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Meaning in Life in Elderly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4, 2010년, pp.438 - 447  

공수자 (조선간호대학) ,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examined factors related to the meaning in life in elderly in one city.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17 subjects all of which were over 60 years of age and were recruited from two community senior centers from December 2008 to February 2009. Data collection instruments we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의미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족지지 정도는 본 연구에서 측정된 점수가 12~48점인데 평균 35.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의미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아직도 노인들의 삶의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부족한 편으로 노후를 의미있게 보내야 할 노인 대상자들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생의 의미 정도와 이와 관련된 변수들을 살펴봄으로써 노인간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우울 또는 외로움과 같은 사회심리적 변수들은 삶의 의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지금까지 제시한 문헌고찰을 고려해 볼 때 가족지지가 높고, 우울과 외로움 정도가 낮으면 노인의 삶의 의미 정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에 세워졌으며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은 Figur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 따르면, 노인들의 삶을 변화시킨 문제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노인들의 삶을 변화시킨 여러 실질적인 문제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급속한 도시화, 핵가족화가 있다. 이러한 핵가족화가 계속 진행됨으로써 현재 성인 자녀들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 의식 이 현저히 약화되었고 독거노인 또는 노인 단독가구를 증가시켜 노인들의 외로움을 더욱 커지게 하였다.
노인에게 핵가족화는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노인들의 삶을 변화시킨 여러 실질적인 문제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급속한 도시화, 핵가족화가 있다. 이러한 핵가족화가 계속 진행됨으로써 현재 성인 자녀들의 노부모에 대한 부양 의식 이 현저히 약화되었고 독거노인 또는 노인 단독가구를 증가시켜 노인들의 외로움을 더욱 커지게 하였다.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Yoo, 2007)에서도 자녀와의 관계나 가족생활만족도는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우울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노년기의 심리적 변화로 노인 우울이 가장 대표적인데 이는 배우자와의 사별, 사회적 고립, 갑작스러운 은퇴나 실직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Eun et al.,2010), 이러한 노인 우울은 자살생각을 높이는데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erea, M. (1986).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 measure, and model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413-445. 

  2. Casimir, G. J., Jean-Louis, G., Butler, S., Zizi, F., Nunes, J., & Brady, L. (2010). Perceived insomnia,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older Russian immigrants. Psychological Reports, 106, 589-597. 

  3. Cho, Y. J. (2007).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and family support on elderly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30, 23-44. 

  4. Choi, M. S., & Son, C. N. (2007). The effects of purpose in life on self-esteem, problem solving attitud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951-967. 

  5. Choi, S. O., Kim, S. N., Shin, K. I., & Lee, J. J. (2002). Meaning in life of a resident community of normal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 359-367.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Eun, Y., Song, K. A., Park, O. H., Ko, S. H., Park, M. H., Kim, J. S., et al. (2010). Gerontological nursing (2nd ed). Seoul: Hyunmoonsa. 

  8. Fitzpatrick, J. J. (2008). Meaning in life: Translating nursing concepts to research. Asian Nursing Research, 2, 1-4. 

  9. Han, C. H. (2010). Structur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10. Jang, S. M. (2008). Family type and family support effecting on depression of elderly diabetic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2, 35-66. 

  11. Jeon, H. O. (2003). A study o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Jeon, K. S. (2010). Well-being of middle-aged Koreans: Development of scales related to happiness and meaning of life, and comparisons between grou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Kang, D. G. (2005).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rur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14. Kim, J. H. (2006).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oneliness and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rause, N. (2009). Meaning in life and mortality.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4(4), 517-527. 

  16. Kyunghyungcom (2010. May). Suicide prevention & love of life. Retrieved May 29, 2010, from http://news.khan.co.kr/ 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10050 61738525&code900303 

  17. Lee, J. A., Chung, S. J., & Cho, H. A. (2005). Spiritu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eaning in life of the adults. Journal of Kyonggi University, 34, 193-205. 

  18. Lee, K. S., & Chung, S. J. (2006). A correlational study among gender equality awareness,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14-21. 

  19. Lim, J. Y. (2010). Elderly's stress and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looming maladaptive style and meaning in life,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 Olsen, K. D., Dysvik, E., & Hansen, B. S. (2009). The meaning of family members' presence during intensive care stay: A qualitative study.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5, 190-198. 

  21. Owens, G. P., Steger, M. F., Whitesell, A. A., & Herrera, C. J. (2009).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guilt, depression, and meaning in life among military veteran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2, 654-657. 

  22. Park, J. C. (2010).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isure activity in the aging socie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3. Park, J. S. (2010). A study of Korean religiosity: Examination of its components and effects on the meaning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4. Pinquart, M. (2002). Creating and maintaining purpose in life in old age: A meta analysis. Ageing International, 27, 90-114. 

  2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6.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27. Stega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esota, USA. 

  28. Suh, K. H., & Kim, Y. S. (2003).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up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 113-131. 

  29. Wu, Z. Q., Sun, L., Sun, Y. H., Zhang, X. J., Tao, F. B., & Cui, G. H. (2010). Correlation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relationship among empty nest elderly in Anhui rural area, China. Aging Mental Health, 14, 108-112. 

  30. Yoo, H. J. (2007). Successful aging of the widowed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 617-6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