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 과학수사요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me Scene Investigat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1, 2017년, pp.39 - 48  

노선미 (광주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계) ,  김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especiall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TSD in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빈번한 외상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경찰 과학수사요원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구분하여 PTSD 발생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PTSD 예방과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관리 프로그램개발과 새로운 간호 전문 영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수사를 담당하는 요원의 담당 업무는 무엇인가? 과학수사(scientific investigation)란 범인을 발견하고 증거를 수집하여 사안의 진상을 밝히는 수사 활동에 과학적 지식 및 기술과 감식시설·장비·기자재 등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수사를 말한다[1]. 이러한 과학수사를 담당하는 요원은 경찰청 및 각급 경찰관서의 과학수사 업무 담당부서에 소속되어 과학수사 관련 증거자료 수집, 분석, 감정 등에 종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특히, 검시조사관은 변사자 또는 변사의 의심이 있는 시체 및 그 주변 환경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범죄 관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생물학·해부학·병리학 등 전문 지식을 갖추고 과학수사 기능에 배치된 변사체를 검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3].
과학수사란? 최근 범죄의 지능화, 다양화에 따른 범죄수사의 대응, 개정된 형사소송법에 따른 공판중심주의, 국민들의 관심과 요구도 증가 등으로 과학수사의 중요성과 업무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1,2]. 과학수사(scientific investigation)란 범인을 발견하고 증거를 수집하여 사안의 진상을 밝히는 수사 활동에 과학적 지식 및 기술과 감식시설·장비·기자재 등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수사를 말한다[1]. 이러한 과학수사를 담당하는 요원은 경찰청 및 각급 경찰관서의 과학수사 업무 담당부서에 소속되어 과학수사 관련 증거자료 수집, 분석, 감정 등에 종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경찰 과학수사요원의 PTSD 정도와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관리와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경찰 과학수사요원들은 사건 현장에서 객관적 증거를 직접 수집하거나 변사체를 검시하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살해당하거나 폭행당한 사건, 처참하고 오염된 변사 사건 등의 가장 충격적인 외상 사건에 빈번하게 반복 노출되게 된다[1,5,6]. 이러한 직무수행으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로 발전 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2], 경찰청에서도 과학수사업무를 PTSD 위험 기능으로 분류하고 있다[1]. 따라서 경찰 과학수사요원의 PTSD 정도와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여 관리 및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G.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PTSD experience of police crime scene officers [master's thesis]. Busan: Kyungsung University; 2015. p. 1-122. 

  2. Yoo YS, Cho OH, Cha KS, Boo YJ.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in Korean forensic science investigator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36-141.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2 

  3. National Police Agency. Criminal investigation rule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m.police.go.kr/portal/bbs/view.do?nttId71099&bbsIdB0000136&menuNo200121. 

  4. Han JS, Park IS.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e cor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310-320. http://dx.doi.org/10.4040/jkan.2008.38.2.310 

  5. Hwang IH, Lee YH. Influences of police officers'job stress and traumatic stress on burnou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4):1115-1138. 

  6. Javidi H, Yadollahie 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3(1):2-9. 

  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5th ed. Washington, DC: Author; 2013. 

  8. Oh JH, Lim NY.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in firefigh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1):96-106. 

  9. Kim Y, Bae J. Construction of a post-traumatic stress model for fire figh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4):282-291.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4.282 

  10. Kwon SC, Song J, Lee SJ, Kim I, Koh J, Ryou H, et al.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of a firesta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8;20(3):193-204. 

  11. Yoon YK. A study on literat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firefighter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Cyber University; 2015. p. 1-134. 

  12. Kim JK, Cho YI. Moderated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police officer's traumatic experience and PTSD.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2014;28(1):1-33. 

  13. Lee OJ, Ji YH. The analysis of field police officer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for the application of police job stress reduction program.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2010;12(4):173-203. 

  14. Marmar CR, McCaslin SE, Metzler TJ, Best S, Weiss DS, Fagan J, et al.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in police and other first responder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6;1071:1-18. http://dx.doi.org/10.1196/annals.1364.001 

  15. Paton D, Violanti JM, Burke KJ, Gherke A. Traumatic stress in police officers: A career-length assessment from recruitment to retirement.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2009. p. 3-29. 

  16. Skogstad M, Skorstad M, Lie A, Conradi HS, Heir T, Weisæth L. Work-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ccupational Medicine. 2013;63(3):175-182. http://dx.doi.org/10.1093/occmed/kqt003 

  17. Brewin CR, Andrews B, Valentine JD.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0;68(5):748-766. http://dx.doi.org/10.1037/0022-006X.68.5.748 

  18. Johnson J, Gooding PA, Wood AM, Tarrier N. Resilience as positive coping appraisals: Testing the schematic appraisals model of suicide (SAM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10;48(3):179-186. http://dx.doi.org/10.1016/j.brat.2009.10.007 

  19. Mealer M, Jones J, Moss M. A qualitative study o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nited States ICU nurses. Intensive Care Medicine. 2012;38(9):1445-1451. http://dx.doi.org/10.1007/s00134-012-2600-6 

  20. Seo SJ. Post traumatic stres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5. p. 1-54. 

  21. Ha BY, Jung EJ, Choi SY. Effects of resilien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83-91.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1.83 

  22.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9;41(3):209-218. 

  23.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NY: Guilford; 1997. p. 399-411. 

  24.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303-310. 

  25. Sin SW. Levels and countermeasures of PTSD among police offic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12):266-27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266 

  26.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ehensive Psychiatry. 2009;50(4):385-390. http://dx.doi.org/10.1016/j.comppsych.2008.09.011 

  27. Sarason BR, Shearin EN, Pierce GR, Sarason IG. Interrelations of social support measur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7;52(4):813-832. http://dx.doi.org/10.1037/0022-3514.52.4.813 

  28. Blumenthal JA, Burg MM, Barefoot J, Williams RB, Haney T, Zimet G.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sychosomatic Medicine. 1987;49(4):331-340. 

  29. Kim HJ, Kwon JH, Kim JN,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8;13(3):781-799. http://dx.doi.org/10.17315/kjhp.2008.13.3.013 

  30. Shin WY, Kim MG, Kim JH.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4):105-1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