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륜에 대한 인식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 본인외도 용인과 배우자외도 불용인의 이중매개효과와 결혼상태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dividuals' Perception toward Extramarital Affair on the Openness to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he Acceptance toward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Unacceptance of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211 - 222  

이원준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희진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실증연구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불륜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편이지만, 약 16.4%의 응답자들은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본인의 외도에 비해 배우자의 외도에 보다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여부와 상관없이 불륜에 대해 덜 비판적일 수록 본인의 혼외관계를 더 많이 용인하고, 배우자의 혼외관계를 용인하지 않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넷째, 미혼집단은 배우자외도 불용인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부적(negatively)효과를 미쳤고, 기혼집단에서는 본인외도 용인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정적효과를 미쳤다. 다섯째, 미혼집단은 '불륜인식은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았지만, '배우자 외도 불용인'을 완전매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결혼상태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based on data analysis obtained by surveying 655 adult men and women.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overall, individuals' perception of extramarital affair is negative, but about 16.4% respon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it. Second, the respond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혼자들과 기혼자들 간의 혼외성관계에 대한 인식차이를 비교해볼 수 있고, 미래의 기혼자가 될 수 있는 미혼자들의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대한 생각과 기대가 무엇인지를 파악함에 있어서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은 물론,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이 결혼상태에 의해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갖는지를 발견해보고자 한다. 혼외관계 연구 대상에서 기혼자 뿐 만 아니라, 미혼자들을 함께 포함시켜 분석할 필요성은, 기혼자들의 혼외관계 상대는 기혼자가 아닌 미혼자인 경우도 적지 않다는 현실에 주목하였고, 미혼자는 미래의 기혼자이기 때문에, 미혼자들의 혼외성 인식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혼외성 문제를 예방적 차원에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기초한 실증연구이다. 인터넷 서베이 패널업체(두잇서베이)에 유료패널로 가입되어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업체에서 설문링크를 발송하여 본 설문조사에 관심을 가진 25-99세의 남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약 2개월동안 온라인상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2015.
  • 지금까지 혼외성관계인식 관련 연구에서, 본인의 외도 뿐 만 아니라, 배우자 외도에 대한 인식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함께 규명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불륜인식이 미치는 직접효과와 본인 외도 용인 및 배우자 외도용인의 매개효과, 그리고 결혼상태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혼외관계에 대해 보다 건강한 성인식을 정립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성별’(0=남성, 1=여성)을 통제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는 성인식 및 성행동에서의 성별차이를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혼외 성관계 개방성에 성별 차이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선정하였다[5,11,12].
  •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사실들을 요약·정리해보면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혼외성관계 개방성에 불륜인식이 미치는 직접효과와 본인 외도 용인 및 배우자 외도용인의 매개효과, 그리고 결혼상태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혼외관계에 대해 보다 건강한 성인식을 정립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간통죄를 위헌으로 선고한 년도는 언제인가? 프랑스(1791년)는 약 227년 전에 폐지하였고, 덴마크(1930년), 일본(1947년), 독일(1969년)등도 간통죄를 폐지한지 오래되었다[1].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간통죄를 존치시켜왔지만, 2015년 헌법재판소가 간통죄를 위헌으로 선고(2015.2.
간통죄는 어떠한 장치였는가? 간통죄는 혼외성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을 가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강력한 사회적 장치였다. 대부분의 나라들은 오래 전에 간통죄를 폐지하였다.
불륜에 대해서 사람들은 얼마나 비판적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 간통죄가 존속하였을 때는 혼외성관계는 형사처벌을 받는 범죄로 간주되었지만, 간통죄가 폐지된 지금, 불륜에 대해서 사람들은 얼마나 비판적 (혹은 허용적)인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불륜에 대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는 개인의 혼외성관계 가능성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 G. Park. (2010). A Study on the Justification to Abolition of the Punishment for Adultery. Kyung Hee Law Journal, 45(2), 41-69. DOI : 10.5392/JKCA.2017.17.03.199 

  2. S. J. Shin. (2017).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on Individuals"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Moderation Effect of Gend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199-211. DOI : 10.5392/JKCA.2017.17.03.199 

  3. S. Hite. (1994). Women as revolutionary agents of change: The Hite reports and beyon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 J. Weeks. (1997). Sexuality and its discontents: Meanings, myths, and modern sexualities. Routledge. 

  5. I. H. Hahm. (2012). The Gender Gap Reflected in the Sexual Relations of the Korean Family. Women's Studies Review, 29, 175-210. DOI : 10.18341/wsr.2012.29.2.175 

  6. S. Coltrane & R. Collins. (2001). Sociology of marriage & the family: Gender, love, and property. Wadsworth/Thomson Learning. 

  7. E. J. Nam. (1998). A Study on the Causes of Abroad in Men and Women. Master Thesis. Daegu Hyosung Catholic University, Daegu. 

  8. J. H. Cheon. (1992). A Study on the Permissible Behavior of Out-of-wedlock Relationship by Gender.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Y. H. Lee & Y. S. Yi. (2007). A Study on the Extramarital involvement of Married Men and the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3), 523-533. UCI : G704-001335.2007.16.3.016 

  10. Y. S. Yi & Y. H. Lee. (2008). A Study on the Permissiveness toward Extramarital Realationships According to Extramarital Sexual Involvement and Sex.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4), 631-638. UCI : G704-001335.2008.17.4.006 

  1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08). Korean Family Surve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12. Korean Institute og Criminology. (199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onsciousness of adultery. Korean Institute og Criminology. 

  13. M. S. Gu (2001). Experience of married women's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their sexual subjectivity. Master Thesis. Silla University, Pusan. 

  14. Y. S. Kim. (1995). Is it a shadow of the extramarital system?, Hyungseongsa. 

  15. Y. S. Jeon. (2002). Psychological Analysis and Consideration Counseling Support of Middle-aged Outer Countries. Korea reformed theology, 12, 339-366. UCI(KEPA) : I410-ECN-0102-2009-230-003731493 

  16. M. C. Green & J. Sabini. (2006).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jealousy: emotional responses to infidelity in a national sample. Emotion, 6(2), 330-334. DOI : 10.1037/1528-3542.6.2.330 

  17. W. F. Harley. (2011). His needs, her needs: Building an affair-proof marriage. Revell. 

  18. D. L. Weis & M. Slosnerick. (1981). Attitudes toward sexual and nonsexual extramarital involvements among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2), 349-358. DOI: 10.2307/351386 

  19. M. H. Kong. (2002). Sexual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Marri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Family Relations, 7(2), 1-20. UCI : G704-001334.2002.7.2.003 

  20. J. L. Laws & P. Schwartz. (1977). Sexual scripts: The social construction of female sexuality. Harcourt College Pub. 

  21. D. J. Yang & H. S. Cho. (2005). A Study on Extramarital Sexual Relations of Married Men and Women. Human Life Sciences, 8, 51-76. UCI(KEPA) : I410-ECN-0102-2009-300-001616165 

  22. Korean Institute for Sexology (2003). Third Report on the Sex Consciousness and Sex Life of Koreans, Korean Institute for Sexology. 

  23. J. J. Park. (2012). The Moderating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 293-306. UCI : G704-000203.2012.56.4.018 

  24. M. D. Griffiths. (1994). The cognitive psychology of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6(1), 31-64. DOI : 10.1007/BF01015747 

  25. D. T. Gulbert & P. S. Maline. (1995). The correspondence bias. Psychological Bulletin, 117(1), 21-38. DOI : 10.1037/0033-2909.117.1.21 

  26. D. W. Lee, H. J. Kim, S. H. Choi & S. Y. Kim. (2002). Current state of Korean family. Hakjisa. 

  27. A. P. Thompson. (1984). Emotional and sexual components of extramarital rel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1), 35-42. DOI : 10.2307/351861 

  28. W. W. Hudson, G. J. Murphy & P. S. Nurius. (1983). A short-form scale to measure liberal vs. conservative orientations toward human sexual expression. Journal of Sex Research, 19(3), 258-272. DOI : 10.1080/00224498309551186 

  29. R. B. Kline.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ition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