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Jusikbangmun (주식방문)」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음식에 대한 고찰
Study on Foods of 「Jusikbangmun」 from National Central Library Possess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1 no.6, 2016년, pp.554 - 572  

최영진 (가톨릭관동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a cookbook published in 1900s titled "Jusikbangmun", one of collections of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long with other cookery books in Joseon Dynasty in the late 1800s to early 1900s. "Jusikbangmun" consists of 51 recipes, including 45 kinds of staple food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 나라의 음식문화가 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식재료를 사용하여 어떠한 식생활을 하는 것인지를 특징 지워주는 것이 음식문화이다. 한 나라의 음식문화에는 그 나라의 역사, 생활과 전통이 서려있다. 이러한 음식문화는 무형의 유산이기에 조상들이 남긴 서적에 기록된 내용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올바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주식방문'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지는 두 가지 책은 무엇인가? 「주식방문」은 180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에 저술된것으로 추정되는 서적으로, 현재 같은 이름으로 전해지는 책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찬자미상의 고문헌이고, 다른 하나는 안동김씨 노가재(老家齋) 김창업(金昌業)가문 소장의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에 기록된 음식은 ‘노가재본’과 유사하나 종류는 절반정만 기록되어 있었다.
'주식방문'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을 특별한 날에 먹는 음식을 기록한 문헌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규합총서」138종,「시의전서」422종,「주식시의」96종,「부인필지」123종,「조선요리제법」 355종에 비해 기록된 음식의 종류가 적은 편이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주식에 일상으로 먹는 밥에 관한 기록이 없고, 당시 쉽게 접할 수 없는 동물성 식품의 조리법이 많은 것으로 보아 평소에 먹는 일상의 음식이라기보다는 특별한 날에 먹는 음식을 기록한 문헌으로 보인다. 이는 충남 대전의 은진 송씨의 전해오는 음식을 기록한 고문헌인「주식시의」가 특별한 날을 위한 충남의 반가 음식으로서 가지는 봉제사와 빈객접대 등 특별한 날의 음식에 대한 기록이라는 음식문화사적인 의미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ong Lee (安東 張氏). 1670 Eumsigdimibang (飮食知味方). In: Han BR, Han BS and Han BJ editor. 2010, Royal Institute of Foods, Seoul, Korea, p 87 

  2. Anonymous. 1680 Eurok (料祿), In: Yoon SJ editor, 2008, Gilsiru, Seoul, Korea, pp 88-195 

  3. Anonymous, The late 1600s, Jubangmun (酒方文). In: Lee HJ, Han BR, Jung GJ, Jung RW, Kim HS, Choi YJ, Yu AR, Kim EM, Won SI, Cha GH editors, 2013, Kyomunsa, Paju, Korea, pp 116-142 

  4. Anonymous, the late 1800s, Juchan (酒饌). In: Yoon SK editor. 1998.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169-253 

  5. Anonymous, the late 1800s. Jusikbangmun (주식방문), Korea 

  6. Anonymous, the late 1800s, Siuijeonseo (是議全書), In: Lee HJ, Han BR, Jung GJ, Jung RW, Kim HS, Choi YJ, Yu AR, Kim EM, Won SI, Cha GH editors, 2010, Sh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167-248 

  7. Baek DH, 2014. Treasure trove of Korean food culture contained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new korean language life (새국어생활). 24(1):32-34 

  8. Bang SY. 1917. Choseonyorijebeop (朝鮮料理製法), In: Lee SW, Collect of Ancient Writings about Foods in Korea (韓國古文獻集成) IV, 1992, Soohaksa, Seoul, Korea, pp 1546-1612 

  9. Cha GH. 2012. Food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Jusiksiui (酒食是儀). J. Korean Soc. Food Cult., 27(6): 553-587 

  10. Cha GH and Yu AR. 2014. Culinary review of Eumsigbangmun. Korean J. Food Cook. Sci., 30(1):92-108 

  11. Chung HK, 2013. A Literature Review of Cooking Method in Jusiksiui compared with 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Korean J. Food Cult., 28(3):234-245 

  12. Cho JH. 1934 Choseonyoribeop (朝鮮料理法), Korea 

  13. Hong MS. 1715 Sanlimkengjea (山林經濟) In: National Culture Promotion editor, 2007, Korean Studies Information, Paju, Korean 

  14. Jeon SE. 1459 Sangayorok (山家要錄) In: Han BR editor, 2007. Royal Institute of Foods, Seoul, Korea, 

  15. Kim SM. Lee SW. 1990.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Lee's Umsikbup'. Korean J. Diet. Cult., 5(2):193-205 

  16. Kim Y. 1540 Suungapbang (需雲雜方) In: Yoon SK editor. 1998. Sinkwang publisher, Seoul, Korea, pp 25-43 

  17. Lee S, Ji MS, Kim HS. 2014. A Study of Cultural Aspects of Kimchi in Banchandeungsok. Korean J. Food Cook. Sci., 30(4):486-497 

  18. Lee SP. 1720 Somumsaseol (聞事說), Korea 

  19. Lee SW, Bae SM. 1991.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Processing Methods of Samhaeju. J. East Asian Soc. Diet. Life, 1(2):115-127 

  20. Park CL. 2015. Contents and Value in Jasonbojeon Choi's Recipe book of Shin-chang Maeng's Family. Korean J. Food Cult. 30(2):137-149 

  21. Park CL. Lee JY. 2015. Review of Dietary Culture through Choi's Receipe in scrapbook of Shin-chang Maeng's Cran. Korean J. Food Cult.. 39(5):552-561 

  22. Park JH, Yeo SH, Jeong ST, Won MH, Choi JH. 2011. Characteristics of Samhaeju Made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riginating from Ancient Docum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6):853-862 

  23. Pingheogak Lee (憑虛閣李氏). 1815, Gyuhabchobgseo (閨閤叢書) In: Jeong YW editor, 1987, Bojinjae, Seoul, Korea, pp 12-111 

  24. Pingheogak Lee (憑虛閣李氏). 1910. Buinpilgi (婦人必知), In: Lee HJ, Han BR, Jung GJ, Jung RW, Kim HS, Choi YJ, Yu AR, Kim EM, Won SI, Cha GH editors, 2004, Gyomunsa, Paju, Korea, pp 133-203 

  25. Seo YG, 1827, Imwonsibyukji (林園十六志) , In: Lee HJ, Cho SH, Jung RW, Cha GH editors, 2007, Gyomunsa, Paju, Korea, pp 336-339 

  26. You JR. 1766. Jeungbosa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7. Yi YG. 1924 Choseonmussangsinsikyorijeibeop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28. Naver Encyclopedia Available from: htpp://krdic.naver.com, [accessed 2016.07.02.] 

  2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 [accessed 2016.07.15.] 

  30.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kocis.go.kr, [accessed 2016.06.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