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산 여성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1, 2017년, pp.143 - 158  

정윤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및 의료경영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s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08-2014 Korean Health Panel.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af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외에 각종 실태조사(전국 출산력 및 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의료패널 등)를 통한 이용자 특성 분석도 산후조리원 이용에 국한된 단편적인 분석 결과였으며, 산후조리원과 산후도우미 서비스 이용을 모두 포함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표성 있는 한국의료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해 산후조리원과 산후도우미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출산 여성의 산후 건강 증진 및 산후관리서비스 이용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료패널이란 어떤 조사인가? 1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의료패널은 국민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과 이에 따른 비용 지출, 재원을 파악하고, 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추이를 관찰함으로써 국가 정책 수립과 수행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시작된 조사이다. 조사 내용에는 의료서비스 이용과 비용에 대한 부분 이외에도 대상자의 인구·사회적 변수, 경제적 변수, 민간보험, 장기요양보험, 건강 관련 변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성 응답자의 출산 경험과 임신·출산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산욕기는 크게 어떻게 구분 되는가? 산욕기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초기단계는 분만 후 6-12시간을 의미하며 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자궁내번증(uterine inversion), 양수색전(amniotic fluid embolism), 자간증(eclampsia) 같은 즉각적인 위험이 나타날 수 있는 시기이다. 두 번째 단계는 일반적으로 산후조리기간이라고 정의하는 산후 2-6주의 시기로 혈행(hemodynamics)과 생식기관의 회복,신진대사 및 감정 상태에 주된 변화가 일어나는시기이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산후 6개월까지도 지속될 수 있는데, 변화가 매우 서서히 나타나며 근육과 연결조직이 출산 이전 상태로 회복되는 단계이다[1].
산욕기란 무엇인가? 분만 후 모체가 임신 전 상태로 회복되기까지의의 기간인 산욕기(puerperium)는 여성의 평생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이다. 산욕기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 Romano, A. Cacciatore, R. Giordano, B.L. Rosa(2010), Postpartum period: three distinct but continuous phases, Journal of Prenatal Medicine, Vol.4(2);22-25. 

  2. T. Cassidy(2006), Birth: The Surprising History of How We Are Born, Grove Press, pp.215-244 

  3. E.K. Yoo(199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women's health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Korean traditional non-professional postpart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5);74-90. 

  4. S.H. Ahn(2005),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1);37-46. 

  5. J.E. Song, B.L. Park(2010),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4);503-514. 

  6. T.H. Kong, J.D. Lim(2011), Recognition on the birth.bring-up of fertile-wo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Vol.5(3);41-52. 

  7. J.R. Nam(2011), A study of satisfaction degre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of 'postpartum caretaker',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Vol.21(2);137-164. 

  8.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4483&page1 

  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5), 2015 National Survey on Childbirth and Family Welfare, pp.188-196. 

  10. http://health.seoul.go.kr/archives/53744 

  11. M.H. Yoo, M.S. Ohem(2007), A study on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social support about the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11(2);131-157. 

  12. The Institute of Democracy(2015), Discussion on improvement of postpartum care service to protect the health of mother and newborn, pp.3-19. 

  13. G.R. Kim(2016), Policy argument and issue for public postpartum care center - beyond the policy discourse to the women's health movemen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7(3);785-804.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6), 2016 The guidance of mother and newborn health care support project, pp.13-70.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2012), In-depth study of medical use using Korean Health Panel survey in 2012, pp.251-290. 

  16. http://www.docdocdoc.co.kr/180117 

  17. J.H. Kim, J.E. Song, J.E. Yoo, Y.M. Lee, M.K. Han, S.Y. Kim, K.S. Hong, Y.J. Lee, J. Oh(2001),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 of the utilization of sanhujoriwon among the postpart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Vol.7(1);56-66. 

  18. Hanyang University.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2013), Development of WISE HHSanhujori Guideline, pp.48-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