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전통적인 영화론의 기초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한 크라카우어의 영화연기론을 검토한다. 크라카우어의 영화미학은 인문학과 예술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소개되었지만, 현대 영화연기의 기초를 제시한 그의 연기론은 거의 소개되지 않고 있다. 크라카우어(1960)는 "영화론"의 '배우에 관한 장'에서 영화배우가 전통적인 연극배우와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면서, 영화연기의 매체 기술적 의미 등을 제시한다. 그의 영화 연기론은 전후 새로운 리얼리즘을 제시하는 연기양식을 강조한다. 그의 접근 방식은 "영화론"의 기본 전제인 '물리적 현실' 또는 '카메라 현실'의 관점을 취한다. 크라카우어는 배우의 형태를 나열하는 익숙한 구분법으로 전문배우, 비전문배우, 할리우드 스타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배우의 자연스러움을 강조한다. 그는 할리우드 스타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다큐멘터리이든 극영화이든, 전문배우이든 비전문배우이든, 영화매체의 비결정성 또는 불명확성에 기반한 연기하지 않는 연기를 강조한다. 크라카우어가 정리한 영화연기론은 후대의 영화론 및 미디어 관련 연기론에 영향을 미치며, 현대의 영화교과서 및 영화연기의 원론이 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reviews the film acting studies of Kracauer presenting the basic approach of traditional film theory. It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ilm acting theory in order to activate the domestic acting studies. While Kracauer explaines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stage actor and film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와 연극에서 연기의 본질적인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두 매체에서 연기의 본질적인 차이는 두 가지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먼저, 무대 위의 연극배우는 의상, 몸짓, 얼굴 표정, 억양을 강조해야 하지만, 영화배우는 오히려 그러한 강조를 누그러뜨리고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연극무대의 세트는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해 과장 되게 꾸며지지만, 영화에서의 자연스럽고 움직이지 않는 대상들은 배우의 일부가 된다는 것이다[4]. 영화에서는 카메라가 배경이나 전경의 세부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클로즈업의 사용은 배우의 연기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관객은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 선호한 영화 카메라에 오랜 동안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클로즈업의 사용으로 관객은 인물의 등장과 태도의 미세한 변화를 보고자 하기 때문에, 배우는 부자연스런 과잉의 움직임과 무대에서 요구되는 양식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크라카우어에게 영화배우는 마치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에 사로잡힌 실제의 그 사람인 것처럼 연기해야 한다.
크라카우어는 영화연기에 관해 무엇을 강조하는가? 크라카우어는 영화연기란 배우가 연기하지 않는 것임을 강조한다[6]. 그는 르네 클레어(Rene Clair)와 히치콕의 견해를 인용하면서, 연기하지 않는 연기를 소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pp.84-91, 1996. 

  2.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93, 1960. 

  3.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93-97, 1960. 

  4. Siegfried Kracauer, "Stage vs. Screen Acting," Siegfried Kracauer's American Writing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201, 1950. 

  5.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93-94, 1960. 

  6.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94-95, 1960. 

  7.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95, 1960. 

  8. Sergei Eisenstein, "Achievement," Jay Leyda. trans. 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Harcourt; Edition Unstated edition, p.192, 1939. 

  9. Siegfried Kracauer, "Stage vs. Screen Acting," Siegfried Kracauer's American Writing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202, 1950. 

  10.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96-97, 1960. 

  11. Vsevolod Illarionovich Pudovkin, Film Technique and Film Acting. Ivor Montagu. trans. Vision, p.109, 1954. 

  12.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97, 1960. 

  13. Aaron Taylor, Theorizing Film Acting, Routledge, p.8, 2012. 

  14. Pamela Robertson Wojcik, Movie Acting: The Film Reader, Routledge, p.16, 2004. 

  15. Paul Rotha, Documentary Film, New York: W.W. Norton, p.149, 1936. 

  16. Siegfried Kracauer, From Caligari to Hitl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175, 1947. 

  17.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98, 1960. 

  18. Paul Rotha, Documentary Film, New York: W. W. Norton, p.148, 1939. 

  19.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99, 1960. 

  20.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99-100, 1960. 

  21.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163-164, 1960. 

  22. Siegfried Kracauer, Theory of Film,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100-101, 1960. 

  23. Heide Schlupmann, "Highway Through the Void," Culture in the Antero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p.87-8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