 - 15  

김영하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윤국빈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강영조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부산 도시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른 공원의 변화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을 도시계획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부산시에서 편찬된 도시계획사 관련 서적, 부산시보 고시공고, 도시공원 유원지 녹지현황 내부 자료, 결재문서 등을 조사 분석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일본 거류지역 일본인에 의해 조성된 대정공원, 고관공원, 용두산공원은 시가지 공원계획 이전부터 공원으로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공원을 포함한 1944년 법적으로 명시한 32개소의 공원은 방재기능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해방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해 공원부지는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으로 이용되었으며, 그에 반해 도심지에 위치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그린부산 정책과 더불어 일제강점기 당시 도심 외곽에 계획된 미집행 공원은 도시 성장으로 도심지에 위치한 주요 공원으로 자리 잡아, 쾌적한 도시형성을 위한 공원사업으로 연지공원, 양정공원, 당곡공원이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32개소의 공원은 부산 도시형성 과정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폐지 또는 조성되었다. 폐지된 공원은 개발압력에 토지매입 효율성이 낮다고 판단된 공원이며, 조성되고 있는 공원은 개발이 용이하지 못했던 위치에 입지한 공원이다. 따라서, 공원이 사회공통자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토지매입 여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 of 32 urban parks designat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Busan. Particularly, researching included analyizing books, notification, data, and documents relevant to the history of urban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공원을 대상으로 부산광역시 도시성장과 공간형성 변화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근대 부산 조선시가지계획령의 공원계획이 단순히 일제강점기에 계획적으로 형성된 식민도시였다는 전제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건과 시간적 변화 추이에 따라 부산광역시 공원녹지계획에 대응하는 사회 변화적 관점에서 부산 도시성장을 재조명해 보려는 시도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근대 부산의 조선시가지계획령의 공원계획이 단순히 일제강점기에 계획에서 벗어나 역사적 사건과 시간적 변화에 의해 현대 부산의 공원녹지계획에 반영된 사회 변화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하지만, 공원문화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못했다.
  • 이러한 우리나라 도시공원 변천에 관한 연구는 공원의 변천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이 도시골격을 형성하며, 쾌적한 도시생활을 위해 중요한 시설 중 하나로서 도시계획 관점에서 도시공원의 변천 및 변용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부산을 선언한 이유는 무엇인가? 부산은 1995년 광역시로 개칭되고, 2002년 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유치했으며, 2005년에는 APEC 정상회의 준비를 위해 APEC 기념공원을 조성했다. 이렇게 부산이 국제도시로서 성장함에 따라 과거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회색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하여 2009년 7월 녹색도시를 만들기 위해 ‘그린부산(Green Busan)’을 선언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원의 수용과 전개의 과정이 근대도시 고찰에 중요한 요소인 이유가 무엇인가? 근대적 공원은 19세기 중엽 유럽에서 탄생하여 일반화 되었으며, 19세기 말에 아시아에도 전달되었다. 공원은 근대도시의 기반을 형성하는 시설과 동시에 근대도시계획의 이념이 담긴 정신적 소산물이기도 하다. 그래서 공원의 수용과 전개의 과정은 근대도시를 고찰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해방 이후 혼란한 시기에 근대공원이 폐지, 축소된 이유는 무엇인가? 해방 이후, 한국전쟁의 혼란한 시기와 도시계획 재정비에 의한 도시성장은 도심지에 위치한 공원 부지에 무허가 건축물 난립, 주택 건설, 상업지, 공공청사 및 학교 건립 등이 나타나, 근대공원이 폐지 및 축소되었다. 이 때문에 도시계획 재정비로 인한 부산 도시발전 및 성장은 시가지 확장지의 새로운 공원형성으로 이어졌지만, 일제강점기에 계획된 도로공원과 대부분의 소공원은 폐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san City(1971) Urban Planning White Paper. 부산시(1971) 도시계획백서. 

  2. Busan Ilbo(釜山日報). 

  3. Busan International Architectural Culture Festival(2010) Modern Busan document. 부산국제건축문화제 조직위원회(2010) 근대부산기록: 사진으로 보는 부산. 

  4. Busan Metropolitan City Dong-Gu(2008) Dong-Gu 50 years. 부산광역시 동구(2008) 동구50년사. 

  5. Busan Metropolitan City Green Zone Policy Division(2016) Urban Park?Pleasure Ground?Green present condition. 부산광역시 녹지정책과(2016) 도시공원?유원지?녹지 현황. 

  6. Busan Metropolitan City(1982) Municipalities 20. 부산직할시(1982) 直轄市二十年. 

  7. Busan Metropolitan City(1992) Urban Planning White Paper. 부산직할시(1992) 도시계획백서. 

  8. Busan Metropolitan City(1996) Park?Pleasure Ground present condition. 부산광역시(1996) 공원?유원지 현황. 

  9. Busan Metropolitan City(2004) Busan Metropolitan City History of Urban Plan. 부산광역시(2004) 부산광역시 도시계획사. 

  10. Busan Museum(2007) Postcards telling about Modern Busan. 부산박물관(2007) 사진엽서, 부산의 근대를 이야기하다. 

  11. Jacques, Attali(2007) Une breve histoire de l'avenir. Librairie Artheme Fayard. 자크 아탈리(2007) 미래의 물결. 위즈덤하우스. 

  12. Jeong, J. Y., S. R. Cho and Y. J. Kang(2006)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its transfiguration of yongdusan park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1): 69-77. 

  13. Jo and Lee(2011) Chinese Character Idioms?The Ancient Famous Sentence Dictionary. 조기형, 이상억(2011)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이담북스. 

  14. Jo, S. H.(2016)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of Gyeongseong.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Korea. 

  15. Kang, S. Y.(1994) Acceptance and Deployment of Modern Korea Urban Park.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Kyoto-University. Kyoto. Japan. 姜信龍(1994) 韓國における近代都市公園の受容と展開. 京都大學大學院農學?究科 

  16. Kang, Y. J.(2013a)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spatial composition of TaiSho Park in Moder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92-102. 

  17. Kang, Y. J.(2013b)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design conception of KoKwan Park in Moder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22-32. 

  18. Kim, D. S.(1990) Study on Transition of Korea Urban Park. Ph.D. Thesis.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H. G., Y. S. Kim and H. J. Yun(2013) 1910's Tap-gol Park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design document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103-117. 

  20. Kim, H. J.(1987) Study on the Change of the Urban Park Pla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1. Kim, S. L., H. G. Kimand M. H. Park(2014)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in the Mordern Sajik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4): 120-131. 

  22. Lee, J. Y. and T. Y. Jung(2013) An interpretation of a social implication on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ark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72-82. 

  23. Lee, S. J.(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Pusan Archeological Society during 1930s.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31: 153-193. 

  24. Mikiko Ishikawa(2001) Urban and Green Space -towards the Creation of a New Urban Environment-. Iwanami Shoten. 石川幹子(2001) 都市と綠地-新しい都市環境の創造に向けて-. 岩波書店. 

  25. Min, J. H.(1995) Study on Parks and Open Spac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es in Seou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Korea. 

  26. Park, I. J. and J. K. Lee(2002)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k system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4): 105-117. 

  27. http://www.law.go.kr/(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8. https://namu.wiki/w/(나무위키) 

  29. https://news.busan.go.kr/PDFNewsList.bs?arcodeMNU_00000016670&prgcodePDF_00000000002(부산시보 공시공고)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