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수터 음용도구의 Bacillus cereus 분포 및 독소 특성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nking Cups in Spr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1, 2017년, pp.50 - 56  

조아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하나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허단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순목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수와 약수터 음용도구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평가하여 약수와 음용도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약수터 10곳의 약수와 약수터에 비치되어 있는 음용도구 34건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약수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평균 1.8 log CFU/mL 검출되었고 음용도구의 경우 평균 $4.7log\;CFU/100cm^2$ 검출되었다. 위생지표미생물인 대장균군의 경우 약수는 평균 1.2 log CFU/mL 검출되었고 음용도구는 평균 $1.7log\;CFU/100cm^2$ 검출되었다. B. cereus, S. aureus,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Y. enterocolitica를 실험한 결과 약수와 음용도구에서 Y. enterocolitica 등 6종의 식중독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음용 도구 34건 중 5건 (14.7%) 검출되었다. 약수터 음용도구에서 분리된 B. cereus의 주요 설사독소 유전자는 nheA와 entFM로 나타났다. B. cereus 5균주는 모두 NHE 설사 독소를 생산하였으나 HBL은 2균주에서만 검출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결과 oxacillin 등 ${\beta}-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약수터 음용도구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B. cereus의 독소 유전자 및 독소 단백질 생산능을 분석한 결과 약수터에 비치된 음용도구에 의한 식중독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이 사용하는 약수터 음용도구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며 위생관리가 곤란할 경우 개인 컵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용도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water and drinking cups in springs and to estimate the toxin gene, enterotoxin production ability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foodborne pathogens. Ten spring water and 34 drinking cups were tested. The average n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수와 더불어 약수터 음용도구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평가하여 약수와 음용도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약수와 약수터 음용도구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평가하여 약수와 음용도 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약수터 10곳의 약수와 약수터에 비치되어 있는 음용도구 34건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3)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 4) Different superscripts on the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먹는 물에 대비하여 약수가 가지는 장점은? 약수란 땅속에 스며든 하천 및 호수 등의 지표수에 각종 미네랄, 탄산가스, 산소 등이 용해되어 있는 지하수가 지표로 다시 용출되어진 광천수를 지칭 한다 1) . 약수는 또한 일반 먹는 물에 비해 탄산가스, 산소 용해도가 높고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의 미네랄 함량이 높아 특정 질병에 대한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 이러한 약수의 장점에 따라 약수를 가정 내 먹는 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산책과 등산 등 여가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약수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 .
약수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 등 미생물 항목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그러나 2009년 환경부에서 전국 1,574개의 약수터를 조사한 결과 358개소의 약수가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여 안전성에 문제점을 나타내었으며 부적합의 가장 큰 원인은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 등 미생물 항목이라고 발표했다 7) . 이러한 원인은 지속적인 살균 소독을 거쳐 공급되는 상수도와 달리 빗물, 하천수, 호소수 등 지표수와 야생동 물의 배설물 등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약수의 입지적 조건에 기인하는 것이 한 가지 원인으로 분석되었 으며, 약수터 음용도구 등 주변 환경에 대한 청결유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또 다른 원인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약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빗물, 하천수, 호소수 등 지표수와 야생동물 분변 유입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약수 자체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약수를 음용할 때 사용하는 음용도구를 포함해 약수터 청결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약수란 무엇인가? 약수란 땅속에 스며든 하천 및 호수 등의 지표수에 각종 미네랄, 탄산가스, 산소 등이 용해되어 있는 지하수가 지표로 다시 용출되어진 광천수를 지칭 한다 1) . 약수는 또한 일반 먹는 물에 비해 탄산가스, 산소 용해도가 높고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의 미네랄 함량이 높아 특정 질병에 대한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H.S., Kim I.S., Yun C.J., Park C.K.: A study of the water quality of some natural mineral springs in Busan area.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5), 939-953 (2002). 

  2. Kim J.A., Lee B.O., Kim O.M., Hur M.J., Kim K.T., Ro J.I., Choe C.S., Go J.M., Kim Y.H.: A study on pollution of spring in Incheon area. Korean J. Sanitation. 22(3), 35-50 (2007). 

  3. Agata N., Mori M., Ohta M., Suwan S., Ohtani I., Isobe M.: A novel dodecadepsipeptide, cereulide, isolated from Bacillus cereus vacuole formation in Hep-2 cells. FEMS Microbiol Lett., 121, 31-34 (1994). 

  4. Schoeni J.L., Wong A.C.L.: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and its toxins. J Food Prot., 68, 636-648 (2005). 

  5. Oh M.H., Ham J.S., Cox J.M.: Diversity and toxigenicity among members of the Bacillus cereus group. Int J Food Microbiol., 152, 1-8 (2012). 

  6. Lund T., De Buyser M.L., Granum P.E.: A new cytotoxin from Bacillus cereus that may cause necrotic enteritis. Mol Microbiol., 38, 254-261 (2000). 

  7. Lee Y.G., Park O.H., An S.S., Kim Y.H., Kim J.M., Bae S.J., Paik K.J., Moon Y.W.: Quality of spring water influenced by rainfall in Mudeung mountain.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4(3), 146-157 (2011). 

  8. Song H.B., Kim N.Y., Jeong D.S., Lee Y.J., Jeon H.S., Kim Y.H., Jang U.S., Kim J.E.: Water Quality and influencing factors at Dalbi spring in Daegu.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5(12), 1570-1577 (2003). 

  9. Han H.J., An M.J., Kim J.H.: Characteristics on Yersinia spp. from spring water in Seoul on recent 5 years. J. Fd. Hyg. Safety. 13(4), 412-418 (1998). 

  10. Cheon Y.P., Shin I.H., Ahn K.S., Lee C.S., Jeong Y.J., Choi N.C.: Environmental contamination realitie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groundwater in Kwangju City. J. of Korean Earth Sci. Society. 20(3), 266-276 (1999) 

  11. An S.S., Kang Y.J., Wi H., Kim J.M., Lee Y.G., Park O.H., Park J.T., Paik K.J.: Distribution of mineral contents in potable ground-water of Gwangju city.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2(3), 185-191 (2009).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of Korea, Seoul, Korea. (2016). 

  13. Jeong Y.K., Seong Y.R., Cho K.S., Seong H.K. Kim J.B.: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home toothbrushes and hygiene improvement. J. Korean Acad. Dent. Health, 16(1), 15-17 (1992). 

  14. Kim N.Y., Kim Y.R., Kim M.K., Cho D.W., Kim J.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Microb., 43(3), 193-200 (2007). 

  15. Kim J.B., Jeong H.R., Park Y.B., Kim J.M., Oh D.H.: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h emetic-type of Bacillus cereus in Korea. Foodborne Pathog. Dis., 7(5), 555-563 (2010). 

  16. Kim J.B., Kim J.M., Kim C.H., Seo K.S., Park Y.B., Choi N.J., Oh D.H.: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Korean isolates contain genes encoding diarrheal-related enterotoxins. Int. J. Food. Microbiol., 144(1), 182-186 (2010). 

  17. Lee H., Choi S.M.: Hand washing awareness among students in Seoul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on their hands. J. Env. Hlth. Sci., 35(4), 278-286 (2009). 

  18. Harrigan W.F., McCance M.E.: The examination of food processing plant. In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UK. pp. 231-236 (1976). 

  19.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Park Y.B., Yoon M.H., Lee J.B.: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7(1), 30-36 (2012). 

  20. Kim J.B., Kim N.Y., Kang S.H., Do Y.S., Eom M.N., Yoon M.H., Lee J.B.: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on hand towels using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J. Fd. Hyg. safety, 28(2), 128-145 (2013). 

  21. Kim J.S., Kim J.B.: Prevalence and toxin gene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toothbrush in child care center. J. Fd. Hyg. safety, 30(3), 242-248 (2015). 

  22.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76(1), T25-29 (2011). 

  23. Schoeni J.L., Wong A.C.L.: Heterogeneity observed in the components of haemolysin BL, an enterotoxin produced by Bacillus cereus. Int. J. Food Microbiol., 53(2-3), 159-167 (1999). 

  24. Kim J.B., Park J.S., Kim M.S., Hong S.C., Park J.H., Oh D.H.: Genetic diversity of emetic toxin producing Bacillus cereus Korean strains. Int. J. Food Microbiol., 150(1), 66-72 (2011). 

  25.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 Methods for antimicrobial dilution and disk susceptibility testing of infrequently isolated or fastidious bacteria; approved guideline. Wayne, Pennsylvania: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 pp. 16 (2006). 

  26. Lee K.H., Lyu E.S., Lee K.Y.: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4), 747-759 (2001). 

  27. Dinges M.M., Orwin P.M., Schli evert P.M.: Exotoxins of Staphylococcus aureus. Clin. Microbiol. rev., 13(1), 16-3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