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에서의 보건의료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인식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9 no.1, 2017년, pp.10 - 17  

김소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dentifi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s an important component in primary health care in the 1980s,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ors have continued to debate factors for implementing effective IPE in the classroom. Although IPE research is widesprea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의학교육이나 교육과 관련된 경험이 있는 교수진들을 대상으로 의과대학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보건의료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럽지역 전문직간 교육 네트워크를 결성한 목적은? 캐나다의 경우 1960년 중반부터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이미 전문 직종전 문가 간 교육에 대한 장점을 탐구하면서 캐나다 처음으로 보건훈련 대학(College of Health Discipline at UBC)이 설치되고 보건의료분야 전공 학생들에게 전문직 간 보건교육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6]. 유럽의 경우 보건의료 관련 종사자들과 여러 기관들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효과적인 전문직 간 교육과정, 교육방법, 관련 자료 등을 공유하고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에 핀란드, 그리스, 스웨덴, 영국 등 6개 나라가 유럽지역 전문직간 교육 네트워크 (Europe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Network, EIPEN)를 결성 하였다[7]. EIPEN은 몇 차례 워크숍을 통해 보건의료 전문직의 성격과 협업에 대하여 이해하고, 몇 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직 간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구(needs) 등을 분석해 오고 있다.
전문직 간 교육이란 무엇인가? 국제적으로는 이미 의료분야 직종의 전문가들이 함께 일하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일차 보건 의료의 중요한 요소로서 보건의료 전문직종의 전문직 간 교육 (interprofessional education)이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다[1]. 전문직 간 교육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가들이 서로 함께 서로에게서 서로에 대해 배워 협력을 증진시키고 진료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정의된다[2-5].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에서는 다전문가교육(multiprofessioanl education)과 전문직간 교육은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면서 다전문가교육을 ‘다른 교육 배경을 가진 보건 관련 직업의 학습자들이 건강증진, 예방, 치료, 재활, 그리고 그 외 기타 보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협력한다는 중요한 목표를 위해 서로 상호작용하며 특정 기간 함께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정의내린다[1].
영국의 전문직간 교육 발전센터는 다전문가교육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그러나 영국의 ‘전문직간 교육 발전센터’(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는 이 두 개념을 구분하고 있다. 다전문가교육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직업인이 나란히 앉아 학습하는 것’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즉 전문직 간 교육보다는 더 넓은 범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학습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Learning together to work together for health: report of a WHO Study Group on Multiprofessional Education of Health Personnel: the team approach.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1988;769:1-72. 

  2. Barr H.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Dent JA, Harden R, editors. A practical guide for medical teachers. 2nd ed. Edinburgh: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005. p. 203-16. 

  3. Centre for Advancement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 definition [Internet]. Fareham: Centre for Advancement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2002 [cited 2007 Apr 5]. Available from: http://www.caipe.org.uk/. 

  4.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for action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collaborative practi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5. Howkins E. Perspectives of inteprofessional learning and teaching. In: Howkins E, Bray J, Barr H, editors. Preparing for interprofessional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Oxford: Radcliffe; 2008. p. 1-12. 

  6.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New collaborations to improve health care in our communities: annual report [Internet]. Vancouver (BC):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6 [cited 2017 Jan 15]. Available from: http://heatherkent.com/samples/CHD2006AnnualReport.pdf. 

  7. Liaskos J, Frigas A, Antypas K, Zikos D, Diomidous M, Mantas J. Promo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health sector within the Europe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Network. Int J Med Inform. 2009;78 Suppl 1:S43-7. 

  8. Im SJ, Lee SY, Yun Y, Hong JW, Shin SW. Effect of PBL program for cooperative practice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16;30(3);137-41. 

  9. Kwon HS. Gumi University, 3rd rehabilitati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net]. Seoul: Gukjenews; 2016 [cited 2017 Jan 15]. Available from: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102903157428995. 

  10. Cheon JY. Gwangju Health University,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net]. Seoul: Daily UNN; 2017 [cited 2017 Jan 15]. Available from: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8117. 

  11. Tunstall-Pedoe S, Rink E, Hilton S. Student attitudes to undergradu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J Interprof Care. 2003;17(2):161-72 

  12. Cooper H, Spencer-Dawe E, McLean E. Beginning the process of teamwork: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vention for first year undergraduate students. J Interprof Care. 2005;19(5):492-508. 

  13. Rudland JR, Mires GJ. Characteristics of doctors and nurses as perceived by students entering medical school: implications for shared teaching. Med Educ. 2005;39(5):448-55. 

  14. Leaviss J. Exploring the perceived effect of an undergraduate multiprofessional educational intervention. Med Educ. 2000;34(6):483-6. 

  15. Herzberg J. Tribes or teams?: the challenge of multiprofessional education. Hosp Med. 1999;60(7):516-8. 

  16. Hoffman SJ, Harnish D. The merit of mandatory interprofessional education for pre-health professional students. Med Teach. 2007;29(8): e235-42. 

  17. Reeves S, Zwarenstein M, Goldman J, Barr H, Freeth D, Hammick M, et al. Interprofessional education: effects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health care outcome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1): CD002213. 

  18. Horsburgh M, Lamdin R, Williamson E. Multiprofessional learning: the attitudes of medical, nursing and pharmacy students to shared learning. Med Educ. 2001;35(9):876-83. 

  19.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Core competencies for interpre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report of an expert panel [Internet]. [place unknow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2011 [cited 2017 Jan 15]. Available from: https://ipecollaborative.org/uploads/IPEC-Core-Competencies.pdf. 

  20. Parsell G, Bligh J.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readiness of health care student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RIPLS). Med Educ. 1999;33(2):95-100. 

  21. Curran V, Heath O, Adey T, Callahan T, Craig D, Hearn T, et al. An approach to integra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collaborative mental health care. Acad Psychiatry. 2012;36(2):91-5. 

  22. D'Amour D, Oandasan I. Interprofessionality as the field of interprofessional practice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 emerging concept. J Interprof Care. 2005;19 Suppl 1:8-20. 

  23. Yoon BJ, Lee JH. A review study on interprofessional college education in health care sector.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2010;11(1):149-58. 

  24. Leaviss J. Exploring the perceived effect of an undergraduate multiprofessional education intervention. Med Educ. 2000;34(6):483-6. 

  25. Horder J. The centre for the advancemen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Educ Health. 1996;9(3):397-400. 

  26. Pirrie A, Wilson V, Harden RM, Elsegood J. AMEE guide no. 12: multiprofessional education: part 2-promoting cohesive practice in health care. Med Teach. 1998;20(5):409-16. 

  27. Harden RM. AMEE guide no. 12: multiprofessional education: part 1-effective multiprofessional education. Med Teach. 1998;20(5):40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