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신과 간호사가 경험한 정신질환자 간호의 어려움
Difficulties in Caring for Psychiatric Patient as Experienced by Non-Psychiatric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1, 2017년, pp.49 - 59  

정재원 (경희의료원 간호본부) ,  장미영 (경희의료원 간호본부) ,  심지현 (경희의료원 간호본부) ,  고윤희 (경희의료원 간호본부) ,  신성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on-psychiatric nurses' difficulties in caring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een general medical-surgical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This study involved two focus group discus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신과 간호사란 무엇을 지칭하는가?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탈원화 정책으로 정신질환자의 관리가 병원의 정신과 폐쇄병동이나 정신전문기관이 아닌 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사회나 병원의 개방병동을 선호하는 정책과 인식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비정신과 간호사(non-psychiatric nurse)가 정신질환자를 간호하게 되는 기회가 더욱 증가하였다. 비정신과 간호사란 공식적으로 쓰이는 용어는 아니나 병원에서 흔히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일반병동과 특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지칭한다. 결국 정신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뿐 아니라 모든 건강관리영역의 간호사는 정신질환자를 간호하게 되며, 실제 연구에서도 비정신과 간호사의 95.
정신질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만성질환과의 동반이환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정신질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신체질환, 특히 만성질환과의 동반이환율이 매우 높다[1]. 그 원인은 항정신병 약물로 인한 체중 증가, 지질수준 증가, 포도당 불내성이 2형 당뇨와 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일반적인 약물 부작용인 진정작용과 정신병의 음성증상이 운동의 능력과 동기를 감소시키며, 흡연, 잘못된 식사습관 및 과다 알코올 섭취 등이 건강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2]. 또한 정신질환의 질병 특성상 자가 관리를 잘 하지 않고, 필요한 의료적 도움을 자발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찾지 않아 치료 시작이 늦어지고, 치료를 시작한 후에도 치료준수를 잘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3].
정신간호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정신간호는 모든 간호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비정신과 간호사도 정신질환자 간호 및 정신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치료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정신간호란, 병적인 생각에 사로 잡혀 고통을 받거나 정상적이고 건강한 삶을 사는데 지장이 있는 사람들을 도와 정신건강을 최적의 상태로 증진시키려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ucht S, Burkard T, Henderson J, Maj M, Sartorius N. Physical illness and schizophren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7;116(5):317-333. http://dx.doi.org/10.1111/j.1600-0447.2007.01095.x 

  2. Blythe J, White J. Role of the mental health nurse towards physical health care in serious mental illness: An integrative review of 10 years of UK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12;21(3):193-201. http://dx.doi.org/10.1111/j.1447-0349.2011.00792.x 

  3. Jones DR, Macias C, Barreira PJ, Fisher WH, Hargreaves WA, Harding CM. Prevalence, severity, and co-occurrence of chronic physical health problems of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Psychiatric Services. 2004;55(11):1250-1257. http://dx.doi.org/10.1176/appi.ps.55.11.1250 

  4. Zolnierek CD, Clingerman EM. A medical-surgical nurse' s perceptions of caring for a person with severe mental illnes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2012;18(4):226-235. http://dx.doi.org/10.1177/1078390312446223 

  5. Carney CP, Jones L, Woolson RF. Medical comorbidity in women and men with schizophrenia: A population-bas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6;21(11):1133-1137. http://dx.doi.org/10.1111/j.1525-1497.2006.00563.x 

  6. An HR. Attitude on mental illness, perception on mental symptom, stress on mental health care, and expectation of psychiatric nurse's roles of non-psychiatric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p. 1-49. 

  7. Kim BJ. A study on psychiatric nurses and non-psychiatic nurses'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 the mentally ill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4. p. 1-63. 

  8. Lee TG, Kim JG. A study concerning the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consultaion of medical outpatients: Focused on medical outpatients compared with health control group.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3;42(6):755-760. 

  9. Yu SJ, Kim SYJ, Kim YH, Won JS, Lee KJ, Lee SW. Introduction to psychiatric nursing. Seoul: Soomoonsa; 1983. p. 146. 

  10. Liggins J, Hatcher S. Stigma toward the mentally ill in the general hospital: A qualitative stud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5;27(5):359-364.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05.05.006 

  11. Zolnierek CD. Non-psychiatric hospitaliza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8):1570-1583.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044.x 

  12. Reed F, Fitzgerald L. The mixed attitudes of nurse's to car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a rural general hos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05;14(4):249-257. http://dx.doi.org/10.1111/j.1440-0979.2005.00389.x 

  13. Morgan DL. Focus group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96;22:129-152. http://dx.doi.org/10.1146/annurev.soc.22.1.129 

  14. Hsie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9):1277-1288. http://dx.doi.org/10.1177/1049732305276687 

  15.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16. Haddad M, Plummer S, Taverner A, Gray R, Lee S, Payne F, et al. District nurses' involvement and attitudes to mental health problems: A three-are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5;14(8):976-98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5.01196.x 

  17. Giandinoto JA, Edward KL. The phenomenon of co-morbid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acute medical care: The lived experience of Australian health professionals. BMC Research Notes. 2015;8:295. http://dx.doi.org/10.1186/s13104-015-1264-z 

  18. Ramritu P, Courtney M, Stanley T, Finlayson K. Experiences of the generalist nurse caring for adolescent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02;6(4):229-244. http://dx.doi.org/10.1177/136749350200600401 

  19. Goncalves DA, Fortes S, Campos M, Ballester D, Portugal FB, To foli LF, et al. Evaluation of a mental health training intervention for multidisciplinary teams in primary care in Brazil: A pre- and posttest stud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13;35(3):304-308.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13.01.003 

  20. Hundertmark J. The impact of mainstreaming on patient care in Australian emergency departments and liaison services.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2; 36(3):424. http://dx.doi.org/10.1046/j.1440-1614.2001.01030.x 

  21. Sharrock J, Happell B. The psychiatric consultation-liaison nurse: Thriving in a general hospital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02;11(1):24-33. http://dx.doi.org/10.1046/j.14400979.2002.0020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