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산여성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 결정요인과 형평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and Equit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Utilization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4, 2017년, pp.304 - 314  

사공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  박다혜 (한양대학교 응용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postpartum care services to women after birth,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se, and examine the extent of income-related inequality in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using Korean Health Panel data between 2010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도우미서비스와 비교해 산후조리원의 불평등도가 높은 점과 산후도우미의 경우 정부가 지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측면에서는 불평등이 완화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보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정책적 재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후관리서비스의 계층 간 이용격차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출산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출산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난다면, 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 출산모의 이용자 적 특성을 고려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산모건강관리정책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출산을 한 여성이면 누구나 동일 필요에 의한 동일 처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되는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에 있어 계층 간의 불평등은 없는지 horizontal equity (HIwv) 지수 산출법을 이용해 분석해 볼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출산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출산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난다면, 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 출산모의 이용자 적 특성을 고려한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산모건강관리정책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육기는 무엇인가? 이처럼 산후관리가 최근 3차 저출산대책의 주요 방향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된 배경에는 가정 내에서의 전통적 산후조리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짐에 따라 산후관리서비스의 이용이 출산모들에게 중요한 산후조리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데에 있다. 산육기(puerperium)라고도 불리는 분만 후 6주간의 시기는 임신 및 분만으로 변화된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는 기간으로 출산 모의 건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이다. 서양에서는 산후관리를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행위로 이해하고 있지만, 한국에서의 산후관리는 전통적으로 분만 후 산후병을 예방하고 출산모의 평생 건강을 도모하게 해주는 중요한 단계라는 문화적 신념이 자리 잡고 있다.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많아지면서 어떤 주장들이 제기되었는 가? 그러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많아지면서 상업화, 고급화및고비용 추세도 가속화되고 있는데, 서울시에서 발표한 산후조리원 요금자료를 살펴보면 2016년 8월 기준으로 서울시 소재 산후조리원은 일반실의 경우 2주간 평균 307만 원이며 최대 2,500만 원의 요금이 책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5]. 이에 따라 저소득층이나 농어촌지역주민과 같은 취약계층의 비용부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게 되면서 공공보건서비스 영역에서 산후관리서비스를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들도 많이 대두되고있다[6].
산후관리가 최근 3차 저출산대책의 주요 방향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된 배경은? 이처럼 산후관리가 최근 3차 저출산대책의 주요 방향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된 배경에는 가정 내에서의 전통적 산후조리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짐에 따라 산후관리서비스의 이용이 출산모들에게 중요한 산후조리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데에 있다. 산육기(puerperium)라고도 불리는 분만 후 6주간의 시기는 임신 및 분만으로 변화된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는 기간으로 출산 모의 건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guidance of mother and newborn health care support projec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3. Kang JG, Lee IS, Cho HS. A study on awareness of postnatal care and San Huo Pung.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3):143-166. 

  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al survey on childbirth and family welfar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ee rates of postpartum care center in Seoul City [Internet].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ited 2017 Aug 2]. Available from: http://health.seoul.go.kr/archives/53744. 

  6. Kim GR. Policy argument and issue for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beyond the policy discourse to the women's health movement. J Humanit Soc Sci 2016;7(3):785-804. DOI: https://doi.org/10.22143/hss21.7.3.41. 

  7. Song JE, Park BL.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J Korean Acad Nurs 2010;40(4):503-514. DOI: https://doi.org/10.4040/jkan.2010.40.4.503. 

  8. Kim H, Jeong I.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J Korean Acad Nurs 2007;37(1):125-134. DOI: https://doi.org/10.4040/jkan.2007.37.1.125. 

  9. Moon SK, Lee JI, Yoon HS, Ahn YM. Isolation rate of 4 type virus of acute gastroenteritis in full-term neonates during neonatal period. Korean J Pediatr 2007;50(9):855-861. DOI: https://doi.org/10.3345/kjp.2007.50.9.855. 

  10. Jung SD, Kim TW, Jang SA, Kim SH. Indoor environment of infant units in postnatal care center?: focus on indoor air quality by types of wooden furniture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by arrangement of lights. J Korea Furnit Soc 2013;24(1):33-41. 

  11. Jeong IS, Lee SJ, Jeong JS, Yoon SW, Jeong SY, Ha J, et al. Development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 for postpartum care centers.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3;18(2):57-88. DOI: https://doi.org/10.14192/kjnic.2013.18.2.57. 

  12. Jung YS, Kwon YD.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7;11(1):143-158.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14. Jo MW, Lee SI, Kil SR, Lee JH, Kang W, Sohn HS, et al. Measur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general adult population in one metropolitan city using EQ-5D.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8;18(3):18-40.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8.18.3.018. 

  15. Kakwani N, Wagstaff A, van Doorslaer 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measurement, computat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J Econom 1997;77(1):87-103. DOI: https://doi.org/10.1016/s0304-4076(96)01807-6. 

  16. Wagstaff A, Paci P, Joshi H. Causes of inequality in health: who you are? where you live? or who your parents were? Washington (DC): World Bank; 2001. 

  17. Kwon SM, Yang BM, Lee TJ, Oh JW, Lee SH. Equ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Korean Health Econ Rev 2003;9(2):13-24. 

  18. Eom SH, Moon CG. Income-Related Inequalities in health Caare Finance and Self-Assessed health in Korea from 1999 to 2007: Measurements Based on KLIPS Survey Dat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0;16(1):13-61 

  19. Lim MS. Inequal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l expenditureof chronic ill patients. Proceeding of the 3rd Congress of Korean Health Panel Survey; 2011 Dec 1; Seoul, Korea.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20. Coons SJ, Rao S, Keininger DL, Hays RD. A comparative review of generic quality-of-life instruments. Pharmacoeconomics 2000;17(1):13-35. DOI: https://doi.org/10.2165/00019053-200017010-00002. 

  21. Seong SS, Choi CB, Sung YK, Park YW, Lee HS, Uhm WS,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Koreans. J Korean Rheum Assoc 2004;11(3):254-262.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asur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KNHANES III and IV.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3. Oh SJ, Kim SU. 대학진학의 선택과 노동시장 성과. Korea Labor Institute; 2016. 

  24. Hosmer DW, Hosmer T, Le Cessie S, Lemeshow S. A comparison of goodness-of-fit tests for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Stat Med 1997;16(9):965-980. DOI: https://doi.org/10.1002/(sici)1097-0258(19970515)16:9 3.0.co;2-o. 

  25. Kim TI, Choi YY, Lee KH.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sage in terms of income Levels. Korean Soc Secur Stud 2008;24(3):53-75. 

  26. Kim J.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qu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Korean Soc Secur Stud 2012;28(2):153-180. 

  27. Kim SK, Kin YK, Kim HR, Park JS, Son CG, Choi YJ, et al.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