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3, 2017년, pp.199 - 211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en show higher level of perceiving open marriage, sex-rol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than that of women. Second, the effects of men's perception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and the acceptance of extra-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혼외 관계란? | 통상적인 ‘혼외 관계’에 대한 개념은 “혼인한 사람이 배우자 아닌 다른 사람과 성관계를 갖는 것”이다[15]. 혼외관계(extra-marital relationship)에 대한 개념은 학자들 간에도 그 내용 및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 | |
헌법재판소가 간통죄를 폐지한 배경의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 헌법재판소는 간통죄(형법241조)에 대한 다섯 차례의 판결을 통해서, 마침내 위헌을 선고하게 되었다[1]. 간통죄 폐지는 이미 오래 전부터 세계적인 추세이기 하지만[2], 헌법재판소가 간통죄를 폐지한 배경에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가 가장 결정적 이유가 되었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남녀가 평등한 관계에서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성적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이 부각된 간통죄 폐지배경에 대해서 여전히 논란의 소지는 남아있다[3]. | |
남녀에게 차별적으로 적용되던 이중 성윤리는 무엇이 있는가? | 함인희는 남녀에게 차별적으로 적용되던 이중 성윤리를 받아들이던 인식이 최근 들어 현저하게 약화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4]. 비록 여성에게 배타적으로 강조되는 순결이데올로기는 아직도 존재하고 있지만,196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성개방화 물결은 우리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 비해, 남성 뿐 만 아니라,여성들도 보다 적극적으로 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생긴 것이다. |
헌법재판소 2015. 02. 26. 2011헌가31 등 공보 221호.
박찬걸, "간통죄 폐지의 정당성에 관한 고찰," 경의법학, 제45권, 제2호, pp.41-69, 2010.
권혁남, "연구논문: 간통죄 폐지와 성적 자기결정권의 문제," 인문사회21, 제6권, 제3호, pp.223-239, 2015.
함인희, "한국가족 내 부부간 성관계에 투영된 젠더 격차(Gender Gap)," 여성학논집, 제29권, pp.175-210, 2012.
공미혜, "혼외관계를 경험한 기혼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과 행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2호, pp.1-20, 2002.
이동원, 김현주, 최선희, 함인희, 김선영, 한국가족의 현주소, 서울: 학지사, 2002
E. Berscheid and B. Campbell, "The changing longevity of heterosexual close relationships," In M. J. Lerner, et al.(Eds.) The justice motive in social behavior, pp.209-234, Springer US, 1981.
L. Richardson, The new other woman, New York, 1985.
D. L. Weis and M. Slosnerick, "Attitudes toward sexual and nonsexual extramarital involvements among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No.2, pp.349-358, 1981.
이영숙, 박경란, 전귀연, 혼외관계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0.
N. O'Neil and G. O'Neil, "Marriage: A contemporary Model," In B. J Sadock, et al.(Eds.), The sexual experience. Baltiore: Williams & Wikins, 1976.
G. O'Neil and N. O'Neil, Open Marriage: A new life style for couples, New York: M. Evans, 197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간통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천주현, 성별에 따른 혼외성관계 허용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구명숙, "기혼여성의 혼외관계의 경험과 성적 주체성," 여성연구논집, 제13권, pp.187-189, 2002.
김예숙, 외도, 결혼제도의그림자인가, 형성사, 1995.
남은주, 남녀의 외도원인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전요섭, "자유기고논문: 중년기 외도의 심리분석과 목회상담적 지원," 한국개혁신학, 제12권, pp.339-366, 2002.
W. F. Harley, His needs, her needs: Building an affair-proof marriage, Revell, 2011.
M. C. Green and J. Sabini,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jealousy: emotional responses to infidelity in a national sample," Emotion, Vol.6, No.2, pp.330-334, 2006.
황재원, 허태균, 한성열, "질투심의 성차: 진화론적 가설에 대한 사회인지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9권, 제2호, pp.25-38, 2004.
신성자, "혼전 성행위 경험과 성행위 결정양상 및 제 관련요인에 대한 성별 비교연구," 지역정신보건 제9권, pp.177-199, 2006.
B. Thorne and M. Yalom, Rethinking the Family, 페미니즘 가족론, 권오주 외 옮김,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0.
장필화, "결혼제도와 성," 한국여성학, 제13권, 제2호, pp.41-76, 1997.
S. Hite, Women as revolutionary agents of change: The Hite reports and beyon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4.
J. Weeks, Sexuality and its discontents: Meanings, myths, and modern sexualities, Routledge, 1985.
J. S. Hyde and M. C. Linn, The psychology of gender: Advances through meta-analysis, Johns Hopkins Univ Pr, 1986.
변주혜, 부부의 性연구: 외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T. W. Smith, "Attitudes toward sexual permissiveness: Trends, correlates, and behavioral connections," (Ed.) in Sexuality across the life course, pp.63-97, 1994.
A. Greeley, "Marital infidelity," Society, Vol.31, No.4, pp.9-13, 1994.
J. Treas and D. Giesen, "Sexual infidelity among married and cohabiting America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2, No.1, pp.48-60, 2000.
C. Liu, "A theory of marital sexual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2, No.2, pp.363-374, 2000.
L. Atwater, "Getting involved: Women's transition to first extramarital sex," Alternative Lifestyles, Vol.2, No.1, pp.33-68, 1979.
A. P. Thompson, "Emotional and sexual components of extramarital rel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6, No.1, pp.35-42, 1984.
H. S. Feild, "Attitudes toward rape: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e, rapists, crisis counselors, and citize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6, No.2, pp.156-179, 1978.
고려대학교부설 해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 핸드북2, pp.39-40, 1999.
이원준,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 기부자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250-270, 2015.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s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