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의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격민감도를 조절효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f On-Line Shopping-Mall on Shopping-Mal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1, 2014년, pp.49 - 55  

임기흥 (광주여자대학교) ,  권진희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쇼핑몰의 증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생활방식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상품을 더욱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려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백화점은 브랜드 상품의 온라인 쇼핑몰 판매를 늘리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쇼핑몰의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한 결과 쇼핑가치는 쇼핑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은 실용적 쇼핑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격민감도가 낮은 집단은 쾌락적 쇼핑가치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hanges in growth in the lifestyle of consumers for online shopping mall has surfaced. consumers will appear brand product will tend to buy products at more affordable prices and a department store's brand product sale increase in online shopping mal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Uti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라인 쇼핑몰 연구에서도 온라인 쇼핑몰의 어떤 특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1][17] 즉, Alba 외[1]와 Zellweger[17]의 연구에서는 가격측면이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만족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실제 구매 상황에서 이용자들의 어떤 가치요인이 쇼핑몰 만족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은 실용적 쇼핑가치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쾌락적 쇼핑가치는 유의하지 않았다.
  • 즉, 인터넷 탐색은 소비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가치(실용적 가치)를 제공해 주기도 하고, 그 자체인 인터넷 탐색만으로도 무엇인가에 몰두하여 재미있고 흥미로운 가치(쾌락적 가치)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탐색행위를 통해 소비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알아보고,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소비자의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가격민감도가 갖는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쇼핑의 가치와 쇼핑몰 만족의 관계를 밝혀 기업의 마케팅 실무 담당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에서 중요한 변수로 여겨지는 가격민감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온라인의 쇼핑 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의 선택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고객들이 쇼핑몰에 대한 이미지나 명성 및 쇼핑몰을 접촉할 때 느끼는 감정에 주로 초점을 두기보다는 핵심적인 서비스, 품질, 가격 등을 인터넷 쇼핑몰의 선택기준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쇼핑의 가치와 쇼핑몰 만족의 관계를 밝혀 기업의 마케팅 실무 담당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또한 온라인 쇼핑에서 중요한 변수로 여겨지는 가격민감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온라인의 쇼핑 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가치 지각이 쇼핑몰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근간으로 한 연구이다. 그 결과 실용적 쇼핑가치는 쇼핑몰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가치가 온라인 쇼핑몰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가격민감도에 따른 조절 효과를 규명하려 한다. 기존의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모형은 다음 [Fig.

가설 설정

  • 가설 1-1. 실용적 쇼핑가치는 쇼핑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1-2. 쾌락적 쇼핑가치는 쇼핑몰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때로는 구매에 대해 망설이거나 주저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터넷 쇼핑몰 선택에 관한 선행연구[14]에서는 대부분 상품의 가격이나 품질, 서비스 등의 핵심적인 요인들을 제시하지 않고 소비자가 점포와 접촉할 때 느끼는 감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제품 구매 시 소비자는 제품을 직접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때로는 구매에 대해 망설이거나 주저하게 되고 결국은 구매까지 연결되지 않는 단순방문에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8]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가격비교, 경매, 공동구매 사이트와 같은 가격 관련 사이트가 호황을 이루고 있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가 좋은 품질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과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Babin, Darden, and Griffin는 쇼핑가치를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가치의 개념이 가격-품질 관계만을 고려하여 가치의 경제적 측면만이 부각되어 소비경험이 제공하는 모든 가치를 설명하기엔 부족하다는 주장이 선행연구들에서 야기되었다. Babin, Darden, and Griffin[2]은 쇼핑가치를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로 구분하여 개념화하였다.
Lynch & Ariely는 온라인 매체에서 가격과 품질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격만 제시하는 것보다 가격민감도가 더 낮다는 발견하였는데, 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Lynch & Ariely[9]는 가격과 품질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가격만 제시하는 것보다 가격민감도가 더 낮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이기 때문에 가격민감도가 높은 것이 아니라 온라인 환경에서는 소비자가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가격민감도가 더 높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의 쇼핑가치가 쇼핑몰 만족에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과 가격민감도가 낮은 집단이라는 두 차원으로 구성하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가격민감도 차원과 쇼핑몰 만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ba, Joseph, John Lynch, Barton Weitz, Chris Janiszewski, Richard Lutz, Alan Sawyer, and Stacy Wood, Interactive Home Shopping: Consumer, Retailer, and Manufacturer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Electronic Marketplaces, Journal of Marketing, Vol. 61, July, pp. 38-53, 1997. 

  2. Babin, B. J.,Darden, W. R.,& Griffinn, M.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644-656.1994 

  3. Batra, R., & Stayman, D. M.The Role of mood i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17(2),203-214. 1990 

  4. Bellenger, D. N., & Korgaonkar, P. K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3),77-91.1980 

  5. Engel, J. F., Blackwell, R .D.,& Miniard, P. W.Consumer Behavior(8thed.).New York: The Dryden Press, 1995 

  6. Holdbrook, Morris B., "Emotion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Toward a New Model of the Human Consumer." pp.17-52. 1986 

  7. Hirschman, E C.,& Holbrook, M. B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46(3),92-101. 1982 

  8. Holbrook, M. B.,& Corfman, K. P. Quality and Value in the Consumer Experiences: Phaedrus Rides Again, in Perceive Quality.Lexington,MA: LexingtonBooks. 1985 

  9. Lynch, John G. and Dan Ariely, "Wine Online: Search Cost and Competition on Price, Quality and Distribution," Marketing Science, Forthcoming. 2000 

  10. Mathwick, Charla, Naresh Malhotra, and Edward Rigdon,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77, pp.39-56. 2001 

  11. Marmorstein, Howard, Dhruv Grewal and Raymond P. H. Fishe, "The Value If Time Spent in Price-Comparison Shopping: Survey and Experimental Evid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52-61. 1992 

  12. Oliver, Richard L,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Ny: Mcgraw-Hill. 1997 

  13. Oliver, Richard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11), 460-469. 1980 

  14. Shankar, Venkatesh, Arvind Rangaswamy and Michael Pusateri, Customer Price Sensitivity and the Online Medium, Working Paper. 1999 

  15. Smith, Robert E. and William R. Swinyard, "Attitu de-Behavior Consistency: The Impact of Product T rial Versus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 (8), 257-267. 1983 

  16. Sherry, J. F. 'Dealersand Dealing in a Periodic Market: Informal Retailing in Ethnographic Persprctive". Journal of Retailing,66(2), 174-200. 1990 

  17. Zeithaml, Valarie A., Leonard L. Berry and A. Parasuraman,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60 (4), 31-46.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