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산염 및 식물플랑크톤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팔당호 수계내의 질소원 기원 연구
Determination of the Origin in both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ytoplankton at the Lake Paldang using Stable Isotope Ratios (δ13C, δ15N, δ15N-NO3 and δ15N-NH4)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4, 2017년, pp.452 - 458  

김민섭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  이은정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윤숙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  임보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  박재선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  박현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 ,  최종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분석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암모니아성 질소질산성 질소안정동위원소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호소 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오염원의 기원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질 관리 및 수생태계 기능해석 지원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남한강, 북한강, 팔당호 지역에 비해서 경안천 지역의 유기물 기원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며, 외부기원 유기물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식물플랑크톤(규조류, 남조류)이 자생기원 보다는 외부기원 질소원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강 유역에서 암모니아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유기물 기원 연구는 적용가능 할 것으로 여겨지며, 식물플랑크톤의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비를 활용하여 그 거동을 추정할 수 있었다. 추후 유역 오염원의 대표 값(end member)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자료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itrogen isotope value in both ammonium and nitrate ion were determined at 9 stations during both June and August 2016,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DIN at the Han river. ${\delta}^{15}N-NO_3$ and ${\delta}^{15}N-NH_4$ values in 8 stations (CP, SB, MHC, P4, SJ, SB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팔당호에 유입되는 남한강, 북한강 및 경안천 지류를 대상으로 입자성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암모니아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 이온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더 나아가 식물플랑크톤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측정을 통해 질소 유입원의 시공간적 변화 및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류 대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 2007). 그러므로 조류 대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기원 질소원(농약 및 비료, 축산폐수, 공장폐수, 생활하수 등)의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매우 필요하다.
조류란? 조류 (algae, 藻類)란 양치식물이나 관속식물을 제외한 광합성을 하고 산소를 생성하는 단세포 진핵생물인 원생생물 (protist)과 남조류 (blue-green algae)라고 부르는 원핵생물인 남세균 (cyanobacteria)을 통칭한다 (Suikkanea et al., 2010).
조류 대발생이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는? 녹조현상 같은 조류 대발생은 주로 생활하수를 포함한 점오염원과 농지 및 산림으로부터 유출되는 불특정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따라 수계 내 과도한 영양물질(질소, 인) 축적이 이루어져 나타난다(Hargrave, 1991). 또한 심미적 불쾌감, 용존산소 고갈에 따른 어류폐사(Sinonen et al., 1999), 독소 및 이취미 발생, 정수장 여과지 폐색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Watson et al., 2004, 2007; Van Apeldoor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W.J., G.H. Han., H.M. Ro., S.H. Yoo and S.M. Lee. 2002. Evalu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of unconfined groundwater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of Korea using nitrogen isotope ratios. Geosciences Journal 6: 47-55. 

  2. Choi, Y.J., J.W. Jung., W.J. Choi., K.S. Yoon., D.H. Choi., S.S. Lim., J.H. Jeong., B.J. Lim and N.M. Chang. 2011. Estimation of pollution sources of Oenam watershed in Juam lake using nitrogen concentration and isotope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 467-474. 

  3. Costanzo, S.D., M.J. O'Donohue, W.C. Dennison, N.R. Loneragan and M. Thomas. 2001. A new approach for detecting and mapping sewage impacts. Marine Pollution Bulletin 42: 149-156. 

  4. Fry, B. 1988. Food web structure on Georges Bank from stable C, N, and S isotopic compositio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33: 1182-1190. 

  5. Gal, J.K., M.S. Kim, Y.J. Lee, J.W. Seo and K.H. Shin. 2012. Foodweb of aquatic ecosystem within the Tamjinriverthrough the determination of carbon and nitrogen stableisotope ratio.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5(2): 242-251. 

  6. Hargrave, W.J. 1991. Water Fit to Drink. BCWWA Seminar, Burnaby, B.C., 1991, Feburary 25-26. 

  7. Holmes, R.M., J.W. McClelland, D.M. Sigman, B. Fry and B.J. Peterson. 1998. Measuring $^{15}N-NH_4{^+}$ in marine, estuarine and fresh waters: An adaptation of the ammonia diffusion method for samples with low ammonium concentrations. Marine Chemistry 60: 235-243. 

  8. Kellman, L.M and C. Hillaire-Marcel. 2003. Evaluation of nitrogen isotopes as indicators of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95: 87-102. 

  9. Kim, J.K., B.C. Kim, S.M. Jung, C.G. Jang, M.S. Shin and Y.Y. Lee. 2007. The distribution of DOM and POM and the composition of stable carbon isotopes in streams of agricultural and forest watershed located in the Han river system,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0(1): 93-102. 

  10. Kim, M.S., J.Y. Hwang, B.K. Kim, H.S. Cho, S.J. Youn, S.Y. Hong, W.S. Lee, O.S. Kwon and J.M. Kim. 2014.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lake Paldang using stable isotope ratio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2): 127-134. 

  11. Kim, M.S., T.J. Park, S.H. Yoon, B.R. Lim, K.H. Shin, O.S. Kwon and W.S. Lee. 2015. Introduction of Kjeldahl Digestion method for nitrogen stable isotop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tracing nitrogen sourc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3): 147-152. 

  12. Kim, M.S., W.S. Lee, K.S. Kumar, K.H. Shin, W. Robarge, M.S. Kim and S.R. Lee. 2016. Effects of HCl pretreatment, drying and storage on the stable isotope ratios of soil and sediment samples. Rapid Communication Mass Spectrometry 30: 1567-1575. 

  13. Kim, M.S., Y.J. Lee, K.G. An, B.H. Kim, S.J. Hwang and K.H. Shin. 2014. Allochthonous organic matter contribution to foodweb in Shingu Agricultural reservoir after rainfall period.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1): 53-61. 

  14. Kohl, D.H., G.B. Shearer and B. Commoner. 1971. Fertilizer nitrogen: Contribution to nitrate in surface water in a corn belt watershed. Science 74: 1331-1334. 

  15. Kong, D.S. 1993. Ecological study of Paldandlake. Ph. D Thesis. Korea Univiersity. 

  16. Lee, Y.J., B.K. Jeong, Y.S. Shin, S.H. Kim and K.H. Shin. 2013.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igin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 ${\delta}^{13}C$ , ${\delta}^{15}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2): 175-184. 

  17. Lee, Y.J., S.G. Hong, M.S. Kim, D.H. Kim, B.H. Choi, J. Hur, J.S. Khim and K.H. Shin. 2014. Identification of sources and seasonal variability of organic matter in Lake Sihwa and surrounding inland creeks, South Korea. Chemosphere 177: 109-119. 

  18. Martin, D.F. and M.H. Gonzalez. 1978. Effects of salinity on synthesis of DNA, acidic polysaccharide, and growth in the blue-green alga Gomphosphaeria aponina. Water Research 12: 951-955. 

  19. Min, J.H., S.T. Yun, K. Kim, H.S. Kim and D.J. Kim. 2003. Geologic controls on the chemical behaviour of nitrate in riverside alluvial aquifers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30: 1197-1211. 

  20. Oren, O., Y. Yechieli, J.K. Bohlke and A. Dody 2004.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under cultivated fields in an arid environment, Central Arava Valley, Israel. Journal of Hydrology 290(3/4): 312-328. 

  21. Paerl, H.W., R.S. Fulton 3rd, P.H. Moisander and J. Dyble. 2001. Harmful freshwater algal blooms, with an emphasis on cyanobacteria. Scientific World Journal 1: 76-113. 

  22. Shin, J.K., J.L. Cho, S.J. Hwang and K.J. Cho. 2000. Eutrophication and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Kyongan stream to Palda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3(4): 387-394. 

  23. Shin, J.K., S.J. Hwang, C.K. Kang and H.S. Kim. 2003. Limon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type Paldang reservoir, Korea: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6(3): 242-256. 

  24. Sigman, D.M., M.A. Altabet, R. Michener, D.C. McCorkle, B. Fry and R.M. Holmes. 1997. Natural abundance-level measurement of the nitrogen isotopic composition of oceanic nitrate: an adaptation of the ammonia diffusion method. Marine Chemistry 57: 227-242. 

  25. Sinonen, K. and G. Jones. 1999. Cyanobacterialtoxins. pp. 41-111. In: Toxic Cyanobacteria in Water (Chorus, I. and J. Bartram, eds.). WHO, Geneva. 

  26. Smith S.J., J.S. Schepers and L.K. Porter. 1990. Assessing and managing agricultural nitrogen losses to the environment. Advance in Soil Science 14: 1-43. 

  27. Suikkanen, S., H. Kaartokallio, S. Hallfors, M. Huttunen and M. Laamanen. 2010. Life cycle strategies of bloom-forming, filamentous cyanobacteria in the Baltic Sea. Deep-Sea Research II 57: 199-209. 

  28. Van Apeldoorn, M.E., H.P. van Egmond, G.J.A. Speijers and G.J.I. Bakker. 2007. Toxins of cyanobacteria.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51: 7-60 

  29. Watson, S.B. 2004. Aquatic taste and odor: a primary signal of drinking-water integrity.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67: 1779-1795. 

  30. Watson, S.B., M. Charlton, Y.R. Rao, T. Howell, J. Ridal, B. Brownlee, C. Marvin and S. Millard. 2007. Off flavours in large waterbodies: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in synchrony.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5: 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