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관리서비스가 산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Postpartum Care Servic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5 no.4, 2020년, pp.29 - 37  

정재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차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구여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유기봉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influenc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Methodology: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9-2015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as used f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이 출산 후 산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여 산후관리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고, 산후관리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정책적 관심을 제고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산후관리서비스가 산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후관리서비스가 산모의 요구에 의한 필요뿐만 아니라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산후관리서비스는 대다수의 산모가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로, 가정에서의 산후관리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산모의 산후관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이며, 앞으로는 더 많은 산모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하게 될 서비스이다.
  • 이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2009-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모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 현황 및 출산 후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산후관리 서비스가 산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출산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모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 실태 및 추세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산모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산후관리서비스이용 차이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eo J, Chun N.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Life in Women after Bir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1-19. 

  2. Jung M, Kim 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38-45. 

  3. Barr J. Postpartum depression, delayed maternal adaptation, and mechanical infant caring: A phenomenological hermeneutic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3):362-369. 

  4. Women's Health Nursing Course Study Group. Women's health nursing care. 6th ed. Seoul: soomoonsa; 2010. p.1262. 

  5. Sakong J, Park D.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and Equit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Utilization. Health Policy Manag 2017;27(4):304. 

  6. Kim J, Song J, Yoo J, Lee Y, Han M, Kim S, et al.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 of the Utilization of Sanhujoriwon among the Postpartal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1;7(1):56-66. 

  7. Park S, Wee H. Sanhujori Subjectivity in Husbands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9;10(9):141-151. 

  8. Lee E, Park J.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Postpartum Depression :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Antepartum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2):211-220. 

  9. Jung H. A study on the Nursing needs and Service Satisfactory of Us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9;5(2):222-229.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ostpartum Clinic Pilot Evaluation Research Report; 2017. p.135. 

  11. Statistics Korea. Post-Partum Care Survey Result Report; 2018. p.18. 

  12. Lee J. Development plan for postpartum 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y childbirth; 2019. 

  13. Nam J. A Study of Satisfaction Degre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of 'Postpartum Caretaker'. The Journal of Pubic Welfare Administration 2011;21(2):137-164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9 Mother and Newborn Baby Health Care Support Program; 2019. p.336.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internet] Republic of Korea: Postpartum care center. [citen 2020 Feb 4]. Available from https://www.gov.kr/search/svclocMw?lrgAstCd&mdmAstCd&smallAstCd&srhQuery%EC%82%B0%ED%9B%84%EC%A1%B0%EB%A6%AC%EC%9B%90&reQueryFlag&moblAppYN&sort&DVS_ID 

  16. Jung Y, Kwon 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7;11(1):143-158. 

  17. Korean Women's Association. Regional Price Comparison and Usage Survey and Consumer Satisfaction Survey on Postpartum Services; 2016. 

  18. Kwon M, Kim H, Kim N, Jang J.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3):314-321. 

  19. Oh J, Lee H, Kim Y, Min J, Park K. The Effect of Childbirth Education and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delivery-recovery room on Primiparas' Anxiety, Labor Pain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145-156. 

  20. Sohn S.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2):99-107. 

  21. Choi S, Gu H, Ryu E.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17(2). 

  22. EuroQol Group. EuroQol: A New Facility for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16(3):199-208. 

  23. Lee Y, Nam H, Chuang L, Kim K, Yang H, Kwon I,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Health. 2009;12(8):1187-1193. 

  24.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Q-5D Korean valuation study using time trade off method; 2007. 

  25. Jin S, Park D.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and Equit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Utilizatio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27(4):304-314. 

  26. Wagstaff A, Paci P, Joshi H. Causes of Inequality in Health: Who You are? Where you live? or who your parents were? Washington (DC): World Bank; 2001 

  27. Classification of High Risk Pregnancy.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7. 

  28.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lassification of High Risk Pregnancy. [Internet]. Korea; 2016 [cited 2020 June]. Available from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okGmH1GvNxkJ:www.ksog.org/bbs/skin/notice_popup/download.php%3Fcode%3Dnotice%26number%3D5187+&cd2&hlko&ctclnk&glkr 

  2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2015. 

  30. Bang K, Kim Y, Park J. Study on the comparison of emotion between the mothers with low-birth weights and normal infants and the effect of home visiting for the low-birth weight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2;5(1):7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