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은 표를 어떻게 이해할까? :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Tables? : From Functional Thinking Perspectiv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1, 2017년, pp.53 - 68  

김정원 (신탄진초등학교)

초록

표는 수학적 이해를 돕는 표현의 하나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지만, 표에 초점을 맞추어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이해하는데 표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는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함수표 이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 만들기, 관계 서술하기, 관계식 표현하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약 75%의 학생들이 평균적으로 표 만들기를 할 수 있었는데 이 때 제시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가로형의 표를 창안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서술형에 비하여 기하패턴 문항을 해결하는데 학생들이 어려움을 드러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함수표'로서 표를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table, as one of the representations for helping mathematics understanding, steadily has been shown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that focus on the table and analyze how the table may be used in understanding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is study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함수표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함수표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제시된 함수표를 채우고내재된 관계를 말과 식으로 나타내어 보도록 한 반면,본 연구에서는 학생 스스로 함수표를 창안해보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 활동에는 무엇이 있는가? 함수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언어, 기호, 표, 그래프 등으로 함수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활동이 강조된다(예, Blanton, et al., 2011; Schliemann,Goodrow, & Lara-Roth, 2001).
함수표가 함수적 관계 탐색에 적합한 도구인 이유는? 함수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것으로부터 집합으로 도약할 수 있는 사고가 필요하다(Carraher, Schliemann, & Schwartz, 2008). 이러한 맥락에서 함수표는 대응되는 두 양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산술적인 값들을 정렬하고 나아가 두 양을 각각 하나의 대상으로 다루기 때문에 함수적 관계를 탐색하는데 적합한 표현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두 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함수표에는 양의 값들이 집합별로 잘 정렬되어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공변 및 대응 관계를 모두 이해하는데 용이하며 따라서 여러 관점에서 함수를 이해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이 서술형 문항보다 기하패턴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은 이유는? 즉, 우리나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은서술형 문항에서는 거의 80%의 정답률을 보이며 문제 를 잘 해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기하패턴 문항에서 는 정답률이 최소 약 60%의 정답률까지 드러나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규칙성을 다루는 문항의 유형을 살펴보면 서술형이 기하패턴에 비하여 빈번하 게 제시되고 나이나 강아지 눈의 개수와 같이 이해하기 쉬운 맥락이기 때문에, 도형을 분석하여 규칙성을 발견해야하는 기하패턴에 비하여 정답률이 높았을 것이라 해석된다. 함수표 문제를 3가지 다른 맥락으로제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연구 결과문제 맥락이 문제 해결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증명되었다(McEld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교육부 (2015a).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mathematics 4-2. Seoul: Chunjae Education.) 

  2. 교육부 (2015b).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mathematics 6-2. Seoul: Chunjae Education.) 

  3. 김정원 (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Kim, J. W. (2014).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func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최지영, 방정숙(2012).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학교수학, 14(3), 275-296.(Choi, J. Y. & Pang, J. S. (2012).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s. School Mathematics, 14(3). 275-296.) 

  5. Barbara, M. Brizuela., & Susanna, Lara-Roth. (2002). Additive relations and function table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0(2002). 309-319. 

  6.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eBride, J., et al. (2007). Everyday mathematics 5-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7. Billings(2008). Exploring generalization through pictorial growth patterns. In C. E. Greenes, & R. Rubenstein (Eds.), Algebra and algebra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pp. 279-293).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8. Blanton, M. L. (2008). Algebra and the elementary classroom: Transforming thinking, transforming practice. Portsmouth, NH: Heinemann. 

  9. Blanton, M. L., & Kaput, J. J. (2005). Characterizing a classroom practice that promotes algebraic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6(5), 412-446. 

  10. Blanton, M. L., & Kaput, J. J. (2011). Functional thinking as a route into algebra in the elementary grades.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5-23). Heidelberg: Springer. 

  11.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J.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in grades 3-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2. Carraher, D. W., Schliemann, A. D., & Schwartz, J. L. (2008). Early algebra is not the same as algebra early.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235-272). Mahwah, NJ: Routledge. 

  13. Kaput, J. J. (2008). What is algebra? What is algebraic reasoning? In J. Kaput, D. W. Carraher, & M.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5-17). New York: Lawrence Erlbaum. 

  14. McEldoon, K. L., Cochrane-Braswell, C., & Rittle-Johnson, B. (2010). Effects of problem context on strategy use within functional thinking. Retrieved from world wide web: http://scholar.google.co.kr/scholar?cluster7173491836342683087&hlko&as_sdt0,5 

  15. McEldoon, K. L., & Rittle-Johnson, B. (2010).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skills: The cases of function tables. The 32nd Annual Conference of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Columbus, OH.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외 5인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17. Ng, S. F. (2005). Mathematics in action 6B. Pearson Education South Asia Pte Ltd. 

  18. Schliemann, A. D., Carraher, D. W., & Brizuela, B. (2001). When tables become function tables. In M. Heuvel-Panhuizen (Ed.), Proceedings of the Twenty-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145-152), Utrecht, The Netherlands. 

  19. Smith, E. (2008). Representational thinking as a framework for introducing functions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133-160). New York: Lawrence Erlbaum. 

  20. Tierney, C., Nemirovsky, R., & Noble, T. (2004).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patterns of change. Palo Alto, CA: Dale Seymour Publications. 

  21. Warren, E. A., & Cooper, T. J. (2006). Using repeat ing patterns to explore functional thinking. Austr 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1(1), 9-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