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분장애 환자에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에 따른 우울 증상과 다섯 가지 마음챙김 요소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Five Facets of Mindfulness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through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4 no.4, 2017년, pp.212 - 218  

김남우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혜영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성준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용민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aimed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skills are mediating the improvement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who practice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Methods A total of 19 patients with mood disor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 질문(Five Facets of Mindfulness Questionnaire, 이하 FFMQ)으로 이는 기존의 측정도구들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으로 통합한 것이다.14) 본 연구는 우울 삽화를 겪고 있거나 관해 상태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MBCT를 통하여, 환자들의 우울 증상 등에 호전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에 의해 매개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MADRS, QoL, ASI, SSI, FFMQ 점수가 MBCT 전후로 변하는 양상이 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MBCT 치료 전후와 그룹 사이에 교호작용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Repeated measures ANOVA 또는 linear mixed model로 분석한 결과 MADRS, ASI, SSI에 대해, MBCT 치료 전후와 그룹 사이에 교호작용(time × group)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었다(MADRS, ASI, SSI 각각의 교호작용 p value = 0.
  • 연구의 첫 번째 목표는 MBCT 전후로 각 그룹 내에서 변수들의 변화 여부와 그룹 간에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MBCT 전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된 변수가 마음챙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 변수의 변화율이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의 변화율로 예측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변화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 우울 삽화에 있거나 관해 상태에 있는 주요 우울장애 또는 양극성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MBCT를 시행하였을 때 MBCT 전후로 우울증, 불안, 삶의 질, 자살 사고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로 예측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주간의 MBCT 교육은 중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호소하는 기분장애 환자에서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MBCT 전후 우울 증상의 변화율은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 중 ‘관찰’ 및 ‘반응하지 않기’ 요소의 변화율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의 첫 번째 목표는 MBCT 전후로 각 그룹 내에서 변수들의 변화 여부와 그룹 간에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MBCT 전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된 변수가 마음챙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 변수의 변화율이 마음챙김의 다섯 요소의 변화율로 예측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이 MBCT를 통해 호전을 보일 때 이를 매개하는 마음챙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연구는 현재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는 좀 더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4) 이는 기존의 우울증 재발 방지 인지행동치료에 Kabat-Zinn이 개발한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 감소(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5) 의 마음 챙김 요소를 결합한 치료이다.6)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매 순간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비판단적이며 수용하는 자세로 현재를 경험하는 것을 일컫는다.7) 메타분석(meta analysis)8)에 따르면 연구 대상자 1258명에 대해 MBCT를 받은 군의 5년 동안의 우울증 재발률은 MBCT를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위험률(hazard ratio)이 0.
인지치료란 무엇인가? 3) 이와 같은 배경하에 우울증의 재발을 장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이하 MBCT)가 개발되었다.4) 이는 기존의 우울증 재발 방지 인지행동치료에 Kabat-Zinn이 개발한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 감소(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5) 의 마음 챙김 요소를 결합한 치료이다.6)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매 순간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비판단적이며 수용하는 자세로 현재를 경험하는 것을 일컫는다.
재발성 우울증의 약물 치료는 어떠한 한계점이 있는가? 우울증은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향후 재발을 겪는 환자의 비율이 50~80%로 알려져 있으며,1) 우울 삽화를 반복할수록 재발 확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2) 재발성 우울증을 겪는 환자들은 재발 방지를 위해 항우울제를 유지요법으로 복용하나, 약을 복용하는 기간 동안에만 재발 방지효과가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3) 이와 같은 배경하에 우울증의 재발을 장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이하 MBCT)가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upfer DJ, Frank E, Perel JM, Cornes C, Mallinger AG, Thase ME, et al. Five-year outcome for maintenance therapies in recurrent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92;49:769-773. 

  2. Eaton WW, Shao H, Nestadt G, Lee HB, Bienvenu OJ, Zandi P. Population-based study of first onset and chronic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2008;65:513-520. 

  3. Geddes JR, Carney SM, Davies C, Furukawa TA, Kupfer DJ, Frank E, et al. Relapse prevention with antidepressant drug treatment in depressiv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Lancet 2003;361:653-661. 

  4. Teasdale JD, Segal ZV, Williams JM, Ridgeway VA, Soulsby JM, Lau MA.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 Consult Clin Psychol 2000;68:615-623. 

  5. Kabat-Zinn J, Massion AO, Kristeller J, Peterson LG, Fletcher KE, Pbert L, et al. Effectiveness of a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Am J Psychiatry 1992;149:936-943. 

  6. Williams JM, Kuyken W.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 promising new approach to preventing depressive relapse. Br J Psychiatry 2012;200:359-360. 

  7.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NY: Delacorte;1990. 

  8. Kuyken W, Warren FC, Taylor RS, Whalley B, Crane C, Bondolfi G, et al. Efficac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n prevention of depressive relapse: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from randomized trials. JAMA Psychiatry 2016;73:565-574. 

  9. Segal ZV, Williams JMG, Teasdale J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1st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2002. 

  10. Finucane A, Mercer SW.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study of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patients with active depression and anxiety in primary care. BMC Psychiatry 2006;6:14. 

  11. Kenny MA, Williams JM. Treatment-resistant depressed patients show a good response to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Behav Res Ther 2007;45:617-625. 

  12. Kingston T, Dooley B, Bates A, Lawlor E, Malone K.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residual depressive symptoms. Psychol Psychother 2007;80:193-203. 

  13. van Aalderen JR, Donders AR, Giommi F, Spinhoven P, Barendregt HP, Speckens AE. The efficac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n recurrent depressed patients with and without a current depressive episod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l Med 2012;42:989-1001. 

  14. Baer RA, Smith GT, Hopkins J, Krietemeyer J, Toney L.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2006;13:27-45. 

  1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16. McDowell I.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3r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2006. 

  17.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 Med 1998;28:551-558. 

  18. Reiss S, Peterson RA, Gursky DM, McNally RJ. Anxiety sensitivity, anxiety frequency and the prediction of fearfulness. Behav Res Ther 1986;24:1-8. 

  19. Beck AT, Steer RA, Ranieri WF. Scale for Suicide Ide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self-report version. J Clin Psychol 1988;44:499-505. 

  20. Baer RA, Smith GT, Allen KB.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2004;11:191-206. 

  21.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0;23:56-62. 

  22. Cash M, Whittingham K. What facets of mindfulness contribute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ve, anxious, and stress-related symptomatology? Mindfulness 2010;1:177-182. 

  23. Weber B, Jermann F, Gex-Fabry M, Nallet A, Bondolfi G, Aubry JM.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bipolar disorder: a feasibility trial. Eur Psychiatry 2010;25:334-337. 

  24. Deckersbach T, Holzel BK, Eisner LR, Stange JP, Peckham AD, Dougherty DD, et al.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nonremitte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CNS Neurosci Ther 2012;18:133-141. 

  25. Williams JM, Alatiq Y, Crane C, Barnhofer T, Fennell MJ, Duggan DS, et al.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in bipolar disorder: preliminary evaluation of immediate effects on betweenepisode functioning. J Affect Disord 2008;107:275-279. 

  26. Ives-Deliperi VL, Howells F, Stein DJ, Meintjes EM, Horn N.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 controlled functional MRI investigation. J Affect Disord 2013;150:1152-1157. 

  27. Perich T, Manicavasagar V, Mitchell PB, Ball JR, Hadzi-Pavlovic 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bipolar disorder. Acta Psychiatr Scand 2013;127:333-343. 

  28. Barnhofer T, Crane C, Hargus E, Amarasinghe M, Winder R, Williams JM.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s a treatment for chronic depression: a preliminary study. Behav Res Ther 2009;47:366-373. 

  29. Forkmann T, Wichers M, Geschwind N, Peeters F, van Os J, Mainz V, et al.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self-reported suicidal ideation: results from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 patients with residual depressive symptoms. Compr Psychiatry 2014;55:1883-18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