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Utilizing Peer Mentoring for Teacher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Peer Metoring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3, 2017년, pp.305 - 318  

김은진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ing the teachers' self-efficacy for pre-secondary music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the improvement for teachers' self-efficacy for pre-secondary music teachers and the pre-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ption about peer mentoring. In th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효능감에는 어떠한 요인이 있는가? Bandura(1997)[11]가 제시한 사회인지이론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의 요인에 일반적인 지침의 제공한다. 자기 효능감의 네 가지 요인 즉, 성공경험, 간접경험, 언어적/ 사회적 설득, 감정적/생리학적 상태는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의 자기효능감개발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다 [24]. 또한 네 가지 요인에 의한 효능감의 신념은 학습자가 습득한 정보에 독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29].
교사의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습 성취에 교사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의 교사의 신념 또는 믿음이다[19][20]. 이는 교사의 전문성으로 나타나며 교사의 전문성 개발은 교수활동에 있어 필수적이다 [21][22].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로서의 교수능력 질적 향상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수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영향을 주며 학습자들의 학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교수활동에서도 적극적이고 열정을 보이며 학습자들과 교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26]. 따라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사로서의 교수능력 질적 향상에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R. E. Bleicher and J. Lindgren, "Success in science learning and preservi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Vol.16, pp.205-225, 2005. 

  2. A. Tigchelaar and F. Korthagen, "Deepening the exchange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mplications for the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of recent insights into teacher behavi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0, pp.665-679, 2004. 

  3. 강숙희,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520-528, 2015. 

  4. J. A. Centra, Reflective Faculty Evaluation: Enhancing teaching and determining faculty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3. 

  5. 박성혜, "중등 교사양성과정 중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이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과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209-233, 2008. 

  6. S. Gibsion and M. H. Dembo,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No.4, pp.559-582, 1984. 

  7. I. M. Riggs and L. G. Enochs,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Vol.74, No.6, pp.625-637, 1990. 

  8. 최미영. "초등음악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행동 분석," 음악교육연구, 제43권, 제3호, pp.193-217, 2014. 

  9. L. R. Austin and P. J. Miksza, "Trying on teaching: Effects of a precollegiate music teacher recruitment program," Journal of Music Education, Vol.21, No.2, pp.14-27, 2012. 

  10. M. Tschannen-Moran and A. W. Hoy,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7, pp.783-805, 2001. 

  1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Company, 1997. 

  12. T. D. Allen, "Mentoring others: A dispositional and motivation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2, pp.134-154, 2003. 

  13. A. Ambrosetti and A. Dekkers,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roles of mentors and mentee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mentoring relationship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No.6, pp.42-55, 2010. 

  14. K. Goodnough, P. Osmond, D. Dibbon, M. Glassman, and K. Stevens, "Exploring a triad model of student teaching: Pre-service teacher and cooperating teacher percept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5, No.2, pp.285-296, 2009. 

  15. R. Le Cornu, Learning circles in the practicum: An initiative in peer mentoring. Paper presented at the 2007 ATEA Conference "Quality in Teacher Education: Considering Different Perspectives and Agendas," The University of Wollongon, NSW, 2007. 

  16. J. A. Hatch,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학지사, 2013. 

  17. Bogdan and Bikle,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e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Bacon, 1992. 

  18. R. T. Eichelberge, Disciplined inaquiry: Understanding and doing educational reseach, White Plains, Lingman, 1989. 

  19. 신혜경, "중등에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통한 음악교사 효능감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12호, pp.111-135, 2015. 

  20. P. Ashton,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No.5, pp.28-32, 1984. 

  21.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NCAT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Schools, Colleges, and Departments of Education, 2002 Edition. Washington D. C.: NCAETE, 2002. 

  22. K. Tobin, D. Tippins, and A. Gallard, Research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In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edited by D. Gabel, pp.45-93, New York: Macmullan, 1994. 

  23.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Asian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24. C. B. Hodges,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research,"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20, No.3-4, 2008. 

  25. F. S. Mohamaid and H. Asadzadeh, "Testing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of efficacy inform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3, No.3, pp.427-433, 2012. 

  26. S. Garvis and D. Pendergast, "An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in the teaching of arts education," Intra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the Arts, Vol.12, No.9, pp.1-15, 2011. 

  27. R. D. Goddard, W. K. Hoy, and A. W. Ho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7, No.2, pp.479-507, 2000. 

  28. 양민화, 권효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수업이 한국예비중등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신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제50권, pp.95-112, 2016. 

  29. R. D. Goddard, "Collective efficacy: A neglected construct in the study of schools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 of Psychology, Vol.93, No.3, pp.467-476, 2001. 

  30. M. Tschannen-Moran and A. W. Hoy, "The differential antecedents of self-efficacy beliefs of no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3, No.6, pp.944-956, 2007. 

  31. A. W. Hoy and R. B. Spero, "Changes in teacher efficacy during the early years of teaching: A comparison of four measur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1, No.4, pp.343-356, 2005. 

  32. H. R. Milner and A. W. Hoy, "A case study of an African American teacher's self-efficacy, stereotype threat, and persist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9, No.2, pp.263-276, 2003. 

  33. J. Mulholland and J. Wallace, "Teacher inductio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hancing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7, No.2, pp.243-261, 2001. 

  34. M. Murray, Beyond the Myths and Magic of Mentoring: How to Facilitate an Effective Mentoring Process, New and Revised Edi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2002. 

  35. S. Billett, "Workplace mentors: Demands and benefits,"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Vol.15, No.3, pp.105-113, 2003. 

  36. M. A. Price and H. Chen, "Promises and challenges: Exploring a collaborative telementoring programme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me," Mentoring and Tutoring, Vol.11, No.1, pp.105-117, 2003. 

  37. M. W. McLaughlin and J. E. Talbert,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2006. 

  38. A. Smith, "Mentoring for experienced school principals: Professional learning in a safe place," Mentoring and Tutoring, Vol.15, No.3, pp.277-291, 2007. 

  39. 이지현, 이용진, 기술.가정과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37권, pp.65-85, 2012. 

  40. C. Dann and T. Richardson, "Deepening understanding of 'pedagogical outcomes' through video data collection: a catalyst for guided reflective learning convers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agogies and Learning, Vol,10, No.1, pp.62-80, 2015. 

  41. 김종두, 교육과 의사소통, 양서원, 2000. 

  42. 최상호, 하정미, 김동중, "동료멘토링 교수법에서 교사의 수업 참여전략과 발문전략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pp.153-176, 2016. 

  43. P. Hudson and J. Millwater, "Mentors' views about developing effective English teaching practice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3, No.5, pp.1-13, 2008. 

  44. M. Izandinia, "A closer look at the role of mentor teachers in shaping preservi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52, pp.1-10, 2015. 

  45. 이지은, 이수진, "멘토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 멘토의 요인," 교육논총, 제31권, pp.55-74, 2011. 

  46. T. K. A. Dang, "Identity in activity: Examining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paired-placemen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30, pp.47-59, 2013. 

  47. L. G. Driscoll, K. A. Parkes, G. A. Tilley-Lubbs, J. M. Brill, and V. R. Pitts Bannister, "Navigating the lonely sea: Peer mentoring and collaboration among aspiring women scholars," Mentoring &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Vol.17, pp.5-21, 2009. 

  48. T. J. Draves and L. H. Koops, "Peer Mentoring: Key to new music teacher educator success," Journal of Music Teacher Education, Vol.20, No.2, pp.67-77, 2011. 

  49. I. M. Hanken, "Peer learning in specialist higher music education," Arts & Humanities in Higher Education, Vol.15, No.3-4, pp.364-375, 2016. 

  50. M.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Sage Publication, 2002. 

  51.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52. 이혜정,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500-512, 2014. 

  53. D. H. Palmer, "Sources of self-efficacy in a science methods course for primary teacher education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36, pp.337-353,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