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중국 북부지역에서 여름 강수량의 십년간 변동
Interdecadal Change of Summer Rainfall in the Region of Korea and Northern Chin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1, 2017년, pp.35 - 48  

최재원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  차유미 (국립기상과학원) ,  김정윤 (국립기상과학원) ,  육일우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중국 북부 지역($35^{\circ}-40^{\circ}N$, $110^{\circ}-130^{\circ}E$)에서 영역평균 된 여름(6-8월) 강수량의 증가경향이 1990년대 후반에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한국-중국 북부지역에서 1998년 이후에 여름 강수량이 증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1998-2012년 평균과 1981-1997년 평균 사이에 종관환경에 대한 차를 분석하였다. 850 hPa 유선분석에서는 북태평양 지역과 호주 동쪽지역에서 거대한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양반구에서 이러한 순환 아노말리에 의해 적도 중태평양으로부터 열대 서태평양에 편동풍 아노말리(무역풍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이는 라니냐 해에 나타나는 순환 패턴의 아노말리였다. 200 hPa 유선에서는 남 북태평양 모두에서 거대한 저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역시 강화되었다. 이러한 두 순환 아노말리에 의해 적도 중태평양 및 서태평양에서는 서풍의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이는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중국 북부 지역에서 여름 강수량의 증가가 라니냐 패턴과 연관되었으며, 이 결과는 결국 워커 순환의 강화로 이어졌다. 또한 최근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적도 서태평양과 동아시아 중위도 지역에서 상승한 기류가 아열대 서태평양지역에서 하강하는 지역 해들리 순환이 강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obvious increasing tendency of summer (June to August) rainfall in the region of Korea- and northern China ($35^{\circ}-40^{\circ}N$, $110^{\circ}-130^{\circ}E$) in the late 1990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summer rainfall 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3-1997년 동안에는 3년(1988, 1989, 1991년)을 제외하고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는 반면, 1998년 이후에는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1998년 이후에 여름 강수량이 증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1998-2012년 평균과 1981-1997년 평균 사이에 차를 분석한다.
  • 이렇게 각 연구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여름 강수량의 십년간 변동 37량의 십년간 기후 이동의 시점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위도대에 위치한 중국 북부지역과 한국에서 여름 강수량의 십년간 기후 이동을 좀더 최신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이동의 원인을 찾고자 한다. 중국 북부지역과 한국은 같은 여름우기의 기간을 나타내며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기때문에 많은 강수에 의해 큰 피해를 입는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이다(Wu et al.

가설 설정

  • (b), contour interval is 0.5 m s−1 and shaded areas are significant at the 95% confidence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동부지역에서 증가된 에어로졸 농도는 무엇의 원인인가? , 2007) 등과 같은 다양한 십년간 변동성과 연관됨을 제시하였다. 게다가 다른 연구들은 중국 동부지역에서 인간의 활동에 의해 증가된 에어로졸 농도가 이 지역 여름강수량에서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한 십년간 기후레짐이동의 중요한 원인이 됨을 지적하였다(Xu, 2001; Menon et al., 2002).
외향장파복사 분석을 통해 무엇이 나타났는가? 외향장파복사 분석에서 중국 중·남부지역으로부터 한국 및 동중국해를 지나 일본까지 남서에서 북동방향으로 음의 아노말리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또한 음의 아노말리는 해양성 대륙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적도 동태평양으로부터 적도 서태평양까지 양의 아노말리를 나타냈다.
동아시아 중·저위도 지역과 해양성 대륙에서 여름 강수량이 증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한 각 지역별 아노말리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이렇게 최근에 한국 및 중국 북부지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중·저위도 지역과 해양성 대륙에서 여름 강수량이 증가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850 hPa 유선에 대해 두 기간 사이에 차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북태평양 지역에는 거대한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었으며, 남반구의 호주 동쪽지역에도 역시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양반구에서 이러한 순환 아노말리에 의해 적도 중태평양으로부터 열대 서태평양에 동풍 아노말리(무역풍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이는 라니냐 해에 나타나는 대기순환 아노말리 패턴이었다. 200 hPa 유선에서는 열대 중앙 및 서태평양에서 저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강화되었으며, 남반구 태평양에도 거대한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가 역시 강화되었다. 이러한 두 순환 아노말리에 의해 적도 중앙 및 서태평양에서는 서풍 아노말리가 강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en, L., 1999, Regional features of interannual and interdecadal variations in summer precipitation anomalies over North China. Plateau Meteorology, 18(4), 477-485. 

  2. Chen, L., Zhu, W., Wang, W., et al., 1998, Study on climate change in China in recent 45 years. Acta Meteorologica Sinica, 56(3), 257-271. 

  3. Ding Y.H., 2007, The variability of the Asian summer monsoon.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B, 21-54. 

  4. Huang R., Xu, Y., and Zhou, L., 1999, The interdecadal variation of summer precipitations in China and the drought trend in North China. Plateau Meteorology, 18(4), 465-476. 

  5. Kim, M.K., Kim, H.S., Kwak, C.H., So, S.S., Suh, M.S., and Park, C.K., 2002, Long-term forecast of seasonal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the large-scale predictor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587-596. 

  6. Kwon, M. and Ha, K.J., 2007, Decadal change in east Asian summer monsoon circulation in the mid-1990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21706, doi:10.1029/2007GL31977. 

  7. Lau, N.C. and Nath, M.J., 2000, Impact of ENSO on the variability of the Asian-Australian monsoons as simulated in GCM experiments. Journal of Climate, 13, 4287-4309. 

  8. Liang, X.Z. and Wang, W.C., 1998, Association between China monsoon precipitation and tropospheric jets. Quarterly Journal of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24, 2597-2623. 

  9. Li, C.Y. and Xian, P., 2003, Atmospheric anomalies related to interdecadal variability of SST in the North Pacific.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0, 859-874. 

  10. Li, C.Y., He, J.H., and Zhu, J., 2004, A review of decadal/ interdecadal climate variation studies in Chin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1, 425-436. 

  11. Lu, R.Y., Dong, B.W., and Ding, H., 2006, Impact of the Atlantic multidecadal oscillation on the Asian summer monso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24701, doi:10.1029/2006GL027655. 

  12. Menon, S., Hasen J., Nazarenko L., et al., 2002, Climate effects of black carbon aerosols in China and India. Science, 29, 2250-2253. 

  13. Moon. U.S., Lee, B.K., and Kwon, H.Y., 1995, Regional division based on the long-term variation of precipitation amou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6, 38-43. 

  14. Park, H.W. and Ryu, C.S., 2005, The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and precipitation region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417-428. 

  15. Qin, D., 2005, Climate and Environment Changes in China. Science Press, Beijing, 562 pp. 

  16. Shi, N., Chen, J., and Tu, Q., 1995, 4-phase climate change features in the last 100 years over China. Acta Meteorologica Sinica, 53(4), 431-439. 

  17. Shi, X.H. and Xu, X.D., 2007,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decadal turning of winter/summer climate modes in Chinese mainland. Chinese Science Bulletin, 52(1), 101-112. 

  18. Vecchi, G.A. and Soden, B.J., 2007, Increased tropical Atlantic wind shear in model projections of global warm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08702, doi:10.1029/2006GL028905. 

  19. Wang, B., Li, T., Ding, Y.H., Zhang, R.H. and Wang, H.J., 2005, Eastern Asian-western North Pacific monsoon: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Asian-Australian monsoon system. The Global Monsoon System: Research and Forecast. Chang C.-P. , Bin Wang, and N.-C. G. Lau, Eds, WMO/TD No. 1266 (TMRP Report No. 70), 72-94. 

  20. Wang, S., Gong, D., Ye, J., et al., 2000, Seasonal precipitation series of eastern China since 1880 and the variability. Acta Geographica Sinica, 55(3), 281-293. 

  21. Wu, R., Wen, Z., Yang, S., and Li, Y., 2010, An Interdecadal Change in Southern China Summer Rainfall around 1992/93. Journal of Climate, 23, 2389-2403. 

  22. Xu, Q., 2001, Abrupt change of the mid-summer climate in central east China by the inuence of atmospheric pollution. Atmospheric Environment, 35, 5029-5040. 

  23. Xu, X.D., Shi, X.H., and Xie, L.A., et al., 2007, Consistency of interdecadal variation in the summer monsoon over eastern China and heterogeneity in springtime surface air temperatures. Journal of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5A, 311-323. 

  24. Yang, X., Zhu, Y., Xie, Q., et al., 2004, Advances in Studies of Pacific Decadal Oscillation. Chi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8(6), 979-992. 

  25. Yu, R., Wang, B., and Zhou, T.J., 2004, Tropospheric cooling and summer monsoon weakening trend over East As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 L22212, doi:10.1029/2004GL021270. 

  26. Zhang, Q. and Wu, G., 2001, The large area flood and draught over Yangtze River valley and its relation to the South Asian high. Acta Meteorologica Sinica, 59(5), 569-577. 

  27. Zhang, R, Wu, B., Zhao, P., and Han, J., 2008, The decadal shift of the summer climate in the late 1980s over eastern China and its possible causes. Acta Meteorologica Sinica, 22, 435-445. 

  28. Zhao, P. and Chen, L., 2001, Climatic features of atmospheric heat source sink over the Qinghai-Xizang Plateau in 35 years and its relation to rainfall in China. Science in China (Series D), 31(4), 327-332. 

  29. Zhao, P. and Nan, S., 2006, Some advances in climate and climate chang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ical Sciences, 17(6), 725-735. 

  30. Zhao, P., Zhu, Y.N., and Zhang, R.H., 2007, An Asian-Pacific teleconnection in summer tropospheric temperature and associated Asian climate variability. Climate Dynamics, 29, 293-303. doi: 10.1007/s00382-007-0236-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