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입지적 특성과 성립 시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Time of Cherry-blossom Attractions in the Modern Era Busa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47 - 58  

강영조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하지 않았던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실상을 밝히기 위하여 당시 부산에서 발간된 일간지 <부산일보(釜山日報)>와 <조선시보(朝鮮時報)>에 게재된 벚꽃 구경과 벚꽃 놀이의 기사를 발굴하여 그 장소를 토지 이용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하는 시기의 동정과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에 관련한 신문기사는 봄의 도래를 알리는 계절화로서 벚꽃이 피어 있는 장소를 알리는 내용에서 점차 벚꽃이 군생하고 있는 장소에 모여드는 사람들의 유흥 행위를 소개하는 것으로 변화되어 간다. 단순히 벚꽃이 화려하게 피어 있는 장소는 신문지상에서 노출되는 빈도는 점점 적어지고, 벚꽃이 만개한 행락지에서 유흥 내용의 소개로 변화해 갔다. 이것은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는 벚꽃 구경의 명소에서 벚꽃놀이의 명소로 성숙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근대 부산의 벚꽃의 명소는 개인주택정원, 온천 여관의 정원, 사찰, 수원지, 배수지, 학교 등 공공용지, 동래온천장, 미도리마치 유곽 등 상점가로 나눌 수 있었다. 장소는 정주 환경의 가장자리, 다시 말해서 도시와 자연의 접점공간에 형성되었다. 둘째, 근대 부산의 벚꽃 명소는 1920년 무렵부터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성립한 것은 1920년 무렵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벚꽃 구경의 명소가 개인 주택 정원, 배수지 등 공공의 접근의 어려운 곳도 거론되었지만, 벚꽃놀이의 명소는 누구나가 접근할 수 있는 공공의 장소가 주로 거론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봄철 행락지가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era Busan, newspaper articles about cherry blossom attractions from FuzanNippo and ChosenJiho have changed from places of landmark cherry trees to recreational activities under the cherry blossom. This means that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cherry blossom attractions helped transform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양원은 무엇인가? 향양원은 후쿠타 조헤이(福田増兵衛)의 별장이다. 향양원은 지금의 카톨릭병원 자리에 있었다.
근대 부산의 벚꽃 명소를 이룬 장소는 어디인가? 1920년 무렵 근대 부산의 벚꽃 명소는 개인 정원과 공공용 지, 상점가 등 다양한 성격의 장소에서 성립하고 있었다. 이들 장소를 1924년 발행한 부산시가 지도 위에 포치한 것이 Figure 8이다.
벚꽃의 명소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를 각각 설명하라 벚꽃의 명소는 두 종류가 있다. 수양벚나무와 같이 특이한 수형, 성목이 되어 만개한 모습이 보기 드물게 장관을 이루는 나무, 다른 것에 비하여 이른 개화 등, 벚꽃 그 자체가 매우 훌륭한 나무의 서식지로서 이름이 난 장소와 벚꽃이 개화하는 봄철, 그 벚꽃이 핀 곳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어 유명해진 장소가 그것이다. 전자는 벚꽃의 명목(名木)이 서식하고 있어서 이름난 장소이며, 후자는 벚꽃이 필 때 벚꽃 외에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많아 사람들이 많이 찾는 유명한 장소다. 이 논문에 서는 벚꽃 명목으로 이름난 장소를 벚꽃 구경의 명소, 벚꽃 개화기의 계절적 유명한 행락지는 벚꽃 놀이의 명소로 불러 이 둘을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eong, O. S.(1929) Overview of the Earth around the Korean Flower Tasting Byulgungok 20. 

  2. ChosenJiho 1918.4.14. 1920.4.11. 1926.4.10. 1926.4.14. 1928.4.9. 

  3. Fuzan, 1928. 

  4. Fuzannippo 1915.4.15. 1915.4.17. 1915.4.18. 1915.4.20. 1916.4.9. 1916.4.13. 1916.4.15. 1917.4.3. 1917.4.22. 1927.4.3. 1927.4.9. 1927.4.17. 1938.4.10. 1931.4.10. 

  5. Je. G. U. and Y. U. Kim(1964) Study on Busan Spring(1). Hangdo Busan 3(0): 103-231. 

  6. Jeon, S. H.(2009) The construction of Dongnae-Line(東萊線) and the formation of Busan as modern colonial c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12(2): 225-269. 

  7. Jeon, S. H.(2012) A study on local railroa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istory & the Boundaries 84: 103-146. 

  8. Kang, Y. J.(201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design conception of KoKwan Park in Moder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22-32. 

  9. Kim, H. K.(2011) A study on interpreting people's enjoyment under cherry blossom in modern tim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24-136. 

  10. Kim, H. S.(2008) Night cherry blossoms festival and Yojakura(夜櫻) at Changgyeong Garden.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19: 139-162. 

  11. Kim, J. E.(2014) Spring celebrations and modernity in Korea and Japan. Japan Study 22: 77-109. 

  12. Kim, S.(2011) Developing the springs in sea porty city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local community situation.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14(1): 203-261. 

  13. ManichiShinbo 1912.4.26. 

  14. No, S. H.(2008) Comparative study between Hanami in Japan and Hwajeonori in Korea. Asian Comparative Folklore 37: 137-161. 

  15. Son, H.(2015) A study on the Busan public ground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1): 25-36. 

  16. Yang. M. S.(2009) Red-light district introducion and fusing process during open port period?1910S in Busan.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24: 249-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