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색소음이 대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hite Noise on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3, 2017년, pp.316 - 324  

김근면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주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ite noise on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stress in college students.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a randomized controlled design to measure the effect of white noise on college students'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stress.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색소음의 청취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SNS로 확인 문자를 보내고 체크리스트를 주어 스스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익 일 체크리스트를 사진과 SNS를 통해 확인하였다. 대조군의 자료수집은 실험군의 실험이 끝난 후 실시하여 외생변수를 통제하고자 노력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색소음이 대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추후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완화시키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백색소음 중재가 수면의 질, 우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연구 대상자는 1주일동안 수면 전에 40-50dB의 자연음을 청취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 전 백색소음 중재를 통해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의 질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백색소음 중재가 대학생의수면의 질,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백색소음은 넓은 주파수의 범위에서 거의 균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진 신호를 말하며 백색소음의 원리는 주변의 불규칙한 소음을 일정한 소리로 차폐하는 것을 의미한다(Hyun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침 전 백색소음 중재가 대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 3.
  •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1.
  • • 가설 1. 백색소음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백색소음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의 질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3. 백색소음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백색소음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2. 백색소음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백색소음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발전 과업은 무엇인가? 대학생은 후기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속한다. 확고한 자기감과 정체감을 가지고 직업을 선택하여 사회에서 성취를 추구하고,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독립된 가구를 형성하는 것이 발전 과업이다. 대학생들은 대학을 입학하면서 통제 혹은 억압되었던 것들이 사라지면서, 과거보다 남는 시간, 경험하지 못한 자유, 다양화된 인간관계 등에 대해 불안과 긴장,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Sarokhani et al.
대학생은 성장 단계적으로 어떤 시기에 속하는가? 대학생은 후기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속한다. 확고한 자기감과 정체감을 가지고 직업을 선택하여 사회에서 성취를 추구하고,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독립된 가구를 형성하는 것이 발전 과업이다.
백색소음 중재를 통한 효과 확인 결과 수면의 질에 대해서 실험군은 백색소음 제공 후 수면의 질이 0.57점(SD=0.27)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0.12점(SD=0.36) 증가한 사실로 추론할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36) 증가하였다.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 1. 백색소음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백색소음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의 질이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t=0.65,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vocat, C. D., Guidry, D., & Martino, L. (2008). Licit and illicit use of medication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6(6), 601-606. 

  2. Arria, A. M., & Wish, E. D. (2006). Nonmedical use of prescription stimulants among students. Pediatric Annals. 35(8), 565-571. 

  3. Barratt, E. L., & Davis, N. J. (2015).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ASMR): a flow-like mental state, PeerJ, 3, e851. 

  4. Cheon, K. G., & Kim, K. H. (1996). A step 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stress & coping :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34-65.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naum Associate. 

  6. Deatherage, B. H., & Evans, T. R. (1969). Binaural masking: backward, forward and simultaneous effect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46(2), 262-371. 

  7. Hicks, R. A., Fernandez, C., & Pellegrini R. J. (2001). Striking change in the sleep satisfaction of universtiy students over the last two decad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3(3), 660. 

  8. Hyun, B. S., Yang, B. H., & Oh, S. J. (2002). The Effects of noise - masking and Task complexity on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5(1), 147-167. 

  9. Jung, S. H., & Park, J. (2013).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2), 345-353. 

  10. Kim, K. M. (2010). The effect of white noise on attention and task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6(3), 113-126. 

  11. Ko, K. B., Park, J. G., & Kim, C. Y. (2000).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4), 707-719. 

  12.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Employment trend,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13. Lee, J. H. (1995).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12(2), 292-305. 

  14. Lee, M. E., Kim, S. H., Ha, K. S., Park, H., Jung, H. S., Park, J. C., & Kim, Y. S. (2016).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Honam district,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5(3), 215-223. 

  15. Loewen, L. J., & Suedfelt, P. (1992). Cognitive and arousal effects of masking office noise. Environment and Behavior, 24, 381-395.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Mental health survey,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7. O'Donnell, H. (2009). The emotional impact of nursing student attrition rate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12), 745-754. 

  18.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63-572. 

  19. Pilcher, J. J., Ginter, D. R., & Sadowski, B. (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 somatic Research, 42(6), 583-596. 

  20. Pouya F. A. (2016). Effect of white noise on sleep in patients admitted to a coronary care. Journal of Caring Science, 5(2), 103-109. 

  21. Ross, R., Zeller, R., Srisaeng, P., Yimmee, S., Somchid, S., & Sawatphanit, W. (2005). Depression, stress,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1), 391-400. 

  22. Sarokhani, D., Delpisheh, A., Veisani, Y., Sarokhani, M. T. Manesh, R. E., & Sayehmiri, K. (2013).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2013:373857. 

  23. Shin, S. G., & Shim, J. Y. (2012). 1/f fluctuation auditory stimuli,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adult's concentration and effect on brain activity. Journal of Brain Education. 10(9), 51-73. 

  24. Stanchina, M. L., Abu-Hiileh, M., Chaudhry, B. K., Carlisle, C.C., & Milman, R. P. (2005). The influence of white noise on sleep in subjects exposed to ICU noise. Sleep Medicine, 6(5), 423-428. 

  25. Yi, H. Y., Shin, M. K., & Won J. S. (2012). Sleep patter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9(4), 425-433. 

  26. Yoon, M. S., & Lee, H.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job prepar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3), 109-137. 

  27. Zung, W. W. K.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 of general psychiatry,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2(1), 63-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