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zing Education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4 no.2, 2019년, pp.73 - 82  

이지안 (부산대학교) ,  안영식 (동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과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역량 중심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수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지원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역량을 창업의지확인단계, 창업모델구상단계, 벤처창업계획단계로 구분하여 7개 역량군에 대한 핵심역량 15개 항목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15개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는 6개 항목이었고, 차 순위는 2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최우선 순위의 역량과 차 순위의 역량을 종합하면 자기분석력, 창업아이디어 도출능력, 아이디어 타당성 분석력, 사업계획 프레젠테이션 능력으로 4개의 역량군으로 구분된다. 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창업아이디어도출능력과 아이디어타당성분석력이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며, 자기분석능력은 창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고히 하고, 사업계획프레젠테이션능력은 사업 아이디어가 꿈과 이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필요하고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능력으로 배양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increased, universities are conduct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for university students.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 demand for a competency-orien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realize the entrepreneurial id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시장의 환경적 요인을 이해하고 변화의 추세를 읽어내는 전략적 역량을 증진시키는 교육을 통해 창업자를 충분히 키워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김규동, 2014; 이용희·박수홍, 2014; 이용희,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창업역량에 대한 현재의 상태(As-Is)와 바람직한 상태(To-Be) 간의 차이(gap)를 체제적으로 접근하여 실제로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창업역량의 요구도를 파악하기 적합한 이지안·안영식(2018)의 청년 창업자 역량모형을 활용하여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실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창업역량의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수행하였다. 첫째, 대학생, 청년, 창업, 벤처, 역량 등 연구주제에 대한 선행연구 및 연구보고서를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이용하여 고찰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역량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연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대학생 64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여 설문지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창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실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업역량을 길러낼 수 있는 역량중심의 창업교육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창업역량 개발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그들이 요구하는 교육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비록 일부 연구자들이 국내 사정에 적합한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부족, 실습과 체험 중심의 교육 콘텐츠 부족, 전문 강사의 부족 등이 창업교육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김상수 외, 2014).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업역량을 길러낼 수 있는 역량중심의 창업교육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창업역량 개발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그들이 요구하는 교육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창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창업역량을 개발하는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제 실행하는 현재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역량 개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3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업역량은 무엇인가? 대학의 창업 교육은 창업역량 관련 연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역량이란 특정상황이나 직무에 있어서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개인의 잠재적 특성을 의미하고(Spencer & Spencer,1993), 창업역량은 창업을 위한 조직을 만들어서 성장시키는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며, 조직화에 필요한 창업가의 특정 능력이라 할 수 있다(오재우·양동우, 2014). 이처럼 대학생의 창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대학 창업교육 활동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대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창업역량은 무엇이고, 창업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어느 정도 실행하는지에 대한 교육요구도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에서는 무엇을 운영하고 있는 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대학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미국은“Startup America Initiative”를 통해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주요대학에서는 창업과 관련한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은 “Start British”를 통해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운영하고 있다(최대수·성창수, 2017). 이처럼 우리나라도 대학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어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가? 대학에서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창업강좌 개설 확대, 창업동아리 수 증가, 창업관련 대체학점인정제, 창업 휴학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대학에서 창업교육 강좌와 활동들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청년 창업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창업교육 실시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종합적 창업지원프로그램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in, B. S., & Park, J. K.(2002).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a small business starting-up,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24(3), 135-158. 

  2.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 Education, 31(3), 39-42. 

  3. Chae, Y. H.(2017).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employ-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 and moderating effect of fear on start-up,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32(4), 165-183. 

  4. Chandler, G. N., & Jansen, E.(1992). The founder's self-assessed competence and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7(3), 223-236. 

  5. Cho, D. Y.(2009).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5, 165-187. 

  6. Cho, J. H., Kim, C. J., & Song, M. K.(2012). A study of the entrepreneurship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usiness school and management consulting,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5(1), 19-39. 

  7. Choi, D. S., & Sung, C. S.(2017).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market perception competenc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1), 101-109. 

  8. Choi, J. I., & Hwangbo, Y.(2012). Development on education for entrepreneurship progra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1), 207-214. 

  9. Choi, J. I., & Park, C. G.(2013). The key success factors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mplication from USA university cas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3), 85-96. 

  10. Chong, K. H., & Kim, B. K.(2017).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o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external cooperation, support for entrepreneurship,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12(2), 232-255. 

  11. Chrisman, J. J., Chua, J. H., & Sharma, P.(1998). Important attributes of successors in family businesses: An exploratory study, Family Business Review, 11(1), 19-34. 

  12. Goo, B. M., Kim, K. H., & Kim, J. K.(2010). Study on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Current state of competency model,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13(1), 131-154. 

  13. Ha, K. S., & Yeo, K. E.(2016). A study on the improving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3), 221-231. 

  14. Heo, S. Y., Jang, H. E., & Lee, J. H.(2017). Exploring the government policy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in Kore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75-84. 

  15. Hong, J. P., & Yang, H. S.(2014).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141-157. 

  16. Jeong, H. B.(2017). A study on the efficient design & practices for the start-u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1), 123-132. 

  17. Kim, H. C., Lim, A. R., & Kim, K. P.(2015).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18(2), 27-58. 

  18. Kim, H. D., & Lee, C. G.(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young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13(2), 53-76. 

  19. Kim, J. S., Kang, Y. M., & Lee, S. Y.(2018). A needs analysis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for teachers and parents using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8(4), 252-264. 

  20. Kim, K. D.(2014). A study on African women entrepreneurship and societal issues toward women doing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 41, 3-34. 

  21. Kim, S. S., Kim, Y. C., & Lee, J. H.(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and business simulation game,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9(5), 117-146. 

  22. Kirzner, I. M.(1978). Competition and entrepreneurship.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2018).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survey of university start-up in 2017, Daejeon: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24. Kwak, D. S., Jung, H. Y., & Kim, M. S.(2016).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4), 37-48. 

  25. Lee, J. A., & Ahn, Y. S.(2018). Developing measurement tool of entrepreneurship for young entrepreneu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4), 197-209. 

  26. Lee, J. W., & Chang, S. D.(1999).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merica,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Studies, 2(2), 57-90. 

  27. Lee, M. S., & Won, S. B.(2013).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he case of founders, prospective founders and non-found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2(2), 99-134. 

  28. Lee, Y. H.(2016). Development in Core Competence Model of Venture Entrepreneurs, Doctoral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9. Lee, Y. H., & Park, S. H.(2014).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ventur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231-244. 

  30. Mcmullan, W. E., & Long, W. A.(1987).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ninet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3), 261-275 

  31.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32. Noh, K. S., & Kang, H. J.(2012).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promotion policy and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youth start-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9), 79-87. 

  33. OECD(2017). The Missing Entrepreneurs 2017, Available at http://www.oecd-ilibrary.org. 

  34. Oh, J. W., & Yang, D. W.(2014). The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young generation start-up compete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tart-up preliminary period & start-up aim period,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5), 115-127. 

  35. Song, W. Y., & Hwang, K. Y.(2012).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on strategy and performance: An evidence from an analysis on ventur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2), 369-387. 

  36. Spencer, L. M., & Spencer, S. M.(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7. Statistics Korea(2018.1.10.). December 2017 and Annual Employment Trends. Retrieved (2018.05.06.)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3/1/index.board?bmoderead&aSeq365835. 

  38. Yang, S. H., Kim, M. S., & Jung, H. Y.(2011).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6(4), 195-213. 

  39. Yoon, E. J.(2018.05.25.). Reinforce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goal of 5,000 student startups, Veritas ${\alpha}$ , Retrieved from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8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