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colleg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1, 2017년, pp.185 - 194  

박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박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2-4학년 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를 동의한 173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불안과 스마트폰 중독은 양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 및 자기통제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과 자기통제는 스마트폰 중독의 36.0%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을 줄이고,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colleg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Collecting data from 173 nursing students, we carried out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일반대학생보다 전공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 적응, 자기통제 및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 적응, 자기통제 및 스마트폰 중독정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은 컴퓨터 기능을 갖춘 무선 전화기로 (Kim, 2008), 휴대전화 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기능이 융합되어 있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이다 (Kim 등, 2011). 이처럼 스마트폰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함으로 스마트폰의 사회적 파급이 커지고 있다 (Kim 등, 2011).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은 무엇인가? 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대학생활적응과 자기통제를 높이고 대인관계를 증진시켜 불안을 낮추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 및 지역을 확대하고,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을 세분화한 반복연구를 시행하여 결과를 일반화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생활적응은 어떤 현상을 말하는가? 대학생활적응은 대학 환경과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욕구에 적합하도록 환경을 변화시키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나가는 다차원적 현상 (Hahn 등, 1991)으로, 적응을 잘 하지 못할 경우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 사고로 인한 불완전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학업포기로까지 이어져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요소이다 (Ju, 2015).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었지만,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하면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jomaa, S. S., Qudah, M. A., Albursan, I. S., Bakhiet, S. F. and Abduljabbar, A. S. (2016).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light of some variabl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155-164.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tic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nd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3. An, H. J. and Chung, B. Y. (2006).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 224-228. 

  4. Cho, M. K.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 311-323. 

  5. Choi, H. J. and Yoo, J. H.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smartphone dependency, internet game dependenc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1, 78-84. 

  6. Choi, H. S., Lee, H. K. and Ha, J. C. (2012).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005-1015. 

  7. Choi, Y. S., Choi, H. J. and Ahn, Y. J. (2011). The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5 113-133. 

  8. Darcin, A. E., Kose, S., Noyan, C. O., Nurmedo,v S., Yilmaz, O. and Dilbaz, N. (2016).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Journal of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35, 520-525. 

  9. Ha, T. H. (2016).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763-772. 

  10. Hahn, D. W., Chon, K. K. and Lee, C. H. (1991). Changes and adjustment in compus lif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 259-266. 

  11. Han, H. S. (2007). Self-control and ego-resiliency as chief self-regulatory variables,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2. Han, S. Y.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addiction, learning-flow,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 987-1003. 

  13. Hwang, K. H., Yoo, Y. S. and Cho, O-H. (2012).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365-375. 

  14. Kim, B. K., Baek, Y. M. and Heo, C. G. (2016). The relation among attachment, smart phone addiction, and SNS addiction: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probl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 483-502. 

  15. Kim, B., Ko, E. and Choi, H. (201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4, 67-98. 

  16. Kim, H. 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quitting a job of nurses of small and medium size clinics and university hospitals,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Kim, N. J. (1995).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anxie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4, 73-81. 

  18. Kim, N. S. and Lee K. E. (2012).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s and Statistics, 37, 72-83. 

  19. Kim, S. H. (2008). Moderating effects of job relevance and experience on mobile wireless technology acceptance:Adoption of a smartphone by individuals. Information & Management, 45, 387-393. 

  20. Kim, S. M. (2014). Smartphone use level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1. Kim, S. Y., Lee, S. H. and Hwang, H. S. (2011).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a smartphone.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 29-39. 

  22. Jeon, M. (2012). Effect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depressive vulnerability on college students' smart-phone overuse, Master Thesis, Jeon-ju University, Jeollabuk-do. 

  23. Jeong, E. I. and Park, Y.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1, 69-92. 

  24. Ju, S. J. (2015).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42, 98-127. 

  25. Leary, M. R. (1983). Social anxiousness :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7, 66-75. 

  26. Lee, B., Kim, S-W., Kim, Y-J., Bae, J-Y., Woo, S-K., Woo, H-N., Lee, S-M., Lee, S-Y., Jung, M-G. and Choi, G-E.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 45-53. 

  27. Lee, M. J. and Jang, H. S. (2009). The affects of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alienation on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71-96. 

  28. Lee, Y. J. and Park, J. H. (2014).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 459-465. 

  29.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6).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aegu. 

  30. Muraven, M. and Baumeister, R. F. (2000).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Psychological Bulletin, 126, 247-259. 

  3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Seoul. 

  32. Oh, Y. K.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Master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33. Shaffer, D.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adworth, California. 

  34. Tangney, J. P., Baumeister, E. F. and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 271-3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