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외로움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Geriatric Loneliness Scale (KG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5, 2019년, pp.643 - 654  

이시은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sychometrically test the Korean Geriatric Loneliness Scale (KGLS). Methods: The initial items were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0 older adults. Psychometric testing was then conducted with 322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5 or ol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노인의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도구의 문제점은? 노인의 외로움을 파악하기 위해서 노인에게 적합한 도구가 필요하나 한국 노인의 외로움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도구들은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도구가 단일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특히 국내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Russell 등[4]의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ULS)는 단일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노인의 다차원적인 외로움을 사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외로움을 상황이나 원인과 관계없이 빈도와 강도에만 차이가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외로움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5]. 국내에서 이를 번안한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Korea version (RULS-K) [6]에서도 사회적 요인에 관한 문항들로만 구성되어 있어 가족관계로 인한 외로움이나 개인 내부에서 오는 외로움은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New York University 외로움 척도[7]는 외로움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인 측면만 포함하고 있어 사회적 관계의 결핍으로 인한 외로움을 측정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기존의 도구들은 대부분 노인만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가 아닌,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도구[4,8]들은 친구와의 관계나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 관한 내용만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노인은 가족과의 관계 단절이나 사회적 역할의 위축으로 인해 외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신체적 기능 저하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문항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도구들은 하위요인 중 낭만적/성적 관계에 관한 문항이 배우자를 사별한 노인에게는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5,9]. 한국 노인들은 문화적 특성상 이성 관계나 성을 드러내지 않는 성향이 있어 낭만적/성적 문항을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도구들은 주로 국외에서 개발되어 한국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서구에서는 개인의 자유와 독립성이 강조된 반면, 한국은 전통적으로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가족 문화가 중시되어 왔다[10]. 또한 우리나라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식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왔으나[10], 최근 사회가 급격히 서구화 되면서 독거 가구가 급증하고 있어[3]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노인의 외로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국외에서 사용되는 RULS를 우리나라 대상자에 맞게 번안한 연구에서도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노인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6], 원 도구와 표적 집단의 차이로 인해 문화적 적합성 및 이해의 용이성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한인 노인은 국내 노인과 사회 문화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문화 간 타당도 검증과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준거타당도와 수렴, 변별타당도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도 검증되지 않아 타당도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도구들은 노인이 적용하기에는 문항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국외에서 사용되는 외로움 도구 중 Schmidt와 Ser-mat [9]의 Differential Loneliness Scale은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DiTommaso와 Spinner [5]의 The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scale for adults도 3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쇠약한 노인이 응답하기에 문항수가 많다. 설문 문항이 많으면 부정확한 응답을 얻게 될 가능성이 크며, 응답의 성실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탈락률과 결측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명료성이 감소하게 되어[11] 노인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리커트 척도법(Likert scaling)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의견, 신념이나 태도를 측정할 때는 리커트 척도법(Likert scaling)이 주로 사용되는데[11], 4점 Likert 척도는 중심경향성을 최소화하여 천장/바닥 효과를 피할 수 있으며, 노인과 같이 인지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적합하다고 하여[11] 본 연구에서는 노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1점(전혀 아니다), 2점(아니다), 3점(그렇다), 4점(매우 그렇다)으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외로움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외로움은 어느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가? 외로움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에게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1]. 노년기에는 외로움이 증가할수록 신체적·사회적 기능 및 정신건강 수준이 저하되며, 삶의 만족도도 낮아지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ang H, Leng Y, Zhao E, Fleming J, Brayne C, The CC75C Study Collaboration. Mortality risk of loneliness in the oldest old over a 10-year follow-up. Aging & Mental Health. Forthcoming 2018 Nov 17. https://doi.org/10.1080/13607863.2018.1510897 

  2. Cohen-Mansfield J, Hazan H, Lerman Y, Shalom V.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loneliness in older-adults: A review of quantitative results informed by qualitative insigh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6;28(4):557-576. https://doi.org/10.1017/S1041610215001532 

  3. Chung K.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 findings and implication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8 Oct. Report No.: Policy Report 2018-01. 

  4. Russell D, Peplau LA, Cutrona CE.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3):472-4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5. DiTommaso E, Spinner B.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scale for adults (SELSA).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93;14(1):127-134. https://doi.org/10.1016/0191-8869(93)90182-3 

  6. Kim O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7;27(4):871-879. https://doi.org/10.4040/jnas.1997.27.4.871 

  7. Rubenstein CM, Shaver P. Loneliness in two northeastern cities. In: Hartog J, Audy JR, Cohen YA, editors. The Anatomy of Lonelines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80. p. 319-337. 

  8. de Jong-Gierveld J, Kamphuls F. The development of a rasch-type loneliness scale.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85;9(3):289-299. https://doi.org/10.1177/014662168500900307 

  9. Schmidt N, Sermat V. Measuring loneliness in different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3;44(5):1038-1047. https://doi.org/10.1037/0022-3514.44.5.1038 

  10. Ban SW. Family commun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2015. p. 15-39. 

  11. Um MY, Cho SW. Scale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Seoul: Hakjisa; 2005. p. 22-123. 

  12.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 48-71. 

  13.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p. 187-220. 

  14.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6.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15.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7;30(4):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16. Hinkin TR.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998;1(1):104-121. https://doi.org/10.1177/109442819800100106 

  17.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988;103(3):411-423.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18. Gyeongin Regional Statistics Office. Capital region 65 plus (3V senior) IAging [Internet]. Gwacheon: Statistics Korea; c2016 [cited 2016 Aug 26].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office/giro/rogi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5685&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19.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0.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1):48-63. 

  21. Russell D, Peplau LA, Ferguson ML.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78;42(3):290-29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203_11 

  22. Goldberg D, Bridges K, Duncan-Jones P, Grayson D. Detect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general medical settings. British Medical Journal. 1988;297(6653):897-899. https://doi.org/10.1136/bmj.297.6653.897 

  23. Lim JY, Lee SH, Cha YS, Park HS, Sunwoo 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xiety screen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8):1224-1232. 

  24. Routasalo PE, Savikko N, Tilvis RS, Strandberg TE, Pitkala KH. Social contacts and their relationship to loneliness among aged people - a population-based study. Gerontology. 2006;52:181-187. https://doi.org/10.1159/000091828 

  25.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p. 161-372. 

  26. Field AP.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And sex and drugs and rock 'n' roll. 4th ed. London: Sage; 2013. p. 685-686. 

  27. Kane RL. Understanding health care outcomes research. 2nd ed.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2006. p. 167-168. 

  28. Hair JF Jr,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p. 109-136. 

  29. Cramer KM, Barry JE. Conceptualizations and measures of loneliness: A comparison of subsc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99;27(3):491-502. https://doi.org/10.1016/S0191-8869(98)00257-8 

  30. Weiss RS, Bowlby J.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IT Press; 1973. p. 9-29. 

  31. Russell DW.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96;66(1):20-40.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601_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