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Elementary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by Grade and Gender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3, 2017년, pp.351 - 364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3-6학년 초등학교 학생 495명이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 원천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다. 대리적 경험과 생리적 상태에 대한 점수가 3-4학년이 5-6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창의적 성향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창의적 성향 중 동기와 모험심은 3-4학년이 5-6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들 중에서는 생리적 상태 점수가 가장 높고, 언어적 설득 점수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선생님이나 부모님, 친구들의 칭찬과 격려가 충분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공에 대한 경험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로 자기효능감 원천 중에 언어적 설득의 설명력이 높았고, 세 번째로는 창의적 성향 중 인내가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과학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이 학년과 성별에 따라서 약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science self-efficacy,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by grade and gender. For this study, 495 $3^{rd}-6^{th}$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and gender in s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년은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과학 학습 및 과제 수행과 관련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이전의 관련 경험 이외에도 다양한 행동적, 심리학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구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창의적 성향을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 및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과학적 자기효능감 원천의 4영역은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가지게 되는 서로 다른 원천들이며 이들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구성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들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반복측정 분석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자기 효눙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 사이의 관계를 학년과 성별을 고려하여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과학적 자기효능감 및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2. 창의적 성향의 하위 요인의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이 형성되는 원천은?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성공의 경험(mastery experiences), 대리적 경험(vicarious experiences), 언어적 설득(social persuasion), 생리적 상태(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 등 4가지 원천(sources)에 의해 형성된다(Bandura, 1977). 즉, 자신이 성공했던 경험, 교사나 자신과 비슷하다고 여기는 친구의 성공을 통한 대리 경험, 학습과 과제 수행의 결과나 과정에 대한 주위 사람들의 칭찬과 격려, 그리고 학습에 대한 정서적인 안정감 등이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원천이 된다.
창의적 성향은 무엇인가? 그런데 창의적 성향은 창의성 자체와는 다른 것으로,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관심, 흥미, 창의적인 태도에서 나타나는 창의적인 성격 특성(creative personality)을 의미한다. 창의적 성향은 창의적 사고의 과정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인내심, 동기, 호기심, 모험심, 자신감 등의 성격 특성으로 정의된다(Shin, 2010).
실험결과로 알 수 있는 언어적 설득 부분에서 필요한 것은? 즉, 다른 원천들에 비하여 언어적으로 자신의 과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격려를 받는 것이 적다는 것인데, 이 언어적 설득이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2번째의 주된 요인인 것이다. 이는 타인에 의하여 격려를 받는 것이 전반적으로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의미는 매우 중요함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 부모, 동료 친구들의 칭찬과 독려가 더 강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Freeman. 

  4. Bandura, A., & Schunk, D.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86-598. 

  5. Britner, S. L. & Pajares, F. (2001).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race, and gender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Woma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7, 271-285. 

  6. Britner. S. L. & Pajares. F. (2006).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5), 485-499. 

  7. Gungor, F., Kurt, H., & Ekici, G.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self-efficacy perceptions of student teache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 802-807. 

  8. Jeong, J.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9. Jeong, S. (2015). An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 of creative tendency and creative though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 medium of creative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10. Joo, Y., Chung, Y., & Lee, Y.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6), 876-886. 

  11. Jung, 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E., Chung, O. & Chung, S. (2007).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sex and ag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2), 23-47. 

  13. Kim, J., Hur, N., & Lee, J. (2011).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rojec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2(2), 49-78. 

  14. Kim, M. & Choi, K. (2014). An analysis on the sources of scientific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6), 193-209. 

  15. Lee, H.-D. & Lee, H.-N.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on science self-efficac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 24-33. 

  16. Lee, Y. & Bae, J. (2000).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3(2), 5-29. 

  17. Lim, J. & Kwon, C. (2013).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 and self-efficacy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2), 203-216. 

  18.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 Reviews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19. Pajares, F., & Miller, D. (1994).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193-203. 

  20.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21. Shin, M.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2. Usher, E. L., & Pajares, F. (2009). Sources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A validation stud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4(1), 89-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