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할 창조를 위한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관찰훈련 연구
Observation Training Research of Stanislavski School for Creating the Ro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585 - 593  

하병훈 (인천대학교 공연예술학과)

초록

본 논문은 연기 공부의 기본이자 재현연기에 관한 바이블이라고 하는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배우교육 프로그램 중 자기 자신과의 작업에서 역할과의 작업으로의 교량적 역할을 하면서 역할 창조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관찰에 관한 연구이며, 상대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한국 연극계의 현실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유용성, 종류와 단계별 접근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배우는 무엇보다도 본인이 구현해야 할 극 중 배역에 적합한 관찰대상을 포착해야 하며, 대상이 포착되었다면 먼저 자신의 '신체를 통한 따라하기'를 거쳐 체화하기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신체행동의 원리'를 파악해 이를 맡은 역할의 상황에 따라 가감과 증폭 및 응용을 통한 적용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단순한 외형 복제의 차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감정이입을 통한 동일화'를 거쳐야 하며 '반복을 통한 몸으로 익히기 과정'을 통해 자기화를 이루어야 한다. 끝으로 부분적이고 단편적으로 끝날 수 있는 관찰의 과정이 희곡 전체를 다루는 전막 공연을 해내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편적인 인물의 행동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서 역할에 적합하게 설계한 행동총보를 구성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집중력으로 역할을 창조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an observation, namely, the starting point of a role creation with playing a bridge role regarding the work of the role at the work with oneself in the actor training program of the stanislavsky school called the bible about the reenactment acting which is the most basic stud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술하였다시피 역할 창조에 대한 접근과 연구의 역사는 실로 무궁하며, 그 방법론 역시 다양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역할 창조의 방법 중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배우교육 프로그램에서 자기 자신과의 작업에서 역할과의 작업의 교량적 역할을 하면서 역할 창조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관찰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한국 연극계의 현실에서 관찰의 필요성과 유용성, 종류와 단계별 관찰의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관찰은 지극히 막연하고 관념적일 수 있는 극 중 역할의 형상을 신체라는 도구로 구체적으로 그림으로서 배우 자신의 고정된 자아상(self-image)과 역할과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거리감을 좁힐 수 있고, 사람이나 동물을 직접 관찰하거나 ‘대체’를 통해, 경험해보지 못한 역할의 심리적 정당성을 체험하거나 신체적 표현을 찾을 수 있게 하며, 막연한 역할의 이미지(image)로 인한 역할 창조의 어려움을 좀 더 구체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에서는 통상 배우가 공부해야할 단계를 크게 ‘자신에 대한 배우의 작업’ 단계와 ‘역할에 대한 배우의 작업’ 단계로 나누고, 최종적으로는 이 두 과정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해 무대 위 배우의 창조적 영감에 의한 자연스러운 연기를 획득해 내기 위한 방법 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다.
  • 본 연구자는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역할 창조를 위한 관찰 방법론을 학교 현장에서 교육하면서 기존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체계 정리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배우교육 과정에서 성격 구축과 역할 창조의 출발 단계로 두고 있는 관찰에 관한 소개와 더불어 더 많은 연구가 절실히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그 출발로서 관찰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짚어보면서, 인물, 동물, 사물, 판타지 등 관찰의 분야와 그 접근 및 활용 방법에 관한 개괄적 정리를 우선적으로 진행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기의 정의는 무엇인가? 연기(演技)를 ‘배우가 배역의 인물, 성격, 행동 따위를 표현해 내는 일’로 정의하고, 배우(俳優)를 ‘연극이나 영화 따위에 등장하는 인물로 분장하여 연기를 하는 사람’ 이라고 할 때, 두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용어는 ‘배역과 인물’이다. 이에 연기의 정의가 ‘연극이나 영화 따위에서 배우가 맡은 인물의 행동이나 성격을 창조하여 표현한다’ 고 정의하면 ‘연기의 역사’는 ‘역할 창조의 효과적 방법 탐구의 역사’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배우의 궁극적 목적이자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타니슬랍스키 학파의 배우교육 프로그램 과정에서 동물 관찰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 동물 관찰- 동물의 움직임, 외양, 특성, 본능 등을 파악하여 형상화하는 작업으로서, 동물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등장시키는 극 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의 특징적 움직임을 성격화하여 캐릭터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있는 작업이다. 또한 동물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가져가는 훈련을 통해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의 확장과 단련에도 도움을 준다.
배우가 배역을 맡으면 처음으로 진행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그러나 그렇게 희곡을 내용적으로 이해하고 인물의 처한 입장과 상황을 막연하나마 이해하였다고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연기술의 궁극이 자기 자신만의 한계를 벗어난 ‘변신’이라고 할 때 그에 따른 신체적 방법은 또 무엇인지 당혹스러운 경우가 많다. 배우가 배역을 맡으면 처음으로 진행하는 과정이 인물의 성격 구축에 관한 여러 조사에 대한 내용일 것이다. 이를 위해 많은 연기자들은 흔히 ‘성격분석표’를 작성하거나 그에 기반한 연구를 시작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소냐 무어, 김석만 편저, 스타니슬라브스키 연극론, 이론과 실천, 1993. 

  2. 레이조스 에그리, 김선 역, 희곡작업, 청하, 1991. 

  3. 홍재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과 한국 극예술의 접점, 연극과 인간, 2006. 

  4. 드니 디드로, 주미사 역, 배우에 관한 역설, 문학과 지성사, 2001. 

  5. Л. М. 쉬흐마토프, В. К. 리보바, 박상하 옮김, 무대 에튜드-배우를 위한 연기 지침서, 한국문학사, 2014. 

  6. 미셀 셍 드니, 윤광진 역, 연기훈련, 예니, 1994. 

  7. 김준호, 관찰을 통한 역할창조에 관한 연구 -'관찰'이 갖는 의미와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2008. 

  8. 하병훈, 스타니스랍스키 시스템에서 행동요소의 훈련방법과 유기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스타니스랍스키의 배우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오순환, 관찰 - 배우의 창조적 원점, 도서출판 극단열린, 2006. 

  10. 하병훈, "스타니스랍스키 학파의 배우교육 프로그램의 극장주의 연기양식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연기예술연구, No.2, 2010. 

  11. 남상식 등 공저, 20세기 전반기 유럽의 연출가들 - 스타니슬랍스키: '체험의 연극'을 위한 연기, 연극과 인간, 2001. 

  12. G. 크리스티, 박상하, 윤현숙 옮김, 스타니슬랍스키 배우교육 II, 도서출판 동인,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