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삶의 의미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Older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1, 2017년, pp.86 - 97  

이시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wly developed instrument, Meaning in Life, for elderly Korean people. Methods: Ten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used to develop the initial items. Participants for the psychomet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의미 척도 도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더욱이 삶의 의미의 구성 개념 중 의미 추구에 대한 측면은 무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8], 노인들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지는 측정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Steger 등[8]이 개발한 삶의 의미 척도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는 의미 존재와 의미 추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개인이 지각하는 삶의 의미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나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삶의 의미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특히, 한국 노인은 대인 관계나 일상생활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는 것으로 나타나[1]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삶의 목적 검사 도구가 지닌 한계는 무엇인가? 우선,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삶의 의미 측정 도구로는 Crumbaugh와 Maholick [6]의 삶의 목적 검사(Purpose In Life test [PIL])가 있다. 그러나 이 도구는 의미 차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의 7점 척도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우리나라 노인이 응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행복 요인으로 해석 가능한 차원이 산출되어 삶의 의미보 다는 쾌락적 정서 측면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7]. 더욱이 삶의 의미의 구성 개념 중 의미 추구에 대한 측면은 무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8], 노인들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지는 측정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Steger 등[8]이 개발한 삶의 의미 척도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는 의미 존재와 의미 추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개인이 지각하는 삶의 의미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다른 사람과의 관계나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삶의 의미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노년기의 특징은? 삶의 의미는 인간의 안녕감과 성장에 중요한 요인 및 지표이며,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특히, 노년기는 다른 세대보다 삶의 의미가 건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큰 시기로서, 삶의 의미는 위기와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 그러나 노인의 삶의 의미가 낮은 경우에는 우울 증상이 심각해지며[3], 자살 사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ES, Park JA.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in meaning in life.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13;29(1):267-299. 

  2. Kim KM, Ryu SA, Choi IC. The effect of meaning in life on happiness and health in late lif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1;30(2):503-523. 

  3. Bamonti P, Lombardi S, Duberstein PR, King DA, Van Orden KA. Spirituality attenuate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symptom severity and meaning in life. Aging & Mental Health. 2016;20(5):494-499.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5.1021752 

  4. Heisel MJ, Neufeld E, Flett GL. Reasons for living, meaning in life, and suicide ideation: Investigating the roles of key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in reducing suicide risk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016;20(2):195-207.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5.1078279 

  5. Van Orden KA, Bamonti PM, King DA, Duberstein PR. Does perceived burdensomeness erod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012;16(7):855-860.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2.657156 

  6. Crumbaugh JC, Maholick LT. Manual of instructions for the purpose in life test. Munster, DE: Psychometric Affiliates; 1969. p. 1-28. 

  7. McGregor I, Little BR. Personal projects, happiness, and meaning: On doing well and being your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8;74(2):494-512. 

  8. Steger MF, Frazier P, Oishi S, Kaler M.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006;53(1):80-93. http://dx.doi.org/10.1037/0022-0167.53.1.80 

  9. Burbank PM. An exploratory study: Assessing th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 clie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2;18(9):19-28. http://dx.doi.org/10.3928/0098-9134-19920901-06 

  10. Choi SO, Kim SN, Shin KI, Lee JJ, Jung YJ. Development of elderly meaning in life(EMIL)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3):414-424. 

  11. Hinkin T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998;2(1):104-121. http://dx.doi.org/10.1177/109442819800100106 

  12. Fitzpatrick JJ. Life perspective rhythm model. In: Fitzpatrick JJ, Whall AL, editors. Conceptual models of nursing: Analysis and application. Bowie, MD: Brady; 1983. p. 295-302. 

  13. Fitzpatrick JJ, Kim NH. Meaning in life: Translating nursing concepts to research. Asian Nursing Research. 2008;2(1):1-4. http://dx.doi.org/10.1016/S1976-1317(08)60023-7 

  14.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p. 187-220. 

  15. Won DR, Kim KH, Kwon SJ.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5;10(2):211-225. 

  16.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12. p. 80-110. 

  17.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18.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7;30(4):459-467. http://dx.doi.org/10.1002/nur.20199 

  19. Jung KH, Oh YH, Kang EN, Kim JH, Sunwoo D, Oh MA, et al. A survey of Korean older perso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Report No.: Policy Report 2014-61. 

  20. Gyeongin Regional Statistics Office. Capital region 65 Plus (3V Senior) I Aging [Internet]. Gwach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6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office/giro/rogi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5685&pageNo&rowNum10&amSeq &sTarget&sTxt. 

  21.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988;103(3):411-423. http://dx.doi.org/10.1037/0033-2909.103.3.411 

  22.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10;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3.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1999;37(1):241-269. 

  24.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5;49(1):71-75.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5. Jo MH, Cha KH. National comparison to life satisfaction. Seoul: Jipmoondang; 1998. p. 1-23. 

  26. Cohen J.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2(1):155-159. 

  27.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p. 109-136. 

  28.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2. p. 160-370. 

  29. Field AP.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And sex and drugs and rock 'n' roll. 4th ed. London, UK: Sage; 2013. p. 685-686. 

  30. Heo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3. p. 70-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