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변수 이해 및 일반화 수준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Understanding Variables and Enhancing the Level of Generalization in Problem Solving Utilized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1, 2017년, pp.89 - 112  

반은섭 (흥덕고등학교) ,  류희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삼차방정식 $x^3+4x=32$의 기하학적 해법을 사례로 하여 삼차방정식 $x^3+ax=b$를 기하학적으로 해결하는 일반화 과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변수를 동적으로 이해하면서 이미 제시한 일반해를 재해석하고, 더 나아가 또 다른 일반해를 제시할 수 있게 되어 일반화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동적 기하 환경이 변수 이해 및 일반화 수준 향상과 관련해 학생 중심 탐구 수단으로서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processes of generalization in which students have geometrically solved cubic equation $x^3+ax=b$, regarding geometrical solution of cubic equation $x^3+4x=32$ as exampl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students could especially re-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필 환경 및 동적 기하 환경에서 학생 중심의 탐구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했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문제의 해결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생 간의 의사소통을 최소화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이 사용한 책상이 충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컴퓨터는 개인별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필 환경 이후에 제공된 동적 기하 환경이 일반화의 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 이와 같은 결과는 변수가 포함되어 있는 일반화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동적 기하 환경이 학생 중심의 탐구 수단으로서 유의미하게 활용될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학교 수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하여 변수가 포함된 일반화의 상황을 다루고, 이를 교수 및 학습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반은섭 외(2016)가 Omar Khayyam의 해법을 재해석하여 제시한 삼차방정식 x3+ax=b에 대한 교수학적 활용 방법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수학 교실에 필요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변수 a, b가 포함된 삼차방정식 x3+ax=b를 기하학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필 환경과 동적 기하 환경의 풍부한 탐구 학습 환경을 각각 제시하고, 동적 기하 환경이 일반화 수준의 향상을 어떤 방식으로 지원하게 되었는지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본 연구에서 의도하고 있는 일반화된 방정식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매개변수의 이해 수준에 따라서 일반화 결과의 위계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 즉, 계수 및 상수항이 구체적인 수로 제시된 방정식의 해법을 통하여 일반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인 방정식을 해결할 수 있었던 구조적 유사성을 인식하게 될 경우에 일반화의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구체적이고 특별한 예로부터 구조적 유사성을 찾아, 본질적인 속성이 무엇인지 찾아내고 추상화시키는 것을 일반화의 완성으로 보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의도하고 있는 일반화된 방정식을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매개변수의 이해 수준에 따라서 일반화 결과의 위계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 즉, 계수 및 상수항이 구체적인 수로 제시된 방정식의 해법을 통하여 일반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인 방정식을 해결할 수 있었던 구조적 유사성을 인식하게 될 경우에 일반화의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수는 무엇인가요? 대수는 일반화의 언어이며, 일반화를 위한 표현과 조작, 그리고 일반화 과정에서 추론의 방식을 제공한다(Mason, 2002). 또한 기하의 교수-학습에서 대수적 표현, 방정식을 풀기 위한 대수적인 조작, 변수와 미지수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에(Dindyal, 2004, 2007), 학교 수학의 대수와 기하의 모든 분야에서 일반화와 관련된 내용이 스며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화가 무엇인가요? 일반화는 몇 가지 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통된 패턴 및 성질을 그 예가 포함된 보다 큰 범위로 확장시키는 것으로(Mitchelmore, 2002;Tall, 2011; Zazkis, Liljedahl & Chernoff, 2007), 형식 불역의 원리나 대입과 같은 대수적 사고 요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수적 사고 발달의 초석이 된다고 할 수 있다(김성준, 2004; 장혜원, 2007). 
학습 상황에서 세 가지 개념의 통합은 어떤 과정을 걸쳐서 이루어지나요? White & Mitchelmore(1999)는 [그림 II-1]을 통하여 학습 상황에서 세 가지 개념의 통합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일반화 및 추상화 학습은 예들을 관찰하는 활동으로부터 시작되며, 경험적 일반화와 이론적 일반화의 과정이 교대가 되면서 유사성을 찾아 공통 요소들을 분류하여 수학적 개념에 대한 비형식적인 모델을 구성하게 된다.그리고 형식적인 수학적 개념을 통하여 해석할 수 있는 관점에서의 맥락을 조사하면서 추상-일반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남희(2004).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3), 305-325. 

  2. 김성준(2004). 학교수학에 제시된 분석적 아이디어의 고찰. 교과교육학연구, 11(2), 499-515. 

  3. 김화경.조한혁(2004). DGS 동적 기하에서의 새로운 함수적 관점의 정의.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3(2), 177-186. 

  4. 반은섭.신재홍.류희찬(2016). 오마르 카얌(Omar Khayyam)이 제시한 삼차방정식의 기하학적 해법의 교육적 활용. 학교수학, 18(3), 589-608. 

  5. 우정호(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증보판 2판). 서울대학교출판부. 

  6. 장혜원(2007). Clairaut의 에 나타난 대수지도 원리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3), 253-270. 

  7. 장혜원.강정기(2013). 기하 정리의 일반성 인식을 위한 동적기하환경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23(4), 585-604. 

  8. 조영주.김경미(2010). 컴퓨터 대수 환경에서 매개변수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4(4), 949-974. 

  9. 지영명.유연주(2014). 매개변수의 인식과 오류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6(4), 803-825. 

  10. Akgun, L., & Ozdemir, M. E. (2006).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variable as general number and unknown: A case study. The Teaching of Mathematics, 9(1), 45-51. 

  11. Arcavi, A. (2003).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2, 215-241. 

  12. Barbosa, A., Palhares, P., & Vale, I. (2007). Patterns and generalization: The influence of visual strategies. Proceedings of the 5th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844-851. 

  13. Bayazit, I., & Aksoy, Y. (2010). Connecting representations and mathematical ideas with GeoGebra. GeoGebra International Journal of Romania, 1(1), 93-106. 

  14. Becker, J. R., & Rivera, F. (2005). Generalization strategies of beginning high school algebra students. Proceedings of the 29th PME Conference, vol 4, 121-128. 

  15. Bills, L., & Rowland, T. (1999). Examples, generalisation and proof. In L. Brown (Ed.), Making meaning in mathematics. Advanc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1, pp. 103-116). York, UK: QED. 

  16. Connor, M. B. (1956). A historical survey of methods of solving cubic equation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Richmond, Virginia. 

  17. Davydov, V. V. (1990). Type of generalization in instruction: Log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 structuring of school curricula (translated by J. Teller). In J. Kilpatrick (Ed.), Soviet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원저는 1972년에 출판). 

  18. De Giessen, C. (2002). The visualisation of parameters. In M. Borovcnik & H. Kautschitsch (Eds.),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Proceedings of ICTMT5 in Klagenfurt 2001) (pp. 97-100). Vienna: obv&hpt Verlagsgesellschaft. 

  19. Dienes, Z. P. (1971). Building up mathematics (Fourth Edition). London: Hutchinson. 

  20. Dindyal, J. (2004). Algebraic thinking in geometry at high school level: Students' use of variables and unknowns. In I. Putt, R. Faragher & M. McLean (Eds.),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hird millennium: Towards 2010 (Proceedings of the 27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Townsville) (pp. 183-190). Sydney: MERGA, Inc. 

  21. Dindyal, J. (2007). The need for an inclusive framework for students' thinking in school geometry.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4(1), 73-83. 

  22. Dorfler, W. (1991). Forms and means of generalization in mathematics. In A. J. Bishop (Ed.), Mathematical knowledge: Its growth through teaching (pp. 63-85).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23. Dreyfus, T.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25-41). Boston: Kluwer. 

  24. Drijvers, P. (2001). The concept of parameter in a computer algebra environment. Proceedings of 25th PME Conference, vol 2, 385-392. 

  25. Drijvers, P. (2003). Learning algebra in a computer algebra environment. Design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of parame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reudenthal Institute, Utrecht, Netherlands. 

  26. Goldin, G. A. (2002). Representation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In L. D. English (E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97-21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Hershkowitz, R., Schwarz, B. B., & Dreyfus, T. (2001). Abstraction in context: Epistemic a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2), 195-222. 

  28. Hohenwarter, M. (2002). GeoGebra-Ein Software system fur dynamische Geometrie und Algebra der Eben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Salzburg, Austria. 

  29. Hohenwarter, M., & Jones, K. (2007). Ways of linking geometry and Algebra: the case of GeoGebra. In D. Kuchemann (Ed.),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7(3), 126-131. 

  30. Holyoak, K. J., & Koh, K. (1987). Surface and structural similarity in analogical transfer. Memory & Cognition, 15(4), 332-340. 

  31. Hoyles, C., Noss, R., & Pozzi, S. (1999). Mathematizing in practice. In C. Hoyles, C. Morgan, & G. Woodhouse (Eds.), Rethink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pp. 48-62). London: Falmer Press. 

  32. Hoyles, C., & Jones, K. (1998). Proof in dynamic geometry contexts. In C. Mammana & V. Villani (Eds.), Perspectives on the Teaching of Geometry for the 21st Century(ICME Study 8) (pp. 121-128). Dordrecht: Kluwer. 

  33. John, K. (2002). Research on the use of dynamic geometry software. MicroMath, 18(3), 18-20. 

  34. John, K. (2011). The value of learning geometry with ICT: lessons from innovative educational research. In A. Oldknow., & C. Knights (Eds.), Mathematics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chapter 5, pp. 39-45). London: Continuum. 

  35. Kaput, J. J., Blanton, M. L., & Moreno, L. (2008). Algebra from a symbolization point of view.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19-55). New York, NY: Lawrence Erlbaum. 

  36. Khayyam, O. (2008). An essay by the uniquely wise ABEL FATH BIN AL-KHAYYAM on algebra and equations. Translated by R. Khalil & Reviewed by W. Deeb. UK: RG1 4QS. 

  37. Mardia, K. V. (1999). Omar Khayyam, Rene Descartes and solutions to algebraic equations. Presented to Omar Khayyam Club, London. Retrieved from http://www1.maths.leeds.ac.uk/-sta6kvm/omar.pdf. 

  38. Mason, J. H. (2002). Generalisation and algebra: Exploiting children's powers. In L. Haggerty (Ed.), Aspects of teaching secondary mathematics: Perspectives on practice (pp.105-120). London: RoutledgeFalmer. 

  39.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0. Mitchelmore, M. C. (2002). The role of abstraction and generalisation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D. Edge, & B. H. Yeap (Eds.), Mathematics education for knowledge- based era (Proceedings of the 2nd East Asia Reg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9th Southeast Asian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pp. 157-167). Singapore: Association of Mathematics Educators. 

  41. Polya, G. (2003). 수학과 개연 추론 (I권: 수학에서의 귀납과 유추)(이만근, 최영기, 전병기, 홍갑주, 김민정 역). 서울: 교우사. (원저는 1968년에 출판). 

  42. Polya, G. (2005).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 수학적 사고와 방법-(우정호 역). 서울: 경문사.(원저는 1956년에 출판). 

  43. Schoenfeld, A. H., & Arcavi, A. (1988). On the meaning of variable. Mathematics Teacher, 81(6), 420-427. 

  44. Skemp, R. (1986).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2nd ed).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45. Sriraman, B. (2004). Reflective abstraction, uniframes and formulation of generalization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3(2), 205-222. 

  46. Tall, D. (2011). Looking for the bigger picture.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1(2), 17-18. 

  47. Ursini, S., & Trigueros, M. (2004). How do high school students interpret parameters in algebra. Proceedings of the 28th PME Conference, vol 4, 361-368. 

  48.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 In A. F. Coxford & A. P. Schulte (Eds.), The ideas of algebra, K-12 (pp. 8-19).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9. Wagner, S., & Kieran, C. (Eds.). (1989). Research issues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algebra.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0. White, P., & Mitchelmore, M. (1999). Learning mathematics: A new look at generalisation and abstraction. Referred paper at the combined conference of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Associations for Research in Education, Australia. 

  51. Yilmaz, R., Argun, Z., & Keskin, M. (2009). What is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generalization processes: The case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Humanity & Social Sciences Journal, 4(2), 130-137. 

  52. Zazkis, R., Liljedahl, P., & Chernoff, E. J. (2007). The role of examples in forming and refuting generalizations. ZDM Mathematics Education, 40(1), 131-1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