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급식 영양정보 표시에 대한 태도 및 이용동기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ivations and Attitudes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on College Students' Use Intentions of Menu Labeling at University Dining Servic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1, 2017년, pp.94 - 105  

함선옥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신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라이프텍연구원(급식외식경영연구실)) ,  정윤희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신혜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미영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enu labeling initiative is a lawful regulation with an aim to promote public health by providing customers the right to make informed menu choices. As college years are a critical period in which students form dietary habits, which are sustained throughout their lives, provision of nutritional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급식의 영양정보 표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용 현황 및 태도, 이용동기, 이용 의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샘플은 대학급식소에서 영양정보 표시를 제공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84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유효 응답률 80.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급식에서 제공되는 영양정보 표시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와 이용의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고,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급식 영양정보 표시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 이 시기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은 중ㆍ장년기의 만성질환 예방 차원에서 의미가 있으며, 건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해당 메뉴의 영양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식생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대학급식의 영양정보 표시에 대한 태도,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에 대해 조사하고,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및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 원인은 무엇인가? 경제상황 및 사회적 변화에 따른 외식의 증가는 비만 및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에너지 섭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지방의 기여율은 1998년(17.9%) 대비 2014년 21.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지방의 기여율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경제상황 및 사회적 변화에 따른 외식의 증가는 비만 및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에너지 섭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지방의 기여율은 1998년(17.9%) 대비 2014년 21.4%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비만 유병률은 1998년부터 증가하여 2014년 기준 남자는 37.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만 유병률은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비만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4%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비만 유병률은 1998년부터 증가하여 2014년 기준 남자는 37.5%, 여자는 23.3%를 보이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성인 및 어린이에게서 증가하고 있는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질환 및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강문제의 중요한 원인으로 대두되었으며(Kwon 등 201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음식환경’을 바꾸는 것에 중점을 둔 방안들이 제시되었다(Elbel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MS, Chang IY, Kim KH (2007): Comparisons of UCP2 polymorphism,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dex in normal and obes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Diet Culture 22(4):404-413 

  2.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 Behav Hum Decis Process 50(2):179-211 

  3.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9): Advocacy position on menu labeling. Available from: http://www.americanheart.org/presenter. jhtml?identifier463. Accessed December 30, 2016 

  4. Cason KL, Wenrich TR (2002): Health and nutrition beliefs, attitudes, and practices of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a needs assessment. Top Clin Nutr 17(3):52-70 

  5.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589-1598 

  6. Chung YS, Yang IS, Ham S (2015): Customer' perceptions of motivators, barriers, and expansion of menu labeling in restaurants. Korean J Food Culture 30(2):190-196 

  7. Conklin MT, Cranage DA, Lambert CU (2005): College students' use of point of selection nutrition information. Top Clin Nutr 20(2):97-108 

  8. Dumanovsky T, Huang CY, Nonas CA, Matte TD, Bassett MT, Silver LD (2011): Changes in energy content of lunchtime purchases from fast food restaurants after introduction of calorie labelling: cross-sectional customer surveys. BMJ 343:d4464 

  9. Eckel PJ (1985): College &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ment standards, 6, westport. The L.J. Minor Foodservice Standard Series, 6(4-7). AVI Publishing Company. Westport 

  10. Elbel B, Mijanovich T, Dixon LB, Abrams C, Weitzman B, Kersh R, Auchincloss AH, Ogedegbe G (2013): Calorie labeling, fast food purchasing and restaurant visits. Obesity (Silver Spring) 21(11):2172-2179 

  11. Feldman C, Harwell H, Brusca J (2013): Using student opinion and design inputs to develop an informed university food service menu. Appetite 69(1):80-88 

  12. Fernandes AC, de Oliveira RC, Rodrigues VM, Fiates GM, da Costa Proenca RP (2015):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calories, food healthiness, and the importance of calorie information in menu labelling. Appetite 91(1):173-178 

  13. Greaney ML, Less FD, White AA, Dayton SF, Riebe D, Blissmer B, Shoff S, Walsh JR, Greene GW (2009): College students' barriers and enablers for healthful weight management: a qualitative study. J Nutr Educ Behav 41(4):281-286 

  14. Ham S, Jeong J, Kim SJ (2015):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at university dining services. J Korean Soc Food Cult 30(4):432-438 

  15. Ham S, Jeong JY, Kim YS (2016):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attitudes, behavioral intention and health-consciousness toward menu labeling in restaurants. J Tour Lei Res 28(1):365-384 

  16. Han MJ (1992):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opinions on school cafeteria in Seoul area. J Korean Soc Diet Culture 7(2):113-118 

  17. Jeong JY, Ham S (2016):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enu labels in restaurants. J Tour Lei Res 28(9):519-538 

  18. Kim BR (2006):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1215-1223 

  19. Kim E, Ham S, Yang IS, Choi JG (2013): The roles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to read menu labels in the restaurant industry. Int J Hosp Manag 35:203-213 

  20. Kim KY, Nam MJ, Nam BR, Ryu HJ, Heo RW, Shim WB, Chung DH (2010):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to secure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J Food Hyg Safety 25(1):49-58 

  21. Kim SJ, Cho MH (2014): Survey study: how customer attributes and menu selection criteria are related to customer support for menu labeling. Korean J Food Culture 29(3):231-239 

  22. Kolodinsky J, Harvey-Berino JR, Berlin L, Johnson RK, Reynolds TW (2007): Knowledge of current dietary guidelines and food choice by college students: better eaters have higher knowledge of dietary guidance. J Am Diet Assoc 107(8):1409-1413 

  23. Krieger JW, Chan NL, Saelens BE, Ta ML, Solet D, Fleming DW (2013): Menu labeling regulations and calories purchased at chain restaurants. Am J Prev Med 44(6):595-604 

  24. Kwon KI, Yoon SW, Kim SJ, Kang H, Kim HN, Kim JY, Kim SY, Kim K, Lee JH, Jung SM, Oc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s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2):181-188 

  25. Lee D, Lee JC, Kim MH (2013): Effect of menu calorie labels on menu sales and consumer's recognition at a Korean restaurant in a hotel. Korean J Community Nutr 18(5):505-514 

  26. Lee MS, Woo MK (2003): Differences in the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and quality of diet in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8(1):33-40 

  27. Marietta AB, Welshimer KJ, Anderson SL (1999):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1990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act food labels. J Am Diet Assoc 99(4):445-449 

  28. Martinez OD, Roberto CA, Kim JH, Schwartz MB, Brownell KD (2012): A 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 perceptions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labels in a university dining hall. Health Educ J 72(3):319-325 

  29. Mathieson K (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planned behavior. Inf Syst Res 2(3):173-191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Now the franchise restaurant company also voluntarily participate in reducing sodiu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32. Misra R (2007): Knowledge, attitudes, and label use among college students. J Am Diet Assoc 107(12):2130-2134 

  33. Park SJ, Kim JA, Lee SY (2004): A study on attitude a nd satisfaction of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foodservic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4(1):83-91 

  34. Satia JA, Kristal AR, Curry S, Trudeau E (2001): Motivations for healthful dietary change. Public Health Nutr 4(5):953-959 

  35. Steim RI, Nemeroff CJ (1995): Moral overtones of food: judgments of others based on what they eat. Personality Soc Psychol Bull 21(5):480-490 

  3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Disclosure of nutrient content information for standard menu items offered for sale at chain restaurants or similar retail food establishments and for articles of food sold from vending machin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37. You SY (2014): Perception of being overweight and obese and the use of information on food away from hom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5(2):175-1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