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가공식품 중 Bacillus cereus 분포 현황 및 독소 유전자 특성
Distribution and Toxin Gene Characteristic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Food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3, 2020년, pp.219 - 224  

박소현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권위경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이인숙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김은주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황수정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구희수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나영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김병준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박은희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이미옥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8년 10월에서 2019년 9월까지 부산지역 유통 판매되고 있는 872건의 다양한 식품을 대상으로 B. cereus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총 872건 중 78건(8.9%)에서 B. cereus 검출되었으며 식품별 B. cereus 검출률은 김치·절임·조림·젓갈류에서 23.9%, 조미식품 19.4%, 바로 섭취가능한 농산물 10.5%, 조리식품 7.3%, 즉석섭취식품 5.6%, 신선편의식품 5.0%, 즉석조리식품 0.0% 순으로 분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B. cereus 오염 수준은 불검출에서 최대 20,000 CFU/g로 평균 48 CFU/g였으며, 식품별 B.cereus 오염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78건의 검체에서 분리된 113주의 B. cereus의 독소 유전자 확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식품에서 분리된 113주를 대상으로 B. cereus 독소유전자 확인 결과 최소 1종류에서 최대 5종류의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총 18개 profile로 분류되었다. 장독소 5종(Cytk-nheA-entFM-bceT-hblC)을 모두 보유한 경우가 34주(30.1%)로 가장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and safe food management. We examined 872 food samples for B. cereus in accordance with the MFDS Food Code and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ir harboring toxin genes. We detected and isolated 11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즉석섭취·편의식품, 조미식품, 절임·조림류 등 가공식품과 식품접객업소에서 판매하는 조리식품에서 식중독 원인이 되는 B. cereus의 오염도와 독소 유전자 분포현황을 파악하여 B. cereus에 의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 cereus란? B. cereus는 토양 및 야채, 곡류, 우유 등 식품 원료에서 흔히 발견되는 그람양성균으로 대부분의 식품 가공처리 과정에서도 생존 가능한 포자 형성균이다8). B.
B. cereus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B. cereus는 인체에 설사형 및 구토형의 두 유형의 식중독을 일으킨다9,10). 설사형 식중독은 B.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이 면역력 저하자에게 나타날때의 특징은? cereus에 의한 식중독은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증세가 경미하기 때문에 신고, 보고 건수가 적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이보다 더 많은 식중독의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B. cereus는 균수가 105 CFU/g 이상 되어야 발병하지만 어린이, 노약자 등 면역력이 저하된 고위험군에서는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발병한다고 보고되었다14). 그러나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J.Y., Kwon, K.I., Ha, S.Y., Hong, C.H.,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 in kimbab restaurants. J. Food Hyg. Saf., 20, 232-236 (2005). 

  2.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ood Hyg. Saf., 18, 139-145 (2003). 

  3.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 20, 43-47 (2005).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e-stat/index.do. 

  5. Cartwright, E.J., Jackson, K.A., Johnson, S.D., Graves, L.M., Silk, B.J., Mahon, B.E., Listeriosis outbreaks and associated food vehicles, United States, 1998-2008. Emerg Infect Dis., 19, 1-9 (2013). 

  6.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76, 25-29 (2011). 

  7. Kim, T.S., Kim, M.J., Kang, Y.M.,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toxin profile of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ready-to-ea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334-340 (2014). 

  8. Choi, S.K., Lee, M.S., Lee, K.H., Lim, D.S., Lee, K.H., Kim, C.H., Changes in quality of hamburger and sandwich during storage under simulated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 27-34 (1998). 

  9. Kim, S.J., Jung, J.H., Tahk, H.M., Baek, S.Y., Lee, S.Y., Effect of factors on the sporulation of Bacillus cereus and their thermal resistance. J. Food Hyg. Saf., 24, 256-261 (2009). 

  10. Ankolekar, C., Rahmati, T., Labbe, R.G., Detection of toxigenic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spore in U.S. rice. Int. J. Food Microbiol., 128, 460-466 (2008). 

  11. Anwarul, H., Nicholas, J.R.,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Bangladeshi rice. Int. J. Food Microbiol., 98, 23-24 (2005). 

  12. Valero, M., Hernandez-Herrero L.A., Fernandez, P.S., Salmeron, M.C.,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fresh vegetables and refrigerated minimally processed foods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Int. J. Food Microbiol., 19, 491-499 (2002).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October 31). Food Poisonning Statistics,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14. EFSA.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EFSA J., 75, 1-48 (2005). 

  15. Kim, J.B., Kim, J.M., Cho, S.H., Oh, H.S., Choi, N.J., Oh, D.H., Toxin genes profiles and toxin production a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clinical and food samples. J. Food Sci., 76, 25-29 (2011). 

  16. Kotiranta, A., Lounatmaa, K., Haapasalo, M.,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Bacillus cereus infections. Microbes Infect., 2, 189-198 (2000). 

  17. Drobniewski, F.A., Bacillus cereus and related species. J. Clin. Microbiol., 6, 324-338 (1993). 

  18. Ehling-Schulz, M., Guinebretiere, M.H., Monthan, A., Berge, O., Fricker, M., Svensson, B., Toxin gene profiling of enterotoxin and emetic Bacillus cereus. FEMS Microbiol. Lett., 260, 232-240 (2006).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health, 2019,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waterborne and food poisoning infections, Cheongju, Korea, pp.273-279.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health, 2017, Infection Disease Laboratory Diagnosis: Disease-Specific Protocol, Cheongju, Korea, pp. 45-47.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Food Code, Cheongju, Korea. 

  22. Sung, G.H., Hwang, I.Y., Park, S.H., Park, S.H., Kim, H.J., Lee, J.H., Min, S.K., Study on microbiological safety of simple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599-604 (2017). 

  23.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24. Choi, J.H., Park, J.Y., Lim, E.G., Choi, M.K., Kim, J.S., Choi, G.B., Jeong, S.G., Hahm, Y.S.,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ide dishes sold at traditional market and supermarket in Ulsan. J. Food Hyg. Saf., 27, 87-95 (2012). 

  25. Hwang, I.S., Jang, M.R., Kim, O.H., Lee, S.D., Park, Y.A., Choi, B.C., Lee, K.A., Kim, L.L., Kim, D.K., Jung, A.H., Oh, Y.H., Kim, J.H., Jung, K., Contents of sodium, potassium and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ion of side dishes distributed in Seoul area. J. Food Hyg. Saf., 32, 35-41 (2017). 

  26. Gilbert, R.J., Humphrey, T.J., 1998. Food-borne bacterial gastroenteritis. In : Hausler W. J., Sussman M(eds), Topley and Wilson's Microbiology and microbial infection 9th edn. vol. 3. Bacterial. Hodder Arnond, London, UK. 

  27. Granum, P.E., Lund, 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57, 223-228 (1997). 

  28. Vassileva, M., Torii, K., Oshimoto, M., Okamoto, A., Agata, N., Yamada, K., Hasegawa, T., Ohta, M., A new phylogenetic cluster of cereulide-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J. Clin Microbiol., 45, 1274-1277 (2007). 

  29. Chon, J.W., Kim, J.H., Lee, S.J., Hyeon, J.Y., Song, K.Y., Park, C., Seo, K.H., Prevalence, phenotypic trait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metic toxin-producing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human stools in Korea. J. Appl. Microbiol., 112, 1042-1049 (2012). 

  30. Stenfors Arnesen, L.P., Fagerlund, A., Granum, P.E., From soil to gut: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32, 579-606 (2008). 

  31. Ngamwongsatit, P., Buasri, W., Pianariyanon, P., Pulsrikarn, C., Ohba M., Assavanig, A., Panbangred, W., Broa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hblCDA, nheABC, cytK, and entFM) among Bacillus thuringiensis and Bacillus cereus as shown by novel primers. Int. J. Food Microbiol., 121, 352-35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