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급 규모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 Self-Efficacy, Science Self-concep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Class Scale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9 no.1 = no.85, 2017년, pp.209 - 223  

민세연 (봉학초등학교) ,  유병길 (부산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cience self-efficacy, science self-concept and scientific attitude according to the class size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ience self-efficacy ac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급 규모를 대규모학급, 중규모학급, 소규모학급으로 구분하여 대상을 표집한 뒤, 학급 규모에 따라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앞으로의 학급규모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주고 그에 적합한 교육 여건의 조성 및 교수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급 규모에 따른 과학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와의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학급에 재학하는 학생 수를 기준으로 30명 이상을 대규모학급, 22~24명 이하를 중규모학급, 17명 이하를 소규모학급으로 분류하여 연구대상을 표집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급 규모를 대규모학급, 중규모학급, 소규모학급으로 구분하여 대상을 표집한 뒤, 학급 규모에 따라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앞으로의 학급규모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주고 그에 적합한 교육 여건의 조성 및 교수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급 규모가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또한, 학급 규모와 관련하여 과학교육에 도움을 주고 초등과학교육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급 규모가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고 과학적 태도를 설문지를 통해 응답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표집 대상을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학급 규모가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또한, 학급 규모와 관련하여 과학교육에 도움을 주고 초등과학교육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급 규모가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 자아개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분석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에게 학급은 무엇인가? 또한 학생들에게 학급이란 단순히 학교 교육에서의 기본적인 활동의 단위조직일 뿐만 아니라(Kim, 1992), 교사·또래 학생들과 함께 상호작용하며 함께 학습하고 활동해나가는 작은 사회이다(Seo et al. , 1974).
학급규모란 무엇인가? 학급규모란 학교 교육 여건의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로서 국가의 교사인력 규모를 결정짓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우수한 교사양성,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개설 등과 함께 교수·학습 활동 효과의 극대화에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5).
학급규모의 두 가지 관점은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학급규모란 두 가지의 관점으로 정의된다. 학급에 배정된 학생 수(Murphy, 1975; Cho, 2001)나 교사의 감독 하에 있는 교수단위 및 학급에 등록된 학생 수(Torsten & Postlethwaite, 1985; Cho, 2001)가 첫 번째 관점이며, 교사 수에 대한 아동 수의 비율로 정의(Glass & Smith, 1978)하는 것이 두 번째 관점이다. 후자의 경우를 들자면 학교에는 보건 교사, 영양 교사와 같이 학급의 담임교사가 아닌 교사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는 학교의 전체 학생 수에서의 전체 교사와의 비율을 통계적으로 산출한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derson W. W.(1975). The Effect of and Interdisciplinary Course in Futuristic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Student: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2. Baek, Sung-Jun & Hwang, In-Sung(1997). The optimization of school and class size and Financial countermeasure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3.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4. Cho, Hyun-Jin(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Academic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Class Size-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in Eup and Myeon Region of Gyeongsangnamdo.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Cho, Ji-Eun(2002).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he attributional pattern of the achievement and the academic self-concept among underachieved, normal achieved, and overachieved children. Chu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Cho, Kyu-Young(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cience Self-Efficacy in Secondary Schoo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7. Chung, Dong-Sool(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ize and School Achievement. Chonnam University. 

  8. Gardner, P. L.(1975). Attitudes to science: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 1-41. 

  9. Huh, Jae-Ho(2014). The Effect of Science Class that emphasized on the Five Senses Scientific Attitude and Inquiry Ability.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Hwang, Jung-Won(2016). The Conditions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1. James, W.(1890). The Principle of Psychology. New York: Henry Holt & Co. 

  12. Jang, In-Sil & Kim, Jong-Baek(2003).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 of Class Size Stud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13. Jun, Sung-Gon(2007). The Influence of Physics Class with Toys on High School Girls's Scientific Attitude and their Accomplish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Jung, Eun-Ju(2005). The effect of High Grade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on School Adjustment. Keimyung University. 

  15. Jung, Kyung-Ah(2003). A study on the predictive and mediational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a mod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Yonsei University. 

  16. Kang, Ho-Kam(2002). A Study on Proper Class Size of Elementry, Middle and High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17. Kang, Hong-Sook(2001). The influence of sexes and scholastic self-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s of their fathers, and parents' ways of bringing up their children of scholastic achievements of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18. Kim, Ah-Yeong & Park, In-Yeong(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9. Kim, Chan-Jong.Chae, Dong-Hyeon & Im, Chae-Seong(1999). Introduction to theory of science education. Bookshill. 

  20. Kim, Hae-Chung(1988). The relations of class size, classroom climate and self-concept of students. Korea University. 

  21. Kim, Hyo-Nam.Chung, Wan-Ho.Jeong, Jin-Woo. Yang, Il-Ho & Kim, Young-Shin(1998). A Longitudinal Trend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2), 194-203. 

  22. Kim, Jung-Hyoung(199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assroom Climate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Terms of the Elementry School Class Siz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3. Kim, Ki-Jung(1984). The Changes and Determinants of Three Measures of Self-concept, the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31. 

  24. Kim, Young-Chul.Park, Young-Suk.Park, Hyo-Jung & Han, Yoo-Gyeong(2001). The Educational Effects of Class Size in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5. Kong, Eun-Bae.Han, Man-Kil & Lee, Hye-Young(1984). Optimum size of school and clas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6. Koo, Seong-Suk(1990). Influences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nxiety-state on academic achievement. Hongik University. 

  2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2015). 2015 the Collection of Korean Educational Statics Analysis-Korean Educational Statics o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88-91. 

  28. Kwak, Ei-Rang(2013).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Inteligenc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Concep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9. Kwon, Ki-Uk(1991). Effects of class size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students. Korea University. 

  30. Lee, Seung-Mi(2002). The Effects of the Over-Crowded Classes on the Teachers and Students' Life in the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03, 15(2). 79-104 

  31. Lew, Hou-Hyun(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Hongik University. 

  32. Lim, Hyun-Ja(2014). Influence that reading program to apply scientist story affects the science self-efficacy sense and scie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Women's University. 

  33.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2015). Education Curriculum Manual of Science. 

  34. Oak, In-Seun(2006). The Effect of Laboratory Teach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nd Correction of Misconception of Experimental clas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5. Purkey, W.W.(1970).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36. Seo, Myeong-Woon.Park, Jun-Hee.Baek, Hyeon-Gi.Seong, Nae-Un & Ham, Jong-Kyu(1974). Unabridged Dictionary of Education. Seoul: KYOYOOKBOOK. 

  37. Shim, Yeon-Heum(2011). Impact of Classroom Climat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Attitud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wandong University. 

  38. Shin, Dong-Yoon(2016). Korean Students, low interest and confidence about math and science, but very high score in world. Heraldcorp. 2016-11-29.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61129000953. 

  39. Song, In-Seop(1998). Reasearch for Self-concept of Human. Seoul: Hakjisa. 

  40. Tark, Min-Ah(2011).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ce Self-Efficacy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