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한방진료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의 스트레스 양상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Infertility Stress of Female Participating in Korean Medicine Pilot Program for Subfertility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1, 2017년, pp.56 - 67  

안인숙 (동의의료원 한방부인과) ,  김동일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infertility women's experience in psychological stress and to suggest effective infertility stress management methods. Methods: Twenty five infertility women who participate in Korean Medicine Pilot Project for Infertility completed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 7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에서 실시한 난임 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불임 스트레스 척도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여 불임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한방 난임치료 과정 중의 심리적 지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2011년 7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에서 실시한 난임 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한 불임 스트레스 설문 조사와 스트레스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관련 논문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한방 불임치료를 받는 여성들의 불임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한방 불임 진료 과정에서의 바람직한 심리적 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2011년 7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에서 실시한 난임 시범사업에 참가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한 불임 스트레스 설문 조사와 스트레스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관련 논문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한방 불임치료를 받는 여성들의 불임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한방 불임 진료 과정에서의 바람직한 심리적 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임 스트레스란? 불임 스트레스는 불임 문제, 즉 수태 능력과 관련된 문제로부터 개인 내부에 일어나는 불균형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4). 불임이라는 사건은 그 자체만으로 스트레스 인자가 되며, 불임을 해결하고 대처하려는 시도인 불임 치료 또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6).
불임은 점차 증가되는 최근 사회적 원인은? 최근 사회적 경향에 따른 만혼과 잦은유산, 호르몬 균형을 저해하는 장기간의 피임방법 사용의 증가,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환경오염 증가 등의 원인으로 불임은 점차 증가되고 있다1). 2015년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
진료 의사는 개인의 불임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개별적,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적절한 환자-의사 관계의 형성과 스트레스 중재는 불임 환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자기존중감을 고양하여 불임 치료의 순응도를 높이는 관건이 될 수 있다24,25)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wang NM. Evaluation of the N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Infertility Coupl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35-6. 

  2. Schneider MG, Forthofer MS. Associations of psychosocial factors with the stress of infertility treatment. Health Soc Work. 2005;30(3):183-91. 

  3. Kim RH, et al.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in Korea. Korean J Obstet Gynecology. 2011;54(10):611-7. 

  4. Kim SH, Park YJ, Jang S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fertility Stress Scale.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5;25(1):141-55. 

  5. Han SY, et al.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on coping. The Korean J Health Psycho. 2001;6(2):123-43. 

  6. Sbaragli C, et al. Infertility and psychiatric morbidity. Fertil Steril. 2008;90(6):2107-11. 

  7. Verhaak CM, et al. Women's emotional adjustment to IVF: a systematic review of 25 years of research. Hum Reprod Update. 2007;13(1):27-36. 

  8. Domar AD, Zuttermeister PC, Friedman R.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a comparison with patients with other medical conditions. J Psychosom Obstet Gynaecol. 1993;14:45-52. 

  9. Slade P,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isclosure patterns, support and distress in newattendees at an infertility clinic. Hum Reprod. 2007;22(8):2309-17. 

  10. Wichman CL, et al. Comparison of multiple psychological distress measures between men and women preparing for in vitro fertilization. Fertil Steril. 2011;95(2):717-21. 

  11. Ebbesen SM, et al. Stressful life events are associated with a poor in-vitro fertilization(IVF) outcome: a prospective study. Hum Reprod. 2009;24:2173-82. 

  12. Lancastle D, Boivin J. Dispositional optimism, trait anxiety, and coping: unique or shared effects on biological response to fertility treatment? Health Psychol. 2005;24:171-8. 

  13. Blenner JL. Passage through infertility treatment: a stage theory. Image J Nurs Sch. 1990;22(3):153-8. 

  14. Pasch LA,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 Fertil and Steril. 2012;98(2):459-64. 

  15. Verhaak CM, et al.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on emotional adjustment before, during and after consecutive fertility treatment cycles. Hum Reprod. 2005;20(8):2253-60. 

  16. Park YJ. The stress of the infertile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5;1(2):244-59. 

  17. Domar AD, et al. The prevalence and predictability of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Fertil Steril. 1992;58(6):1158-63. 

  18. Berg BJ, Wilson JF. Psychological functioning across stages of treatment for infertility. J Behav Med. 1991;14(1):11-26. 

  19. Gourounti K, et al. Perception of control, coping and psychological stress of infertile women undergoing IVF. Reprod Biomed Online. 2012;24(6):670-9. 

  20. Dhaliwal LK, et al. Psychological aspects of infertility due to various causes-prospective study. Int J Fertil Womens Med. 2004;49(1):44-8. 

  21. Broeck U, et al. Predictor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starting IVF treatment: infertilityspecific versus gener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um Reprod. 2010;25(6):1471-80. 

  22. Martins MV, et 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women's infertility-related stress. Hum Reprod. 2011;26(8):2113-21. 

  23. Newton C, Sherrard W, Glavac I.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measuring perceived infertility related stress. Fertil Steril. 1999;72(1):54-62. 

  24. Domar AD, et al. A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the reasons why insured United States patients drop out of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Fertil Steril. 2010;94:1457-9. 

  25. Eisenberg ML, et al. Predictors of not pursuing infertility treatment after an infertility diagnosis: examination of a prospective U.S. cohort. Fertil Steril. 2010;94(6):2369-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